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성현,김성회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Is it possible to construct a tolerance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in a valid manner? 2. Is it possibl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experiential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at middle schools respectively located in the cities of G and S, South Jeolla Province. After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1 students each, two group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respectively going to participate in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and the self-regulation program, and the third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us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was Kim Sung-hyun(2011)'s Tolerance Scale for Youth that was based on tolerance theories and techniques of earlier studies.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built on Kim Sung-hyun(2010)'s DMCCP.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WIN 15.0 was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structed in a valid way in order to improve the toler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2.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the tolera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consequently turned out effec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tolerance of middle schoolers who fa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are in conflicts with others. Second, the tolerance promo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vent possible interpersonal conflicts at school, to relieve students of egoism and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구성하여 경험적으로 그 효과성이 검증될 것인가 이었다. 둘째,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은 관용성 전체 및 각 하위요인(타인존중, 개방성, 자기조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DMCCP: 12단계)을 근거하여 연구목적과 내용에 부합되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구안된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G시와 S시에 재학 중인 중학교 1-2학년 남․여 학생 33명이었고, 각각 11명씩 3개 집단으로 무선배치한 후에 2개 집단을 실험집단(관용성 증진 집단), 비교집단(자기조절 집단)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1개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과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 도구와 분석방법은 측정시기별(사전-사후-추후 1-추후 2)로 청소년용 관용성 척도(김성현, 2011), 자기통제력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에 대해 일원 및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은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체계적이고 순환성을 보완하여 개발되었기에 그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중학생용 관용성 증진 프로그램은 관용성 전체 및 각 하위영역(타인존중, 개방성, 자기조절)에서 실험집단(관용성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중학생들의 관용성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자기조절 집단)보다도 중학생들의 관용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사-부모 협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서유능감의 매개효과

        김성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부모 협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정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298명과 그 담임교사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부모협력’, ‘아동행동평가척도’, ‘유아사회정서적 유능감 검사도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구조방적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Bootstrapping 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는 직접효과도 나타났지만 사회정서적 유능감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여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교사-부모 협력은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회정서적 유능감이 완전매개를 통해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였다.

      • KCI등재

        찰스 번스틴의 공적시 비판에 나타난 문화방해적 전략

        김성현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22 현대영미시연구 Vol.28 No.2

        The criticism on Official Verse Culture by Charles Bernstein takes on the similar features to the strategies of Cultural jamming which was caused in response to the spectacle of the capitalist society. Bernstein’s language poetry takes on a similar feature in its subversive and resistant strategies to Culture jamming which turns out to be critical movement toward the daily life of Capitalist ideology represented by mass culture and consumerism. In the late 1990s, Kalle Lasn, who initiated the Culture Jamming, pronounced that historical context of Culture Jamming resulted from incipient punk rockers, hippie in 1960s, Situationist Internationalist, surrealists, dadaists, and anarchists resisting against capitalist social ideologies. In this vein, it seems possible to infer that Bernstein and the poetics of language poetry must have intellectual affinities with ideologically subversive and resistant aesthetics to capitalism society witnessed in the strategies of Culture jamming. In this respect, realizing that Bernstein’s poetics takes on similar features to Debord’s socio-cultural concepts, it seems possible to say that language poetry is not just a literary trend, but rather it should be regarded as ideological significance that redefine poetry as part of popular culture. .

