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즐 압력비와 충돌면까지의 거리 변화에 따른 초음속 충돌 제트 유동의 진동 특성

        김성인(S. I. Kim),박승오(S. O. Park),이광섭(K. S. Lee)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4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Numerical simulations of supersonic impinging jet flows are carried out using the axisymmetric Navier-Stokes code. This paper focuses on the oscillatory flow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 of the nozzle pressure ratio and nozzle-ta-plate distance. Frequencies of the surface pressure oscillation from computational results are in accord with the measured impinging tones for various cases of nozzle-ta-plate distance. The variation of this frequency with distance show a staging behavior. Computed results for the case of nozzle pressure ratio variation for a fixed nozzle-to-plate distance also demonstrate a staging behavior. These two seemingly different staging behaviors are found to obey the same frequency-dist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frequency and the distance are normalized by using the length of the shock cell.

      • 이달의과학자-품질관리 전문가시스템 연구 고려대 산업공학과 김성인 교수

        김성인,Kim, Seong-I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5 과학과 기술 Vol.28 No.2

        무한경쟁속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품질관리 전문가시스템에 관한 연구논문을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는 김성인 교수를 만나보았다.

      • KCI등재

        훈민정음체 서예의 난수 서법 모델

        김성인(Kim, Seong-I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8 No.-

        최고 경지의 예술가가 오랜 기간 각고의 수련과 깊은 사려 끝에 터득한 다양한 지식, 경험과 기술이 그의 내면에 쌓여져, 작품의 창조과정에서 그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발현된다고 한다. 그의 작품에는 무한한 변화가 보이지만, 자연스러운 균형이 느껴진다. 최고 경지의 예술가는 의식 중의 무의식으로, 무질서 속의 질서를 작품에 구현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定性的 예술 분야인 서예에서의 抽象的 특징인 “의식 중의 무의식, 무질서 속의 질서”를 定量的 수학 분야에서의 數理的 모델로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이 모델은 훈민정음체 서예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 각각의 형태, 크기, 위치, 농도, 굵기, 기울기 등 미학 요소들의 다양한 표현들로 이루어지는 방대한 조합들을 포괄하는 體系와, 이중에서 어떤 한 조합을 할당된 확률로 선택하는 亂數로 이루어진다. 한글의 조형적 특성과 훈민정음체의 예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한 형태로 체계가 구축된다. 서예가는 본인의 의지를 개입시키지 않고 체계에 따라 할당된 확률로 난수가 구성하는 미학 요소들의 조합을 화선지에 실현한다. 난수의 숫자들은 무질서한 배열로 보이지만 수치로 설명되는 통계적 질서를 갖고 있어, 이러한 무질서 속의 질서를 갖는 난수의 성질이 작품에 반영될 것이다. 이 모델을 용비어천가 일부에 적용하여, 그 적합성, 활용 방안 및 발전 방향을 검토한다. 이 모델은 고려하는 요소의 종류와 표현, 그리고 난수에 할당하는 확률 값에 따라서 다양한 면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예가마다 자신만의 모델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이 시도는 “인공지능 서예”의 작은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said that the various knowledge, experiences, and skills acquired over a long period of hard training and deep thinking by a master of art are accumulated in his inner mind, and then are emerged in his own unique way in his creation process. There will be infinite variety in his work, but a feeling of natural balance. In the state of unconsciousness within consciousness, he embodies the order within the disorder of his work. This paper attempts an approach to formulate the abstract concept “unconsciousness in consciousness, order in disorder” in the qualitative art of calligraphy into a probabilistic model in the quantitative science of mathematics. This model consists of a hierarchy that encompasses vast combinations of various expressions of aesthetic elements, such as the shape, size, position, density, thickness, and inclination of each of the first, medial, and final strokes in Hangeul s Hunminjeongche and random numbers that select one among the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probabilities assigned. Consider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and the artistic features of Hunminjeongche, a hierarchy is established in a form that allows computer programming. Without the will of his own, the calligrapher realizes a combination of aesthetic elements on paper, as the random numbers dictate according to the probabilities assigned by the model. The random numbers appear to be a disorderly arrangement, but they have some statistical orders which are numerically explainable, so this nature of random numbers, order in disorder, will be reflected in the work. We will review the validity, applicability,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model by applying it to a part of “Yongbieocheonga.” Since the model can be diverse, they will have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factors chosen, their variability considered and the probabilities assigned to random numbers. Accordingly, each calligrapher can have his or her own model and improve it. This attempt is expected to serve as a small found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calligraphy.

