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바이오틱스 Enterococcus faecium CKDB003의 항생제 내성 및 안전성 평가

        한준,강순아,Kim, Han Jun,Kang, Soon Ah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3

        In this study, a safet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confirm if the Enterococcus faecium CKDB003 strain obtained by selection from a mixed fermentation of fruit and milk is suitable for use as a probiotic. The MIC value for the 10 antibiotics specified in the EFSA guidance was below the acceptable cut-off value. The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ac(6')-li, eatAv, and msr(C) exist by whole genome sequencing, but are in the chromosome and not in the plasmid, thus confirming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transmission to other microorganisms. It was confirmed that cytolysin (cylA, cylB, cylI, cylL-l, cylL-s, cylM, cylR1, cylR2), aggregation substance (asa1, asp1), collagen adhesion (ace), enterococcal surface protein (esp), endocarditis antigen (efaA), hyaluronidase (hyl) and gelatinase (gelE) were not present in the genome by examining the genes of factors related to virulence. Also, the biochemical analysis showed no toxic enzyme activities, and no virulence genes were detected by the PCR method. Thus, the E. faecium CKDB003 strain can be safely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probioti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afety assessment.

      • 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 금동아미타ㆍ구층보탑경상

        김순아(Soon-Ah Kim)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0 佛敎美術 Vol.21 No.-

        In general a bronze mirror has the reverse side incised with Buddihist Images, while the Bronze mirror incised with Buddhist Images has the specular surface or both face of copperplate incised with pattern. Supposing that bronze mirror incised with Buddhist Images has been used as the ritual instrument of Esoteric Buddhism in the Bodhi site with Mirror stand, this study intended observe the figure, usage, origin of bronze mirror incised with seated Amitabha and nine stories stupa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However, vaguely Goryeo Period of Bronze Mirrors were estimated to be manufactured around 13th~14th century. But in this case, with comparing same times of sculptures, Buddhist paintings and metal stupas were estimated to be manufactured in the last 13th. Compared to China or Japan, Goryeo had the unique feature, both sided engravement. In other words, a Buddhist image was incised on the both side of most Goryeo mirrors or copperplates. And the both faced figures art to do with each other. The main chasing techniques used to engrave pattern seemed to be the kicking-line and engraving hairline. I hope this study provides a part of a new viewpoint and data toward an in-depth study of Goryeo bronze mirrors. 鏡像이란 동판의 양면에 선각으로 불ㆍ보살의 도상을 새긴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진전된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경상을 鏡壇에 설치된 밀교의식구로써 경상에 선각된 도상은 의식 중 경전에 기술된 觀想法을 통해 수행자가 觀想하는 불ㆍ보살을 조형화한 것이라는 說과 經塚이나 부장품등으로 출토된 사례를 통해 개인적인 예배 대상인 護持佛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중국, 일본과 비교해 볼 때 고려경상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양쪽 면에 모두 선각을 하였다는 점인데 양쪽 면의 도상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설득력 있는 논의가 나오지 않은 실정이다. 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 〈아미타여래ㆍ구층보탑경상〉은 다른 고려경상과 함께 고려후기 13~14세기라는 막연한 제작시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불교조각과 고려불화와의 형식적ㆍ양식적 비교를 통하여 13세기 후반으로 제작의 상한시기를 비정해 보았다. 이는 고려후기의 조각 양식에 있어서 이른바 전통양식에 속하는 장곡사 금동여래좌상(1346) 보다 선행양식에 속하는 서울 개운사 목조여래좌상(1274)을 필두로 하는 여래상 group과 경면의 아미타여래좌상이 보다 더 친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양면에 선각된 도상들은 주로 축조기법에 의한 조금기법과 일부 모조기법이 사용되었음을 사진을 통해 소개하였다. 이와 같이 표면기법들을 소개함으로써 경면에 시문된 도상의 미술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고려경상에 나타난 당시의 공예수준과 기법을 재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구층보탑의 경우 가장 가까운 비교 대상이 되는 청동탑과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한 제작시기의 비정까지 논의를 진전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만 추녀양 끝에 나타나는 돌출부위에 대해 ‘하앙’이라고 단정지을만한 비교 사례가 충분치 못한 점을 들어 가능성을 열어두고 보다 많은 사례들을 통하여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이야기 하고 싶다. 고려후기 이전의 경상으로 판단되는 작례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작시기를 비정하는 문제는 상당히 난해한 작업인 듯 하다. 다만 본 유물의 자료 소개와 더불어 앞으로 진전될 경상 연구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ㆍ팔엽연화형 받침 고찰

