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받지 않은 Wilson`s Disease 산모의

        김세광,손용석,한성식,권혜경,이경진,문성은,박용규,재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임신과 동반된 Wilson`s disease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의 진행에 대한 기전과 모체 및 태아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도 많은 보고가 되어있지 않다. 더욱이 치료받지 않은 Wilson`s disease 환자에서 성공적인 임신과 분만은 많이 알려진 바 없다. 저자들은 간경화와 용혈성 빈혈을 동반한 치료받지 않은 Wilson`s disease 산모에서 성공적인 임신과 분만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ilson`s disease associated with pregnancy is not common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triggering the event is not known at present. There are few reports of successful pregnancies in women with untreated Wilson`s disease. Recently we experienced a 28-year-old pregnant woman with Wilson`s disease who had liver cirrhosis with hemolytic anemia. The patient had a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with no com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예배 본질의 탐구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 개신교회의 다양한 예배 모습 상황에서 모든 교회가 공감할 수 있는 예배 본질을 탐구한다. 20세기 후반의 예배 본질에 대한 논의를 가속화시킨 두 가지 동인은 교회 일치운동과 소통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예배에 관한 표어들이 등장하였는데, 역동적인 예배, 감동적인 예배, 행복한 예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 신령과 진정으로 드리는 예배 등으로 이 모두가 예배 본질의 회복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예배 본질은 예배 이해(understanding), 예배 원리(principle), 예배 정신(spirit), 예배 성격(nature), 예배 영성(spirituality) 또는 예배 표준(standard)과 구별 없이 사용된다. 친문화적인 현대교회 예배의 예배자들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공통적 요소들을 찾기란 어려운 작업인데, 먼저 예배 이해의 차이를 가져온 다양한 예배 연구 방법을 먼저 살펴봄으로 예배에 있어서 공통의 과제와 목표들을 찾는다. 지난 반세기 동안에 예배 연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용어를 열거하면 예전학(liturgics), 예전 신학(liturgical theology), 예배 신학(theology of worship), 그리고 송영 신학(doxological theology)다. 다양한 교회의 예배 속에서 일치 또는 코이노니아를 추구하기 위해서, 니케야 신조(325년)에 나타난 네 가지 교회의 요소, 즉 단일성(unity), 거룩성(holiness), 보편성(catholicity), 사도성(Apostolicity)은 중요하다. 이 요소를 예배에 적용하면, 그리스도의 한 몸으로 코이노니아를 이루는 세계교회 예배, 성령과 회중의 코이노니아를 이루는 예배, 세상과 소통하며 변혁을 이끄는 예배, 복음을 위해 삼위일체 하나님과 코이노니아를 이루는 예배로 해석된다. 이것과 함께 예배의 본질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 개념을 포함한다. 즉, 하나님의 부르심(주권), 하나님 언약 백성, 성령의 임재 (Epiclesis), 그리스도의 구원사적 사건-말씀과 성례전 (kerygma and Eucharist), 새 창조를 미리 펼쳐 보임(Eschatology), 하나님께 영광 -그리스도 몸의 지체로서 일치와 성숙(Doxology-Grace)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of protestant worship which all the church can agree with in the worship renewal phenomenon in the Church in Korea. Three motives or elements which led to study this subject of worship are the ecumenical issues, the matter of communication, and the matter of participation. With such a movement many catch praises, like dynamic worship, touched worship, happy worship, festival worship, worship in spirit and truth, have been appeared, which all of them have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the nature of worship. In this paper the term 'nature' is used in the meaning of principle, standard, understanding, or spiritualty. This paper begins with the methodology of study of worship, that is, liturgics, liturgical theology, theologies of worship, and doxological worship to seek the common tasks in the study of worship. The four elements of church in Nicene Creed, 'one holy catholic apostolic', give the insights to categorize the nature of worship through liturgical adaptation, such as global worship which holds koinonia as one body of Christ, worship which has koinonia between the Holy Spirit and congregation, worship leading the renovation through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worship which adore to the Trinity for the gospel. With these the nature of christian worship includes the theological concepts as follows: God's calling(sovereignty, God's covenant people, presence of the Holy Spirit(epiclesis), the salvanic event of Christ-the Word and Sacrament, pre-showing the new heaven and earth(eschatology), doxology through unity and maturity as the body of Christ.