      • KCI등재

        국내 관련 법과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의 제정 필요성 연구

        김성현,이창무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4

        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오늘날, 사이버공격은 초국가적인 형태로 민간과 공공 구분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지난 2009년의 DDOS 사건을 포함하여 청와대, 언론, 금융기관 전산 시스템 마비 등 사이버 위협은 갈수록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기본법이 존재하지 않고, 국내의 여러 법률에 관련 내용이 산재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는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내용의 법 적용 및 판단 근거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2006년 ‘사이버위기 예방 및 대응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었지만 폐기되었고, 이후 꾸준히 발의되었지만 기존 법률과의 중복문제 및 개인정보침해우려 등으로 번번이 통과가 무산되었다. 가장 최근 발의안은 ‘국가사이버안보법안’으로 2017년 1월 정부가 발의하였다. 이 법안은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기본법의 부재를 해결하고, 사이버안보위기시의 대응 능력 강화 및 안보력 함양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을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국내의 기존법과 비교 분석을 통해 그 필요성을 고찰하고, 개선점을 제언함으로써 사이버안보 기본법으로서의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의 올바른 제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During the recent years, cyber attacks have been increasing both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Those include the DDOS cases in 2009, the Blue House cyber attack, bank hackings etc. Cyber threa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However, there is no basic law related to cyber security at present, and regulations related to cyber security are scattered in various domestic laws. This can lead to confu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d difficult to grasp the regulations related to cyber secur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bill on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crisis was initiated in 2006, but it has been abrogated. Since then, it has been repeatedly proposed, but it has been abrogated repeatedly due to the overlapping of existing laws and concerns about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recent initiative was the National Cyber Security Act, which wa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January 2017. The act focuses on resolving the absence of a basic law related to cyber security, strengthening its responsiveness in the event of a cyber security crisis, and fostering security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yber Security legislation as a basic law of cyber security by examining the necessity of National Cyber Security legislation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th existing domestic laws related to cyber security and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일반국도의 지점 및 구간검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김성현,임강원,이영인 대한교통학회 2005 大韓交通學會誌 Vol.23 No.5

        현재까지 다양한 검지기로부터 추정되는 통행시간의 융합에 관한 연구는 주로 GPS, Probe 자료 등 간헐적인 자료에 기반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간헐적 자료의 분산비에 기초한 융합모형은 번호판 인식 AVI와 같이 다량의 자료 구득이 용이한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점검지기와 번호판 인식 AVI를 기반으로 각각 산출한 통행시간의 융합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점검지기와 번호판인식 AVI 통행시간의 융합을 위해 최적화 융합모형과 비례화 융합모형을 각각 개발하였다. 검증 결과, 최적화 융합모형이 가장 우수한 추정력을 보여주었다. 최적화 융합 모형은 실시간 이력자료를 기반으로 융합 가중치를 산정하여 현재 시간대에 적용하는 실시간 차원의 동적 융합비 예측 모형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도교통관리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AVI의 적정 설치간격과 설치차로에 따른 매칭율을 고려한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필요로 한다. Up to now studies on the fusion of travel time from various detector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variance raito of the intermittent data mainly collected by GPS or probe vehicles. The fusion model based on the variance ratio of intermittent data is not suitable for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AVIs which can deal with vast amount of dat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fusion model based on travel time acquired from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AVIs and the point detectors. In order to fuse travel time acquired from the point detectors and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AVIs, the optimized fusion model and the proportional fusion model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e optimized fusion model showed the superior estimation performance. The optimized fusion model is the dynamic fusion ratio estimation model on real time base, which calculates fusion weights based on real time historic data and applies them to the current ti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for National High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traffic information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the proper distanc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VIs and the license plate matching rate according to the lanes for AVI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일반국도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동질구간 기반 지점검지기 배치에 관한 연구

        김성현,이영인,임강원 대한교통학회 2006 大韓交通學會誌 Vol.2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the logic to determine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effectively in order to provide dynamic travel time on real time base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First, considering real time traffic pattern fluctuation,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final homogeneous section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determine lengths of the homogeneous sections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 the cluster analysis was used based on real time data.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ous section, the case with detectors in all links and the case with detectors in homogeneous section for each time period are used. A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each cases showed similar estimation resul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National Highway traffic management and the system to provide a traffic information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study, when the homogeneous section decision model are used to the ITS project for National Highway, operation cost is expected to be cut by effectively establishing point detectors. 본 연구는 지점검지기의 효율적 배치기준인 동질구간 결정 로직을 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동질구간의 결정은 도로 및 운영조건과 실시간 교통패턴의 변동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동질구간 및 최종 동질구간을 결정하였다. 교통조건의 동질구간 결정은 실시간 자료에 기반한 군집분석을 이용하였다. 동질구간의 검증을 위해 모든 링크에 검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와 동질구간에 검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통행시간 추정력을 비교한 결과 동질구간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도교통관리 및 정보제공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동질구간 결정 로직을 대규모 국도 ITS 구축사업에 적용할 경우, 통행시간 추정력의 향상과 함께 지점검지기의 효율적 배치를 통한 구축 및 운영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