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LVQ 기반 신경 트리 분류기

        김세현(Sehyun Kim),김은주(Eun-Ju Kim),이일병(YiI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Ⅱ

        신경 트리는 신경망과 결정 트리의 구조를 결합한 형태의 분류기로서 비선형적 결정 경계 형성이 가능하며 기존 신경망에 비해 학습, 출력시 계산량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 트리의 노드를 구성하는 신경망을 학습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들과는 달리 교사 학습 방법인 LVQ3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신경 트리 분류기를 제안한다. 학습 과정을 통해 생성된 트리는 오인식율 추정을 이용한 가지치기를 통하여 효율적인 트리로 재구성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제 데이터 집합들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판 파킨슨병 삶의 질 축약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세현 ( Sehyun Kim ),박혜자 ( Hye-ja Park ),박민정 ( Min Jung Park ),김현숙 ( Hyun Sook Kim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0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5 No.2

        목적: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건강관리 전략을 개발하고 증진하는데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PDQ-8)는 39개 항목으로 개발된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PDQ-39)의 축약형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80명의 파킨슨병 환자가 자가보고형으로 PDQ-39와 PDQ-8 설문지에 무작위 순위로 응답하였다. PDQ-39 응답점수와 PDQ-8 응답점수를 이용하여 건강상태지수를 환산하였다. 파킨슨병 중증도 점수, 운동능력, 간이정신건강, 몬트리올 인지평가, 임상치매척도, 국제치매척도를 이용하여 임상지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의 천장효과 2.5%와 바닥효과 1.3%는 적절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계수(α = 0.88), 문항-총점 상관계수(0.48-0.77), 카파상관계수 0.53은 적절하였다.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문항은 하나의 요인에 적재되었고(고윳값= 4.35, 분산설명력 =54.51%) 요인적재량은 만족되었으며(0.585-0.847), 확인적요인분석의 모형은 적합하였다(GFI= 0.932, NFI= 0.914, TLI= 0.973, IFI= 0.981, CFI= 0.981, RMSEA= 0.056).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는 문항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0.05), PDQ-8 건강상태지수는 PDQ-39 건강상태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r= 0.91, p <0.001) 수렴타당도는 만족되었다.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의 건강상태 지수는 레보도파민 복용량(r= 0.28, p = 0.028), 파킨슨병 중증도(r= 0.44, p = 0.001), 운동능력(r= 0.45, p = 0.007), 간이정신검사(r=-0.28, p = 0.047), 몬트리올 인지평가(r=-0.49, p = 0.006), 임상치매척도(r= 0.33, p = 0.025), 국제치매척도(r= 0.40, p = 0.007)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를 만족하였다. 결론: 한국어판 축약형 파킨슨병 삶의 질 도구는 파킨슨병 환자가 지각하는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로 간호실무와 연구 수행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arkinson’s disease questionnaire (PDQ-8) using a standard short-form validation approach. Methods: This cross-sectional psychometric study evaluated 80 outpatients with PD who completed the Korean 39-item Parkinson’s disease questionnaire (PDQ-39) and PDQ-8 tools in random order. The summary index (SI) was calculated for the PDQ-39 (PDQ-39SI) and PDQ-8 (PDQ-8SI). A neurologist performed evaluations using the Hoehn and Yahr (HY) scal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RDS motor),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Results: The PDQ-8SI exhibited appropriate floor effect (2.5%) and ceiling effect (1.3%),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α=0.88), item-total correlations (0.48-0.77), and inter-rater reliability (Kappa coefficient=0.53). The PDQ-8 loaded one factor (Eigen value=4.35, 54.51% of the variance) and had broadly similar factor loadings (0.585-0.847). The PDQ-8 had mostly goodness of fit (GFI=0.932, NFI=0.914, TLI=0.973, IFI=0.981, CFI=0.981, and RMSEA=0.056). The PDQ-8SI and PDQ-8 items exhibited good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ll p<0.05) and the PDQ-39SI (r=0.91, p<0.001). The PDQ-8SI was correlated with levodopa dose (r=0.28, p=0.028), HY score (r=0.44, p=0.001), UPRDS motor (r=0.45, p=0.007), MMES (r=-0.28, p=0.047), MoCA (r=-0.49, p=0.006), GDS (r=0.33, p=0.025), and CDR (r=0.40, p=0.00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DQ-8 appears to be reliable and valid. It may be useful for quickly and easily evaluating the patient’s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ease’s impacts, which may guide nurs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디지털 기기 이용과 사회적 지지의 형성 : 디지털 기기의 융합적 특성을 중심으로

        김세현(Kim Se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는 남한주민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의 이용이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지털 기기는 개인 간 사회적 교류의 형태와 범위를 급격하기 확장시키면서 사회적 지지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 같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디지털 기기의 특성은 사회적 단절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새로운 사회적 지지를 형성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사용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주민에 비하여 낮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인터넷 이용 경험은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셋째, 디지털 기기를 ‘관계형성 및 유지’ 와 ‘정보 생산 및 공유’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나, ‘사회 참여’를 위해 사용할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 기기 이용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한주민 보다는 북한이탈주민에게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impact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on the social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among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Digital devices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ocial support by rapidly expanding the form and scope of social exchanges among individual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devices as such a type of communication media are useful for creating new social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experienced social disconnect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were experiencing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than South Koreans. Second, the experience of using the Interne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f family and friends. Thi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for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and “produc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but i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he influence of digital device use on social support was grea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an South Koreans.

