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중학생의 문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장 성분 단원을 중심으로

        김수정,신현석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1 No.-

        본 연구는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중학생들의 문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문장 성분 단원 수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2022년 6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여덟 학급의 184명 학생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통제 집단은 교과서 예문을 활용하여 문장 성분 단원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네 학급 94명이고, 실험 집단은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하여 문장 성분 단원을 학습한 중학교 3학년 네 학급 90명이었다. 문법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수정(2017)의 문법 태도 측정 설문지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문법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의 문법 태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84명의 학생 가운데 사전과 사후 조사에 모두 참여한 170명의 자료만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지 분석 방법으로는 대응 표본 t-test를 활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의 경우 귀납적 범주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 집단 학생들의 문법 태도가 신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 생성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바람직한 문법 태도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실제 언어생활이 반영된 문법 수업을 통해 문법 태도 요인 중 ‘습관’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모바일 리워드 앱의 포인트 소진 유형이 이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및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이길형,한맑음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모바일 리워드 앱의 포인트 소진 유형이 소비자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 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이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바뀌면서 모바일을 이용한 리워드 앱의 사례가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 받고 있다. 소멸되거나 가치가 낮아지던 포인트 의 활용을 통해 모바일 족인 포인트슈머의 적극적인 활동방향이 조명되고 있다. 보상형 어플리케이션인 리워드 앱은 기업과 고객 간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만 그 중요성에 비해 현재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리워드 앱의 세 가지 포인트 소진 유형(교환/환급/기부)이 소비자의 선호도, 만족도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편의표본추출로 선정한 서울과 경기 수도권의 20-50대 100명(남 자 43.3%, 여자 56.7%, 20-29세 23.3%, 30-39세 39%, 40-49세 23.3%, 50-59세 10.0%)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LSD)과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포인트 소진 유형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리워드 앱의 세 가 지 포인트 유형 중 환급형이 사용자의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다음으로는 기부형이 영 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서는 선호도와 마찬가지로 환급형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교환형이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소진유형에 따른 선호도와 만족도는 사용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중 만족도가 선호도 보다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포인트 소진 유형과 사 용자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사용의도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주는 좋은 지 표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제 초기 단계에 있는 모바일 리워드 앱의 이용자들의 태도와 사용의도의 관계에 관한 기초개발 이론에 기여함과 동시에 실무자들에게 포인트 소진 유형을 통해 사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int exhaustion type of mobile reward app on the consumer usage intention. The case of reward app using mobile is receiving attention as a new trend as people's lives are changing from internet-centric to mobile-centric. Through the use of points that become extinct or decreases in value, the direction of active activity of pointsumer that is a mobile group is being highlighted. Reward app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relations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Unfortunately, there hasn't been any specific study about reward app so far.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point exhaustion types (exchange/refund/donation) of mobile reward app on consumers' preference,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or 100 people in their 20s and 50s(male 43.3%, female 56.7%, age 20-29 23.3%, 30-39 39%, 40-49 23.3%, 50-59 10%) in Seoul and Gyeonggi metropolitan area that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Post-hoc Analysis(LS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tudy issues. The result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oint exhaustion types. Among the three point types of mobile reward app, refund type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user preference, followed by donation type. In satisfaction, refund type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as in the case of preference, followed by exchange type. Lastly,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hree exhaustion typ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usage intention. The fact that satisfaction, instead of preference, has positive effects on usage intention will become a good indicator for a more in-depth analysis of whether point exhaustion type and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are effective in inducing usage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fact that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relation of th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users of mobile reward app in its early stage, as well as presents a method of increasing usage intention for hands-on staff through point exhaustion types.

      • KCI등재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 소아에서 기립경사 검사 동안에 뇌혈류 변화