        김순아(Soon-Ah Kim)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9 佛敎美術 Vol.20 No.-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are important relics but have been ignored despite their unique form, composition, various patterns sculptured in line, and the importance of icon. For the meantime, Buddhist applied arts of Korean art history has variously studied Sarira vessel. However, it is safe to say that the interest in Sarira vessel or Huryeongtong inserted in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which has a different concept from general Sarira vessel enshrined in a Buddhist tower or a stupa of a Buddhist monk, appeared only in a few studies in recent days and did not make much progress. Sarira bowl, which is put into in compliance with ceremonial of 『Building Statue Sutra』, a kind of text on ceremony, after manufacturing a Buddhist statue, have so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xisting block books of Chosun: the lid of a brass bowl was rubricated with Buddhist Scriptures; the words of Buddha, Darani, both-faced mirror, or crystal beads are enshrined. However, the existing 『Building Statue Sutra』 is the block book of Chosun and so it was not revealed what ceremony was conducted for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Against the background, this study tries to categorize Silver Sarira bowl and lotus- shaped pedestal of eight leaves into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by comparing them with the textile of Goryo which is known of its birth. There are several reasons in categorizing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not into simple Sarira vessel but into Textile of Statue Enshrinements. Comparing Silver Sarira bowl of 阿彌陀佛腹藏 which was manufactured in 1302 and possessed by Onyang Folklore Museum with 1346 Changgok長谷 temple of made by steel of 佛腹藏 white bronze bowl, 1346 Munsu文殊 temple gold bronze Amitabha image of wooden bowl, the end of Koryo of Haein海印 temple 大寂光殿 wooden Vairocana Images 佛腹藏, they have similarity in the form and are rubricated or carved with the five letters of Jinsimjongja on the lid. The tendency unseen in general Sarira vessel serves as an evidence that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of eight leaves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are not simply Sarira vessel but Textile of Statue Enshrinements as above. Besides the fact, several patterns carved in line in bowl and stand are worth attention. In particular, three Buddas carved in body of bowl are Vairocana Trikaya Buddhas. These are of more importance in that they are unique examples of Vairocana Trikaya Buddhas not found other than in descended documentary records. Additionally, the combination of flower pattern decorated in lotus 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and arabesque design is much connected to the composition of woodne statue pedestal possessed by Sudeoksa. Furthermore, it is the same as lotus pedestal described in Buddhist painting of Goryo and the flower patterns of neckless decoration in Budda, which provided a clue for its nationality and manufactured time. In the study based on similarity of the form of bowl in Goryo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and the style of inscribing the words of Buddha, the expression and composition of lotus pedestal and stand, Silver bowl and other relics including pedestal were estimated to be manufactured around 14th century and segmented into Silver bowl and pedestal used as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not a general Sarira vessel. Sanskrit characters of pedestal of eight leaves and its symbolism and meaning need more study through deeper consid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ature of objects of applied arts manufactured for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is closely examined through mor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은 그 이례적인 형태와 구성, 그리고 선각된 다양한 문양과 도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 되어온 중요한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미술사의 불교공예분야에서 사리기에 관한 다양한 연구 활동이 있었지만 불탑이나 승탑 등에 봉안되는 일반 사리기와 다소 개념을 달리하는, 즉 불상복장물에 납입되는 사리기나 후령통에 관한 관심은 최근의 몇 몇 연구에 그칠뿐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고 해도 괴언이 아니다. 불상을 조상하고 일종의 의례집이라고 할 수 있는 『조상경』의 다양한 의식절차에 따라 납입되는 사리합은 현전하는 조선시대 판본의 내용에 의거하면 몇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합의 뚜껑부분에 범서를 주서한다든지 다양한 진언이나 다라니, 양면거울, 수정주 등을 봉안하는 절차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조상경』은 모두 조선시대의 판본으로, 고려시대에는 어떤한 의례에 따라 불복장을 갖추었는지 알 수 없는 가운데 기년명을 가진 고려시대의 불상복장물과의 비교ㆍ고찰을 통해 이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을 불복장물의 일부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의 사례를 단순한 사리기가 아닌, 복장물에 납입되는 사리기로 구분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온양민속박물관소장 1302년 아미타불복장의 은제사리합의 예와, 1346년 장곡사 칠불 복장물의 백동합, 1346년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의 목재합, 고려말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상 복장물과의 비교ㆍ고찰을 통해 살펴보면 그 형태의 유사성 뿐만 이니라, 뚜껑에 진 심종자 다섯 글자를 주서하거나 새겨 넣은 것 등이 동일하다. 일반 사리기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러한 경향은 거꾸로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이 단순한 사리기가 아니라 위의 몇 가지 사례와 흐름을 같이히는 복장물의 사리기 일괄 유물임을 반증해주는 자료라고 판단된다. 한편 위의 사실 이외에도 합과 받침에 축조기법으로 선각된 다양한 문양들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합의 동체에 선각된 세 구의 여래도상은 비로자나삼신불 도상으로, 전해지는 문헌 기록 외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비로자나삼신불 도상의 실체를 보여주는 유일한 작례라는 점에서 더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팔엽연화형 받침에 장엄된 화문과 당초문의 결합은 수덕사 소장목재불상대좌의 문양 구성과 강한 친연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나아가 14세기 고려불화에 묘사된 연화대좌, 그리고 14세기로 추정되는 몇 몇 불상의 영락장식의 화문과 그대로 일치한다는 점에서, 국적과 제작시기를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현전하는 고려시대 불복장물의 합의 형태와 진언을 표기하는 방식, 그리고 고려시대 불상부조의 표현 형식, 연화대좌와 받침의 표현 및 구성방식 등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본 고찰에서는 은제합과 받침 일괄 유물을 고려시대, 특히 후기인 14세기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일반 사리기가 아닌 불상복장 납입용 사리합과 받침으로 보다 세분화하였다.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팔엽받침의 범자 및 그 상징성과 의미는 이후 더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밝혀나가고자 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사례 발굴과 조사를 통해 불상복장을 위해 제직된 일련의 공예품에 대한 성격 문제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

