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 개정본)

        김선희,최재혁,최영준,박병용,이수헌,김경희,공현기,김동근,김순옥,김영호,백창기,변희성,서장균,유준명,윤주연,이동현,이승열,임승모,전용호,전재용,최인수,최인영,최효원,홍진성,홍승범,Seon-Hee Kim,Jaehyuk Choi,Young-Joon Choi,Byeong-Yong Park,Su-Heon Lee,Gyoung Hee Kim,Hyun Gi Kong,D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한국식물병명목록 6판이 2022년 4월에 발행된 이후에 1년이 경과하였다. 목록 6판에서 발견된 오류사항을 수정하고 6판 이후에 보고된 병을 추가하여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을 작성하였다. 기존 6판의 수정사항은 397건으로 대부분은 단순 오탈자나 경미한 사항이었으나, 12개의 병은 중복이나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삭제하였고, 2개의 병은 병명을 바꾸었다. 2021년 이전에 보고되었으나 6판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6판 발행 이후에 보고된 158개의 병을 추가하였다. 결국 목록 6.1판에는 6판에 보고된 병 6,534개에 146개 병이 추가되어 총 6,680개의 병이 수록되었다. 기주 분류군도 30개가 더해져 목록 6판의 1,390개에서 6.1판에는 1,420개가 되었다. 병원체는 목록 6판의 2,400개에서 62개가 더해져 6.1판에는 2,462 분류군이 되었다. 결국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은 1,420개의 기주에, 2,462 분류군의 병원체가 일으키는 6,680개의 병을 수록하고 있다. 목록 6.1판은 책으로 인쇄되지는 않고 온라인 한국식물병명목록(https://genebank.rda.go.kr/kplantdisease.do)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More than a year has passed after the 6th edition of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LPDK)' was published in April 2022. The 6.1st edition (2023) of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was made by correcting errors found in the 6th edition of list and adding new diseases reported after the 6th edition. There were 397 corrections from the 6th edition, most of which were simple spelling errors or minor issues. However, 12 diseases were deleted due to duplication or unclear literature proof, and 2 diseases had their diseases' common names changed. We added 158 diseases that were reported before 2021 but not included in the 6th edition, or reported after the 6th edition. After all, 146 diseases were added to the 6,534 diseases in the 6th edition, resulting in a total of 6,680 diseases in the 6.1st edition. Thirty host taxa were also added, increasing the number from 1,390 in the 6th edition to 1,420 in the 6.1st edition. Pathogens were also added to 62 taxa, from 2,400 in the 6th edition, bringing the total to 2,462 taxa in the 6.1st edition. Ultimately, the 6.1st edition (2023) of 'Th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contains 6,680 diseases caused by pathogens of 2,462 taxa on 1,420 hosts. The 6.1st edition is not printed as a book, but is provided through the onlin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https://genebank. rda.go.kr/kplantdisease.do).

      • KCI등재

        척수 손상을 일으킨 경부 가위 관통상

        김선희 ( Seon Hee Kim ),최선우 ( Sun Woo Choi ),박성진 ( Sung Jin Park ),여광희 ( Kwang Hee Yeo ),김창완 ( Chang Wan Kim ),이상봉 ( Sang Bong Lee ),김호현 ( Ho Hyun Kim ),박찬용 ( Chan Yong Park ),김재훈 ( Jae Hun Kim ),황정주 ( J 대한외상학회 2015 大韓外傷學會誌 Vol.28 No.2

        Penetrating neck trauma involving spinal cord injury is relatively uncommon, but can be life-threatening. We report a case of 59-year-old female who presented with hypotension after stab injury self-inflicted with a scissor to her neck. Although Open removal of the scissor and control of bleeding were successfully done, penetration of spinal cord resulted in a neurologic impairment. [ J Trauma Inj 2015; 28: 71-74 ]

      • KCI등재

        흑마늘 화장품의 주름개선 및 미백에 대한 피부미용 효과

        김선희 ( Seon Hee Kim ),전승철 ( Seung Cheol Jun ),홍양희 ( Yang Hee Hong ) 한국미용학회 2009 한국미용학회지 Vol.15 No.3