        김수정,염혜원,홍영미,유정현,이숙희,김종희,Kim, Su Jung,Yom, Hye Won,Hong, Young Mi,Yoo, Jung Hyen,Lee, Sook Hee,Kim, Chong H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실신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증상이지만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증가된 미주신경의 활동과 감소된 교감신경의 자극이 저혈압, 서맥을 일으키고 마침내는 의식 소실을 초래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으로 진단된 소아에서 기립경사 검사를 하는 동안 뇌 도플러 초음파를 실시하여 실신 전후의 뇌혈류 속도와 혈압, 심박동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실신의 과거력을 갖고 있는 6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혈압을 10분간 안정 후와 15분 동안 기립 후에 측정하였고, 기립 경사 검사는 $80^{\circ}$에서 45분간 시행하였다. $80^{\circ}$ 각도의 경사 테이블에서 소아를 5분 간격으로 45분 동안 혈압, 심박동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였다. 기립경사 검사를 하는 동안 실신이나 실신 전 증상이 나타난 소아에서는 검사를 중단하였다. 12-유도 심전도, 뇌파 검사, 심장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기립경사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10명의 소아에서 Acouson 128XP/10 model 초음파 기기를 이용하여 중 대뇌동맥 혈류 속도, pulsatility 지수, time velocity integral, 혈압,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 과 : 기립경사 검사에서 31.3%(20/64)의 양성률을 보였다. 검사 동안에 혈압과 맥박은 감소되지 않았고 뇌혈류 속도와 integral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뇌혈류 속도는 혈압이나 심박동수가 감소하기 전에 미리 감소하므로 실신 전 증상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뇌혈류의 자율 조절의 장애가 혈관미주 신경성 실신의 병인론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Syncope appears to be common. However, the mechanism of syncope is not clear. Increased vagal activity and withdrawal of sympathetic stimulation cause hypotension, bradycardia and finally loss of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of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during tilt test in children with vasovagal syncope. Methods : Sixty four children with a past history of syncope were evaluated. The stand up test was performed for 15 minutes after a rest at supine position for 10 minutes, followed by an $80^{\circ}$ tilt test lasting 45 minutes. If presyncope(lightheadedness, nausea, blurred vision, or sweating) or syncope occurred, the study was discontinued. 12-lead electrocardiography, echocardiography, and electroencephalography were performed. Transcranial Doppler study was performed at the middle cerebral artery with 2 MHz continuous Doppler probe in 10 children with positive tilt test. Systolic, diastolic, mean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integral, and pulsatility index were measured with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O_2$ saturation. Results : The positive rate of tilt test was 31.3%(20/64). Systolic, diastolic, and mean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absence of hypotension or bradycardia during presyncope. Time velocity integral of cerebral artery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 Decreased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can predict the presyncope manifestation. Impairment of autoreg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vasovagal syncope.

      • KCI등재

        부모갈등 지각이 초등 4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주는 영향: 거부․제재 양육지각, 반추, 사회불안을 매개로

        김수정,정윤경,박현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4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style, their rumination, social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280 children (4th year) and 10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d. Each child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perception of parenting style,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report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was highly correlated with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Rumin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conflict influence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was mediated by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our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style high in rejection and control 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and children's rumination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their social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갈등지각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거부․제재 양육지각, 아동의 반추 및 사회불안과 어떤 직․간접적인 연계성을 보이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290명과 아동의 담임교사들이다. 부모갈등 및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 반추적 반응과 사회불안은 아동 보고로 측정하였고, 학교적응은 아동의 각 담임교사들의 보고로 측정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갈등 지각은 반추적 반응 및 사회불안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적응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거부․제재 양육지각은 갈등지각, 반추, 그리고 사회불안 매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학교적응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각 변인들이 학교적응에 주는 직․간접적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갈등지각은 거부․제재 양육지각, 반추적 반응, 그리고 사회불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거부․제재 양육지각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반추는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불안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갈등은 거부․제재 양육, 반추적 사고 및 사회불안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거부․제재 양육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반추적 반응은 사회불안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태권도지도자의 인식을 통한 윤리적 갈등연구