      • KCI등재

        한국 기독교 장례 예전의 차별화된 핵심 가치에 관한 연구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이 글은 복음적 관점에서 해석한 그리스도인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기독교 장례 예전에 있어서 지녀야할 핵심적 가치들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이 가치들은 하나님의 창조의 섭리 안에서 미리 정하신 바로 그리스도인으로 누려야할 권리와 자산으로 장례 예전을 집례하는 목회자들과 장례사역의 사역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각 교단의 장례 예전 속에 표현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의 죽음의 의미는 기독론적 이해, 종말신학적 이해와 창조신학적 서술을 통해 더욱 분명해 진다. 이러한 이해는 계속해서 예수님과 함께 새롭고 영원 생명으로 태어나겠다는 마음을 준비하도록 돕는다. 그리스도인이 죽음을 대하는 감정을 보면 슬픔, 두려움, 그리고 존경심이다. 성서와 어거스틴,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 그리고 대한예수교장로회 신앙고백서에서 죽음은 하나님의 영원하신 경륜의 관점으로 다루어진다. 그리스도인은 죽음 후에 의식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먼저 간 믿음의 사람들과 사랑의 사귐을 나눌 수 있을 뿐 아니라 새창조의 피조물들과 더불어 하나님을 영원토록 예배하게 될 것이다. 찬송에 나타난 죽음 이해를 보면 죽음은 예수께서 이기신 대상이고, 따라서 두려워하지 말 대상이다. 또 꿈을 꾸는 것과 같은 것이고, 하늘나라를 상기시킨다. 찬송가의 이런 묘사는 죽음을 수면, 화목, 부활의 시간 등으로 해석한 신학적 이해로부터 온 것이다. 장례식 설교의 주제들을 열거하면, 복음 선포로서의 메시지, 교회공동체의 지체로서의 메시지, 봉헌의 메시지, 성만찬적 메시지, 치유적 메시지, 회상의 메시지, 선교적 메시지, 그리고 교육적 메시지다. 장례 예전을 위한 공간에도 간직해야할 개념이 있는데 안식, 공동체(코이노니아), 복음 증거, 기억으로 요약된다. 기독교 장례 예전은 일반 장례식과는 구별되는 핵심 가치가 있는데 신비, 감사, 경축, 소망이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인은 죽음의 예전은 일반 장례식이 지닌 슬픔과 애도와 위로는 물론이고 신비로 이어지는 사건, 감사할 일, 하나님의 친밀한 임재의 순간, 함께 경축할 시간, 그리고 가장 큰 소망을 표현하는 기회로 여긴다. 이러한 개념은 그리스도인들이 평생 누려왔던 성만찬의 은혜에서 누렸던 혜택들이다. 즉, 성만찬에서 누렸던 하나님께 감사(thanksgiving),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신비, 성령의 임재, 그리스도인의 코이노니아, 종말론적 식사의 즐거움이 바로 그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ssential values of funeral rites in the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death interpreted by the evangelical perspective. These values which were planned in God’s providence for creation are the rights and asse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funeral rites of every denomination in order that pastors and church members who are involved in the funeral ceremonies can recognize and celebrate them. The meaning of the death of a Christian become more explicit through Christological, eschatological, and creation theology understandings. These understandings help us to have hope for eternal life in Christ. Therefore, emotions in response to the death of a Christian are not only grief and fear, but also reverence. Views on the death of a Christian as mentioned in the bible, writings of Augustine, the Westminster Catechism, and the Confe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re entirely related to God’s eternal providence. Christians do not lose their consciousness after death, but share fellowship with Christ and with the departed faithful, and worship God eternally as the creatures of a new creation. In the hymnals, death is described as the object we ought not fear because Jesus has overcome it. The songs tell us that it is like the realm of dreams and reminds us of the kingdom of God, inspired from theological understandings that death is the same as sleep, harmony, and time of resurrection. The themes of funeral sermons are proclamation of gospel, church community, offering, sacraments, healing, remembrance, mission, and education. The concepts of a funeral space are remembrance, rest, community, fellowship, and a gospel witness. In this way, the Christian funeral has unique essential values different from the general funeral: mystery, thanksgiving, celebration, and hope. These values are the benefits that the Christian has received in the Lord’s supper all his or her life.