      • KCI등재
      • KCI등재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성인(Sung-In Kim),윤지아(Ji-A Yoo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에 관련된 연구 논문을 수집 및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분야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자 특성’ 의 5개 항목으로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총 81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생명 기술이나 발명 등 다른 분야에 비해 연구물이 적은 편이다. 둘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주로 초·중·고등학생과 문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 및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셋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교육과정, 교과서가 대부분이었고 교육 평가, 시설 및 설비, 태도와 인식, 교육 철학에 대한 연구는 저조하였다.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하위 주제를 살펴보면 육상 수송 기술과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많았고 해상 수송 기술과 우주항공 수송 기술, 동력 기관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넷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혼합 연구가 수행된 논문도 일부 있었지만 질적 연구를 활용한 논문은 전무하였다. 다섯째, 수송 기술 교육 관련 연구는 단독 연구자에 의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2인이 연구한 논문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자는 관련학과 교수와 현직 교사가 대부분이었으며 연구소 소속은 매우 적었고 산업 현장의 전문가는 전무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중등 수송 기술 교육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여 수송 기술 교육의 개선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 급변하는 기술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산업 현장의 전문가, 교사, 교수 등 다양한 연구자가 함께 연구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나아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후 확정되어 개정·고시되면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수송 기술 교육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 고민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collecting and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present the fields that require research in the future and the directions of such research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81 researches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were conducted from 2002 to February 2022, which indicated that the outcomes were less than those in biotechnology, invention, and other fields. Second, th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was carried out on bo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literature. Meanwhile, less research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 research was fully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curriculums, and textbooks as its theme, but was poorly conducted on educational evaluation, facility and equipment, attitude and perception, and educational philosophy. Fourth, the research extensively employed literature reviews and quantitative research. Some papers used mixed-method research; however, no paper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Fifth, in th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most papers were compiled solely by one researcher, and then followed by two researchers. Researchers engaged fully with the relevant department professors and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more research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s needed to improve the education on transportation technology by enhancing diversity in the aspects of research subject, theme, and methods. To reflect rapid advances in technology, it is also necessary to continue conducting research along with various researchers, such as professionals in industrial sites, teachers, professors, etc.

      •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청소년을 위한 챗봇 기반의 자기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성인(Sung-In Kim),류명한(Myeonghan Ryu),조은경(Eunkyung Jo),차인하(Inha Cha),영호(Young-Ho Kim),유희정(Heejeong Yoo),홍화정(Hwajung Hong)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사춘기에 나타나는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는 자기관리전략을 스마트폰 기반의 챗봇프로그램으로 구현하고, 챗봇 제작을 위한 디자인 고려사항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 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5 명의 보호자, 4 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작한 챗봇 프로토타입에 대한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일주일간 챗봇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파일럿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챗봇프로토타입은 위생 및 용모 관리, 사회적 기술 훈련, 목소리 조절 등의 다양한 행동 영역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자기관리능력을 증진할 수 있으며, 자녀-보호자 간의 의사소통을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 유아의 인지적·정서적 실행기능 및 양심의 관계

        김성인(Sung In Kim),남은영(Eun Young Nahm)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2

        Objectives: Preschoolers’ conscience refers to a concept revolving around moral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conscience,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Furthermore, it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and preschoolers’ conscience. Methods: Participants comprised 220 mothers and teachers engaging with preschooler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refore, a research process, which suited the changing operation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ue to social distancing, was adopted. The mot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preschoolers’ conscience and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and the teachers on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the preschoolers’ consc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and preschoolers’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Th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mediated the effect of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on their conscience. Specifically, the plannning and organizing of the executive fun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fficient interactive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ed conduct. The bootstrapping result suggested that the indirect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an area of morality that is less researched and incorporated the importance of executive function into it. Additionally, the result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on their conscience. The results obtained are expected to help organize activities for developing morality.

      • KCI등재
      • KCI등재

        비만세포 (Mast cell) 과렵 염색을 위한 Giemsa 염색액의 적정 pH 연구

        김성인 ( S I K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2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2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pH of Giemsa stain for the demonstration of mast cell granules. Various buffers from pH 4.0 to pfl 9.0 were used. Sections were treated for 30 minutes with a mixture of buffer 30 ml and stock Giemsa solution 1 mi. After washing with distilled water, decolorization is performed with absolute ethanol for 20 seconds and clear in xylene 3 steps, and mount in a canada balsam. The results are that mast cell granules were stained red and nuclei were blue, collagen fibers were pink to light-blue in all pH solutions.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at pH 7.0-8.0 solutions and the more increaed pH solution were used the more intensity stain result were obtained.

      • KCI등재

        평판형 나트륨 유황 전지의 초기 충방전시 방전전압 변화

        김성인,헌태,최희락,임산수대,양기덕,범진형,창삼,Kim, Seong-In,Kim, Heon-Tae,Choi, Hee-Lack,Lim, San-Su-Dae,Yang, Kee-Deok,Beum, Jin-Hyung,Kim, Chang-Sam 한국결정성장학회 201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4 No.4

        나트륨 유황 전지는 $35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대용량 전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전지는 음극 액체 나트륨과 양극 액체 유황 그리고 고체 전해질 베타 알루미나(${\beta}^{{\prime}{\prime}}$-alumina)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지는 초기충방전 사이클에서 상당한 전압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전지의 안정화를 위해 컨디셔닝 과정이 필요하다. 실험 결과 전지 전압 변화의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가 액체 나트륨과 고체 전해질과의 접촉 면적이 변하기 때문인 것을 알았다. The sodium-sulfur batteries which operate at $350^{\circ}C$ have been mainly used in the field of energy storage system. This batteries consist of liquid sodium anode, sulfur cathode and ${\beta}^{{\prime}{\prime}}$-alumina solid electrolyte. The conditioning process for stabilization of the batteries is essential since the cells show considerable fluctuation of discharge voltage at the beginning of discharge/charge cycles. It is found that one of the reasons of the fluctuation is the gradual change of contact area between molten sodium and solid electroly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