        유아 ( You Ah Kim ),동희 ( Dong Hee Kim ),박채빈 ( Chae Bin Park ),박태순 ( Tae Soon Park ),박병준 ( Byoung Ju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신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 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UVB에 의해 증가된 R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sweroside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o develop a new functional agent for cosmetics, we investigated the anti-aging activities in fibroblasts using sweroside isolated from Nymphoides indica. The anti-aging effect of sweroside was validated in CCD-986sk cells. Results showed that sweroside inhibited expressions of UVB-induced ROS and increased pro-collagen. Furthermore, sweroside had inhibited MMP-1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sweroside has considerable potential as a new cosmetics ingredient with an anti-aging effect.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습요인에 따른 균형적, 우세한 학습양식과 학습전략의 차이 연구

        지심(Ji Sim Kim),경아(Kyong Ah Kim),박미순(Mi Soon Park),안유정(You Jung Ahn),오석(Suk Oh),진명숙(Myung Sook J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8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과 관련된 요인인 전공계열, 성취도, 학년에 따라 학습양식 및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학습양식에 따라서도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우세한 학습양식 중심으로 차이를 분석했던 선행연구들과 달리, 학습양식을 균형적, 우세한 학습양식으로 세분화하였다. M전문대학의 1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요인에 따른 학습양식과 학습전략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활용수준에서는 정보입력 차원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인지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처리 양식에 따라서는 모든 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적 학습자는 인지전략 활용수준이 높았고, 시각적 학습자는 외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았으며, 정보를 이해할 때 균형적 학습자는 내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양식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학습전략 활용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factors: major fields, achievements, and grades and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for college student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differences focused on the dominant learning style, the learning style was subdivided into a balanced and dominant learning style. In the analysis of the 179 participants in M colleg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the learn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learning factors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 in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input, and in the use of all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It was analyzed that active learners had a high level of using cognitive strategies, visual learners had a high level of using external strategies, and balanced learners had a high level of using intern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the training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learning style and to improve the level of use of the learning strategy in the learning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was propo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