      • KCI등재

        차세대 예배를 위한 예배의 다양성(diversity)과 통일성(unity)에 관한 연구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이 연구는 현대 교회의 급속한 예배 변화 속에서 함께 유지할 일치된 요소들을 확 인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며, 더욱 다양해질 차세대 예배들이 함께 추구할 예배 원 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연구 주제에 초점을 맞춰 20세기 교 회일치운동의 준거가 되었던 초대교회 예배연구와 현대교회가 당면한 세계화에 따른 포스트모던과 후기 포스트모던 예배운동들을 다룬다. 초대교회예배연구는 각 교단의 폐쇄적인 예배관습의 문을 열게 했고, 그리스도교 예배에 다양성을 알게 할 뿐 아니 라, 코이노니아로서의 예배 일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초대교회예배의 다양성과 통 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초대교회에 예배공동체, 제자공동체의 예배이해, 바울의 예배 이해를 분석한다. 초기 기독교예배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예수의 하나님 사랑과 이웃과 원수에 대한 사랑의 이중계명은 다양한 예배형식과 전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코이노니아로서의 그리스도 예배의 일치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한(Hahn)이 분석한 초기의 네 부류의 예배공동체들의 특징들은 한국교회의 다양한 예배공동체의 차이 속에서 경직된 의식화, 유대적 율법화, 세속적 자유주의, 이단적 극단주의의 위 험을 경계하면서 성령의 활동을 쫓아 그리스도의 사랑이 담긴 일상성 안의 영적 예배 를 통해 코이노니아적 통일성을 발견해나갈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다. 포스트모던 예배현상인 교회일치운동으로 시작된 현대예전운동은 에큐메니칼 정신에 따른 형식인 말씀선포와 성례전 거행을, 나아가서 예배의 4중 구조인 모임, 말씀, 성찬 파송을 유 지하지만, 그것을 실행하는데 있어서는 파격적인 다양성을 존중한다. 차세대 예배의 또 다른 문화현상인 후기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에는 이성과 믿음을 동시에, 즉 교단의 교리와 개인의 개성과 경험을 함께 아우르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 칼빈예배심포 지엄과 같은 세계 교회의 예배 심포지엄의 출현, 신설교학 이후 후기신설교학의 등장, 그리고 초대교회를 닮은 작은 예배공동체운동,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기대 등이 그것 이다. 차세대 예배는 한 교단의 예배처럼 고정된 예배형태가 아니라 예배회중의 삶의 자리에 따라 모더니즘에서부터 후기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다양한 형태로 병존할 것이 다. 이런 관찰을 통해 얻게 된 다양성 속에 코이노니아적 일치의 예배에 대한 여섯 가지 원리로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균형, 예수 안에서 이미 시작된 미래를 함께 바라는 영과 진리의 예배, 그리스도의 몸의 각 지체들로서 다양한 은사를 서로 인정하며 사랑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을 완성해 가는 삶, 자발적 참여와 개인 구원과 성령의 활동에 대한 통찰, 예배자들의 다양한 삶이 예배에 반영되어 나타난 사랑의 코이노니아, 그리고 교단의 교리(이성)와 개인의 개성과 경험(믿음)을 함께 아우르는 예배이다.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elements that all christian worships ought to keep in the midst of radical changes in the modern church and to suggest a principle of worship which the next generational worships are seeking.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early church worship which was the criterion of ecumenism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worship movements of postmodernism and post-postmodernism. The study of the early church worship opened the doors of the exclusive worship tradition of the denominations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unity of worship as koinonia as well as confirming them the diversity of the Christian worship. Jesus' double commandments of loving God, neighbor, and enemy opened the possibility of the unity of the Christian worship as koinonia, in spite of the diversity in formation and tradition of worship. In his analysis of the four types of worshipping communities in the early church, Hahn shows there were the warning of the danger of the heretic extremism, rigid ritualization, judaic legalism, secular liberalism and gives a fresh insight to rediscover the unity in koinonia through the spiritual worship in the daily life which holds Christ's love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the Holy Spirit. The culture of the next generation worship can be divided into postmodern culture and post-postmodern culture. The postmodern worship is founded in the ecumenical movement which is followed by the movements of the worship book revision done in almost all denominations, the diverse modern worships, and the emergence of the narrative new homiletic. Since the 1980's the modern and dynamic worship has appeared in the names of blended worship, rainbow worship, and emerging worship among other types of worship, which help the worshippers who have been a passive audience to participate actively, providing different styles and content. The worship of post-postmodern culture seeks to temper reason with faith, that is, the experience of the congregation and the doctrine of the church. The phenomenon of these kinds of worship are found in many worship symposiums like Calvin Worship Symposium, post new homiletics, and small worshipping communities which seek to have the worship spirit of the early church, and the intergenerational worship. The next generational worship is not a constitutionalized worship which is based on a guide book or model, but will coexist with the post-postmodern worship according to the ways of life and the recognition of worship. The six principles of the worship unity of koinonia within diversity are as follows; keeping a balance between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worship in spirit and in truth that seeks to the future already begun in Jesus; worshippers who are establishing the body of Christ by loving and recognizing each other’s diverse talents as parts of the body of Christ; the insights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ersonal salvation and the activity of the Holy Spirit; koinonia of love that the diverse lives of the worshippers appears to be reflected to worship; and the worship that tempers the doctrine of the church(reason) with the experience of the worshipers. The double commandments of both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open the possibility of the unity of the Christian worship as koinonia in spite of the differences between diverse forms of worship and tradition.