        김수정,정근영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ethical conflicts that Taekwondo leaders experience while teaching Taekwondo in the field of sports for all through the testimony of Taekwondo lead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ethical conflicts for a large number of leaders. Using purposeful sampling, male and female Taekwondo leaders in their late 30s to 50s who worked in the field of teaching Taekwondo for 10 to 30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using domain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composition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nts described ‘ethics perceived by Taekwondo leaders’ as ‘rightfulness,’‘a sense of obligation,’‘a sense of duty,’ etc. Second, ‘ethical conflicts that Taekwondo leaders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ethical conflicts caused by their role (vocation) as a leader’ and ‘ethical conflicts caused by others,’ and the latter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training situations or non-training situations. Thir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provided education on ethics based on situations of ethical conflicts, putting the ‘focus of education on ethics’ on ‘manner’and‘duties.’ 본 연구는 태권도지도자들이 생활체육현장에서 태권도를 지도하면서 겪고 있는 윤리적 갈등 상황을 그들의 증언을 통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수많은 지도자들을 위한 윤리적 갈등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10년에서 30년 이상의 현장 근무 경력이 있는 30대 후반에서 50대 후반까지의 남, 여 지도자들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현상학적 접근과 함께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주제 분석의 단계를 거쳐 체계적인 분석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태권도지도자가 인식하는 윤리’는‘정당함’,‘의무감’,‘사명감’등으로 표현하였다. 둘째,‘태권도지도자들이 겪는 윤리적 갈등’의 경우‘지도자란 역할(직업)에 의한 윤리적 갈등’과‘타인에 의해 겪는 윤리적 갈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수련 상황과 비 수련 상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윤리적 갈등 상황을 바탕으로‘윤리 교육의 주안점’을‘예의’와‘도리’에 두고 윤리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윤리적 인식과 더불어 그 안에서 갈등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교육에 접목하여 수련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윤리적 인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미래태권도 교육인식의 비판적 논의

        김수정,최성배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studies on the future-oriented perception of taekwondo education for adults, and thus to expand the perception and materialize the possibility of taekwondo education for adults, beyond stereotypical studies and criticism on the taekwondo education service industry which has been centered on children educatio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and developing taekwondo so far. To do so, first, earlier studies on taekwondo education for adults were selected and research guidelines were examined. Second, they we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dialectical understand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ndragogical learning for adults: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ndragogical thinking: Obtaining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태권도교육에 대한 안드라고지적 관점의 일방적 긍정을 비판으로 하여 미래태권도 교육인식의 확장을 기대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지금까지 태권도 확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아동교육 중심의 태권도 교육 서비스 산업의 식상한 연구와 비판을 넘어 미래 지향적인 성인 태권도 교육 인식의 또 다른 확장을 기대하는 연구에 대한 성찰로서 성인 교육의 가능성을 구체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성인 태권도 교육 선행연구의 선정 및 연구지침을 설정하고, 연구결과의 질적 깊이와 수준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논증형의 변증법을 취하였다. 이에 따라 ‘선험적 가상(假象)’의 오류를 찾아내고 비판하는 ‘가상의 논리학’으로써 칸트의 변증법을 계승하여 인간의 이성(理性)이 빠지기 쉬운 오류를 찾아내어 피상적으로는 옳은 듯, 하지만 사실은 잘못된 추론(推論)에 의한 논리들을 검증해 내는 적합한 방법이다. 결과로는 첫째, 특수한 지배구조가 아닌 일반적인 교육의 장에서의 타당성을 갖지 못하는 안드라고지적 성인학습: 자기주도 학습의 한계를 규정하였으며, 둘째, 일방향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은 학습의 장에서 개념적으로 성립이 되지만, 미래 태권도 교육산업이 추구해야 하는 모델로서는 심각한 오류를 안고 있는 안드라고지적 사고: 학습 성과 얻기의 한계를 규정하였다.

      • KCI등재

        감각-지각 뉴스포츠를 통한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탐구

        김수정,최흥섭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스포츠스태킹과 까롬이라는 감각-지각 뉴스포츠를 통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을 탐구해보는 질적연구이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 3학년 25명과 학부모, 동료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문서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분류체계분석과 원인연쇄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탐구 결과 나타난 긍정적인 범주는 즐거운 놀이활동을 통한 긍정적 자아감 형성, 함께하고 소통하는 경험을 통한 사회성 함양, 집중력 강화 훈련을 통한 학습전이 효과, 규칙준수 활동을 통한 행동조절능력 향상 등 4가지이다. 한편, 소수이지만 활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지나친 경쟁으로 반칙을 하거나 친구들과 다툼이 발생하는 등의 부정적인 범주도 있었다.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life through the sensory-perceptual new sports of sports-stacking and carrom.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25 students on the third grade at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ir parents and fellow teach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investigated in depth.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relevant documents, and so on, and was analyzed through a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and a causal chain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life, the four positive categories were found, that is, formation of a positive sense of self through fun play activities, cultivation of sociali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being together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through the training to reinforce the power to concentrate, and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control behaviors through the activities to observe rules. On other hand, some negative categories were also found, even though a few, such as lack of interest in the activities, and foul play or fight with friends due to extreme compet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