        흑마늘 화장품의 주름개선 및 미백에 대한 피부미용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기본 크림과 10% 흑마늘 크림을 사용하여, 30-40대 주부 15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적용하여 주름개선, 피부 보습, 피지 조절 및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피부 주름, 수분 그리고 유분 측정 결과 모두 10% 흑마늘 크림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p<0.01), 흑마늘 추출물이 주름 개선 효과와 유·수분 조절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Mexameter를 사용한 피부멜라닌 측정 결과는 10% 흑마늘 크림 사용군이 기본 크림 사용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이는 흑마늘 추출물이 기본 크림보다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며, 천연 미백제로서 우수한 소재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과학 관련 태도 측면에서 본 과학 교수 학습 방법별 교육 효과

        김선희 ( Seon Hee Kim ),정찬미 ( Chan Mi Jung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초등과학교육 Vol.34 No.3

        In this study, we summarized and analyzed domestic research papers including science-related attitude in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30 years, mainly teaching & learning methods. We reviewed 240 papers of experimental design 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until the last volume of 2014 with result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are that students preferred group compensation rather than individual compensation. Also,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On the other hand, students`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science class focusing on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f teaching & learning methods in science will be expected to be useful when science teacher makes a selection the proper teaching methods.

      • KCI등재

        특집: 성호학파의 가족관과 가족생활 : 가난, 병, 죽음: 삶의 난관 앞에 선 실학자들

        김선희 ( Seon Hee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이 논문은 조선의 지적 전통의 내부로 진입하는 한 방법으로 개인과 그의 삶의 공동체 내에서의 실천과 지향을 파악하는 경로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실제 생활 세계 안에서 발생하는 가난, 병, 죽음 등 누구나 실존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삶의 난관에 맞서 성호학파가 어떻게 대응하고 어떤 실천을 모색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유학에서 가난과 그에 따른 검소한 삶은 자기 수양과 학문 그리고 도덕적 완성의 토대로 여겨져 왔다. 공자 이래로 유학자들에게 검약은 단순히 생계유지나 운영의 방법이 아니라 그 자체로 삶의 원리이자 가치적 지향을 담은 세계관의 문제였다. 병과 죽음 역시 인간적 감정의 차원에 매몰될 수 없는 이념적 지향과 관련된다. 성호는 특히 검약의 강조와 더불어 사치를 비판하는 데 이 두 가지 긴장은 결국 이들이 바라던 공적 세계상과 연관된다. 성호학파에게 검약의 실천은 공적 정치 영역으로 갈 수 없었던 이들이 생활 속에서 공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성호학파들은 이런 지향 속에 실질적인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삶의 자원을 노동으로부터 해결하고자 한다. 불필요한 사치가 없고 노동의 결과물에 대한 수탈이 없다면 각자 생계유지를 위한 노동만으로도 천하가 안정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이들에게 노동의 강조는 자원과 지위가 없는 사회 구성원들이 자립하며 삶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일종의 공적 가치 실현의 방법이었다. 이들은 삶에 필요한 자원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가정과 가문을 유지하고, 죽음의 의례에 들어가는 비용과 절차를 줄임으로써 검약을 통해 생활에서 공적 가치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상례(喪禮) 역시 한 개인, 한 집안의 검약이 사회 전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성호 학파의 경계와 비판과 연결된다. 이들에게 신후의 준비는 예의 차원을 넘어서 사적 차원에서 실현하는 공의 이념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검약의 원리로 사회 제도를 구축할 뿐 아니라 가정 생활을 영위하고, 죽음을 준비하고자 했던 것은 이러한 삶이 공적 세계에서 기대되는 올바른 삶의 형식이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가족이라는 삶의 공동체가 겪는 실존적 조건으로서의 가난, 병, 죽음의 문제를 통해 성호학파가 꿈꾸었던 올바른 세계에 대한 이념과 실천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suggests a way of understanding Joseon`s intellectual tradition, which is a path of perceiving one`s practice and orientation in his community. It focuses on the subject of poverty, illness and death occurring in life-world, namely, in one`s community including their family, relatives and writers. And it covers how Seongho school responded to those trouble of life and what kinds of practices they sought for. By traditions of Confucianism, poverty and thrifty living had been regarded as a foundation of self-discipline, one`s learning and moral life. For confucianism philosophers, the frugalness is not merely a way to make a living but a view of the world including value orientation. Illness and death also concerns ideological orientation, not restricting to humane emotions. Especially Seongho school stressed practicing thrifty and criticized extravagant spending, which connected with a picture of the public world that they hoped. For them, who couldn`t make their ways into public post, the practicing thrifty is a way of practicing the public value in their daily life.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bor and tried to obtain necessaries of life by the products of labor. No dispensable extravagance, no plundering of the products of labor, they believed that only labor for sustentation could stabilize the whole country. The emphasis on labor is a way for realizing the public value that stabilize the livelihoods of social members who had no social resources. They maintained pedigree minimizing necessaries of life and reducing funeral expenses. Funeral rites also concerns Seongho school`s criticism on how individual frugalness are connected with total society. By the principle of frugalness, they hoped to construct the social system, to manage domestic life, and to prepare for death, because a frugal life was the way of life to be expected right life-style in public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ject of poverty, illness and death to consider Seongho school`s ideas and practices on right world.