      • KCI등재

        지역공동체 중심 낙후지역 개발의 필요성과 수행 가능성: 관광객의 지역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 및 지역관광콘텐츠 개발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김세현(Kim, Sehyun),김옥희(Kim, Ok-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논문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낙후지역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윤리적 쟁점을 살펴보기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지역공동체 중심의 지역개발 방법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살펴본 지역관광콘텐츠 개발은 지역공동체 중심의 지역개발 방안 도출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 중심의 관광개발 과정에서의 사회갈등적 쟁점을 살펴보고 실제 낙후지역 관광지 방문경험 여부와 낙후지역 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 그리고 낙후지역 관광콘텐츠개발에 대한 태도 간 관계를 고찰했다. 분석결과 낙후지역 관광지 방문경험이라는 개인적 체험이낙후지역 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낙후지역 관광콘텐츠 개발에 대한 태도로 발전되는과정이 경험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공동체 중심 낙후지역 개발의 필요성을 추론할 수 있는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낙후지역 내 다양한 관광자원이 해당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들에게 관광매력물로서 충분히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낙후지역으로의 일방적인 외부 자본 유입에서 벗어나지역공동체 중심의 낙후지역 개발을 통해 지역주민에로의 자본 재분배에서 발생하는 사회갈등문제를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explored ethical issues in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areas and identified implications for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conten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espondents’ experiences, expecta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local tourism development when visiting tourist sites in underdeveloped areas, focusing on social conflict in local community-centered tourism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experiences affected their expectations regarding tourist site development, in turn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local tourism content development. This study is thus meaningful as an exploratory stud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resourc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ourism resources in underdeveloped areas are acting enough as tourist attractions and suggests that local community-centered development can help resolve social conflict that may occur in the capital redistribution for local residents, rather than focusing on a unilateral external capital inflow.

      • KCI등재

        기상청 고해상도 국지 앙상블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김세현(SeHyun Kim),김현미(Hyun Mee Kim),계준경(Jun Kyung Kay),이승우(Seung-Woo Lee) 한국기상학회 2015 대기 Vol.25 No.1

        Predict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precipitation still remains a main issue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WP). Resolution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precipitation forecasts in NWP. Compared with a lower resolution model, a higher resolution model can predict small scale (i.e., storm scale) precipitation and depict convection structures more precisely. In addition, an ensemble technique can be used to improve the precipitation forecast because it can estimat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forecasts. Therefore, NWP using both a higher resolution model and ensemble technique is expected to represent inherent uncertainties of convective scale motion better and lead to improved forecasts. In this study, the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the convective-scale (i.e., high resolution) operational Unified Model (UM)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as developed and evaluated for the ensemble forecasts during August 2012. The model domain covers the limited area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developed showed good skill in predicting precipitation, wind, and temperature at the surface as well as meteorological variables at 500 and 850 hPa. To investigate which combination of horizontal resolution and ensemble member is most skillful, the system was run with three different horizontal resolutions (1.5, 2, and 3 km) and ensemble members (8, 12, and 16), and the forecasts from the experiments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QPF) skill of the system, the precipitation forecasts for two heavy rainfall case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analyzed using the Fractions Skill Score (FSS) and Probability Matching (PM) method. The PM method was effective in representing the intensity of precipitation and the FSS was effective in verifying the precipitation forecast for the high resolution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KMA.

      • KCI등재

        한반도에 발생한 위험 기상 사례에 대한 관측 민감도 분석

        김세현(SeHyun Kim),김현미(Hyun Mee Kim),김은정(Eun-Jung Kim),신현철(Hyun-Cheol Shin) 한국기상학회 2013 대기 Vol.23 No.2

        Recently, the number of observations used in a data assimilation system is increasing due to the enormous amount of observations, including satellite data. However, it is not clear that all of these observations are always beneficial to the performance of the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WP).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effect of observations on these forecasts so that the observations can be used more usefully in NWP process. In this study, the adjoint-based Forecast Sensitivity to Observation (FSO) method with the KMA Unified Model (UM) is applied to two high-impact weather events which occurred in summer and winter in Korea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bservations on the forecasts of these events. The total dry energy norm is used as a response function to calculate the adjoint sensitivity. For the summer case, TEMP observations have the greatest total impact while BOGUS shows the greatest impact per observation for all of the 24-, 36-, and 48-hour forecasts. For the winter case, aircraft, ATOVS, and ESA have the greatest total impact for the 24-, 36-, and 48-hour forecasts respectively, while ESA has the greatest impact per observation. Most of the observation effects are horizontally located upwind or in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raction of beneficial observations is less than 50%, which is less than the results in previous studies. As an additional experiment, the total moist energy norm is used as a response function to measure the sensitivity of 24-hour forecast error to observ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ation impact with the moist energy response function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with the dry energy response function. However, the ATOVS observations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the response function, showing a positive (a negative) effect on the forecast when using the dry (moist) norm for the summer case. For the winter case, the dry and moist energy norm experiments show very similar results because the adjoint of KMA UM does not calculate the specific humidity of ice properly such that the dry and moist energy norms a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humidity in air that is very low in w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