      • KCI등재

        ChatGPT를 활용한 청소년 지도 사례연구: 청소년 주제탐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세광,권일남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3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9 No.2

        Background: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accelerated accessibility to digital environments and spaces due to the emergence of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like ChatGPT, necessitating the exploration of AI-related applications in the realm of youth activities.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integrated into youth guidance and determine whether AI holds potential roles in guiding adolescents. Methodology: The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I in youth guidance, and as part of a thematic exploration project, conducted a case study involving 8 youths starting from March 2023. To this end, a digital environment was created to analyze interactions and synergies among peer groups and youth mentors. Findings: Participating youths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he disparity in virtual experiences and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metaverse. They were observed using ChatGPT to structure their thoughts and facilitate a deeper understanding of subjects. The study also witnessed a shift in initial perceptions of metaverse, confirming the enjoyment of learning through play within metaverse environments. Conclusion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youths' interests and needs, appropriate technological use, and ongoing support to enhance their digital competencies.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landscape calls for the consideration of diverse youth activities and creating various digital environments, imposing challenges on youth mentors in this dynamic context

      • KCI등재

        메타포적 관점으로 본 미래 예배 연구 - 소통과 참여의 예전을 중심으로 -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이 연구는 작금의 팬데믹 현상에 따른 급격한 예배 변화 상황에서 세대 간의 소통 결여와 전통과 미래 사이의 문화적 갈등을 함께 담아낼 수 있는 소통과 참여의 예전 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미래 예배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예전의 현대적 해 석, 즉 메타포적 관점으로 예전을 재진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세대별 단절에 따른 예배 차이, 전통적 신학과 교단을 넘어선 글로벌 신앙공동체와의 교류, 예배자의 은 사, 이미지와 상상력을 포용하는 예전, 온라인 예배 공간에 대한 인식, 테크놀로지에 대한 우려와 기대, 공평, 자유, 정의, 환경 등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예배, 이와 함께 메타포적 담론이 시대를 초월하여 회중을 적극적 소통과 능동적 참여로 이끌 수 있다 는 기대를 전제한다. 대부분의 예술, 즉 시, 소설, 노래, 춤, 연극, 건축, 벽화에서 이미 지와 메타포를 사용하여 하나님과 신앙의 신비를 표현하는 것처럼, 예배 안의 요소들, 즉 기도, 찬송, 설교, 예배순서와 형식, 예배공간과 예술, 몸의 참여와 행위, 조명, 음 향, 인터넷, 방송들에서 메타포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다섯 가지의 예전적 메타포, 즉 설교, 기도, 찬양의 예배 텍스트로서의 언어적 메타포, 예배 형식과 구조로서의 의례적 메타포, 예배 공간과 예배 예술로서의 시각적 메타포, 의례적 행위로서의 몸의 메타포, 테크놀로지로서의 웹(web)의 메타포는 전통 과 현대의 양극단의 의례 사이에 평등한 소통과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모든 예 전이 지향하는 능동적 참여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하나님, 회중, 세 상을 이어주는 메타포적인 관점으로 예전을 다시 진술할 때, 오늘의 예전은 하늘과 회중, 회중과 삶을 이어주는 예전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urgy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at can capture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the future as well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n the context of rapid changes in worship due to the current pandemic. The research method is to restate the liturgy in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liturgy that future worshipers can sha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worship according to generational division, exchanges with the global faith community beyond traditional theology and denominations, gifts of worshipers, perceptions of liturgy and online worship spaces that embrace image and imagination,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echnology, and fairness. It presupposes the expectation that worship that reflects the values of the time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environment, along with metaphorical discourse, can lead the congregation to active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eyond the times. Just as most arts, poetry, novels, songs, dances, plays, architecture, and murals use images and metaphors to express the mysteries of God and the faith, so do the elements in worship: prayer, hymn, sermon, order of worship, and so on. The role and function of metaphors can be confirmed in form, worship space and art, body participation and action, lighting, sound, internet, and broadcasting. The following five liturgical metaphors are: linguistic metaphors as worship texts of sermons, prayers, and praise; ceremonial metaphors of worship forms and structures; visual metaphors of worship spaces and worship art; body metaphors as ritual acts; The metaphor of the web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eq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rituals of the two extremes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will enable us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that all ancestral rites are aiming for. When we re-state the liturgy from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connects God, the congregation, and the world, today's liturgy can be approached as a liturgy that connects heaven and the congregation, and the congregation and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