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계설비 칼럼 - 2017년 주택시장은

        김순환,Kim, Sun-Hwan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2017 기계설비 Vol.321 No.-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금리 상승 압박과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 집단 대출 심사 강화 등 금융대출 조이기로 부동산 시장이 '봄 같지 않은 봄'을 맞고 있다. 더구나 5월 9일 조기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국불안과 경제 불안정 등으로 매매와 분양시장도 활기를 띠지 못하고 있다. 지난 3개월 동안 분양 실적이나 청약경쟁률도 지난해에 비해 떨어졌다.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나 실수요자 모두 기대감을 낮추고 옥석을 가리는 안목을 갖고 부동산 시장을 들여다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 KCI등재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순환(Kim, Sun-Hwan),강너울(Kang, Ne-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teractive writing on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Two classes comprised of 50 children at the age of four in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the S-gu, Seoul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were formed each with 25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as an individual or in small groups in interactive writing to comprehend the knowledge and fundamentals of the Korean alphabet. Furthermore, they not only formed Korean letters, but also formed words and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language activities with topics that were provided by the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interactive writing enhanced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Among the Korean alphabet knowled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for writing vowels and consonants, recognizing the sound of vowels and consonants, recalling the names of vowels and consonants, and reciting of vowels and consonants of the Korean alphabet. Second, interactive writing enhanced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writing. In conclusion, interactive wri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young children’s Korean alphabet knowledge and writing development.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글쓰기가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반 2학급의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남 14명, 여 11명)과 비교집단 25명(남 14명, 여 11 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개별이나 소집단 별로 상호작용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자모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글자, 단어, 문장쓰기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 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자모지식을 증진시켰으며, 자모지식 중에서 자·모음 쓰기, 자· 모음 소리 재인, 자·모음 이름 회상, 자·모음 암송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쓰기 발달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글쓰기는 유아의 자모지식과 쓰기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김순환(Kim, Sun-Hwan),오현주(Oh,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여 이에 대한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경기도의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6명 및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와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을 계획하고, 유아의 놀이를 지원한 후 체계적·일상적으로 교육과정 운영 및 유아 평가를 실시한 결과, 교사가 계획한 교육과 별개로 유아가 전개한 놀이에서도 교육과정의 성취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아의 놀이 속에 담겨있는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 결과, 교사는 유아의 능력을 재인식하는 과정에서 유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하여 유아와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반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운영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계획 및 실행, 평가 등 각 측면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and implement a management plan for a play-base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examine teachers reactions to it.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applied a play-based curriculum to 26 five-year-olds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their homeroom teacher who was the investigator herself. The outcome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urriculum was managed in a systematic and daily manner along with the evaluation of young children after planning for education to connect children s play to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and support their play. The outcome shows that the achievements of the curriculum happened even in the play developed by young children separate from the education planned by the teacher. Educational meanings were also found in their play.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teacher s reactions to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based on young children s play and found that she was able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young children, including reliable relations and increased intimacy, through her profound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in the process of re-perceiving their abilities and possibilities. She was also able to improve managing the curriculum by observing the field of education, continuing to assess its implementation, and doing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records. In the process of contemplating over the management of a curriculum based on young children s play and practicing it, the teacher was able to explore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reality of curriculum management in each aspect including curriculum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o search for a plan to run a curriculum based on young children s play.

      • KCI등재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 및 교사의 반응

        김순환(Kim, Sun-Hwan),최유니(Choi, Yu-N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유아 및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만 3-4세 유아 24 명과 연구자를 포함한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독서교육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교육, 지역사회와 연계한 독서교 육으로 독서교육의 체계를 수립하고 그에 따른 활동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실행하였다. 둘째,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에 따른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면 자발적인 책 읽기 행동, 책에 대한 상호작용과 적극성이 증가하였으 며 다양한 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확대되었다. 교사들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실천적 지식이 구축됨에 따라 유아 독서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신장되었으며, 유아 독서 교육의 지속적인 실행에 대한 자발적인 의지가 형성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독립편성 종일제 학급의 배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만 3-4세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유아 독서교육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d implement activation plans for reading education in an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kindergarten class through action research and examine young children s and teachers reactions to it. The subjects included 24 young children aged three or four in an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kindergarten class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a college in Seoul and four teachers including the investigator.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rom December, 2016 to July, 2017,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reading edu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ased on a curriculum and was linked to the community to prepare and implement its activities for the activation of reading education in an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kindergarten class. Secondly, young children showed some reactions to the activation plan for reading education in an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kindergarten class, and their reactions included reading a book voluntarily, increasing their interactions and initiative with books, and expanding their interest and concern with various books. As for the teachers reactions, they increased in their professionalism about read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with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and formed voluntary will to consistently implement read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present study raises a need for reading education that is fit for the development of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n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kindergarten class and proposes the importance and activation plan of read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us, claiming its significance.

      • KCI등재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해 알고 있어야 할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배소연 ( So Youn Bae ),김순환 ( Sun Hwan Kim ),한희정 ( Hee Jeong H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다문화 유아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내용들을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배웠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의 유아들의 교육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12명의 교사가 응답한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 (2)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 교사들도 많았으며 특히 교사양성과정이나 연수교육과 함께 인터넷이나 TV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서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배우는 경우도 많았다.; (3) 다문화교육을 위해 필요한 내용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의 결과는 항목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교사교육의 방안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 their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 total of 212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veral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much about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did not have opportunities of learning those knowledge/skills from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learned about knowledge/skills needed for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via internet or TV new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scores among groups divided by educational levels, majors of study, types of institutions they teach, and years of teaching children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develop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