      • KCI등재

        MRI 보험급여 적용이 진료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한 종합병원의 청구자료를 중심으로

        김선희 ( Seon Hee Kim ),김춘배 ( Chun Bae Kim ),조경희 ( Kyung Hee Cho ),강임옥 ( Im Ok Kang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8 보건행정학회지 Vol.18 No.2

        As medical insurance had been implemente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rom January 1,2005,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had been any change in the amount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patients who undertook MRI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and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medical care utilization of MRI.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undertook MRI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for a year at a general hospital in Kyeonggi-do. Χ2 and t-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MRI, and its medical costs before an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MR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MRI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medical costs of MRI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tient`s share of medical costs. Third, six variables were found to be affecting the amount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MRI, and the variables showed to lead the number of MRI decrease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These six factors explained 21.4% of the total number of MRI. As MRI had been covered by insurance, the use of MRI a nd patient`s share of the costs were deceased, but the total medical costs were not affected. Reasons for that could be found in that MRI insurance, different from the case of CT insurance coverage, was allowed not to cover some items and the kinds of diseases subjected to the insurance coverage were extremely limited, lowering insurance prescription rate. In addition to that, the average medical cost of MRI was not changed after the insurance coverage. Therefore, as future measures for the MRI insurance coverage, it should be considered to allow insurance coverage to no coverage items and to expand the scope of benefit coverage, or to lower patient`s share of the costs. Furthermore, researches should be done to explore how recipients will act and how suppliers will react if the coverage is expanded, including expanding the scope of coverage and reducing patient`s share of the costs, as well as to conduct research on its economic analysis according to case mix.

      • KCI등재

        양을 훔친 아버지를 숨겨 주어야 하는가?

        김선희(Seon hee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6 인간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유가의 도덕적 책임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선진 유가가 제안하는 도덕적 책임의 구조는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이를 실질적 배려로 바꾸는 ‘정의(正義)’에 관한 관점과 연결되어 있다. 유학에서는 공감과 배려의 실천을 통합하는 책임이 정의실현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논어』에 등장하는 섭공과 공자의 대화에 나타난 책임과 정직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양을 훔친 아버지를 고발한 사람을 정직하다고 칭찬하는 섭공과 달리, 공자는 이를 도덕적 책임의 실패로 간주한다. 공자는 양을 훔친 아버지를 숨겨 주는 것이 아버지를 고발하는 것보다 상위의 도덕적 책임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국가의 이익을 위해 강력한 법으로 개인의 책임을 규정하고자 하는 법가의 관점과 다르다. 이 맥락에서 공자가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법은 혈연에 대한 특수한 책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공자는 정직을 책임의 중요한 기준으로 제안한다. 미생고의 예에서 알 수 있듯, 공자는 정직이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한계 안에서 행위하고 그 결과를 감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공자가 말하는 정직과 책임은 일어난 사건에 대한 실질적 책임을 넘어서, 사전적 예방을 위한 도덕적 접근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공자에게는 현재의 잘못을 징계하고 보상하기보다 앞으로 발생할 다른 도덕적 실패를 막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공자는 잘못에 대한 사회적 징계보다 스스로에 대한 도덕적 실패가 더 큰 문제라고 보았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공자가 생각하는 진정한 책임은 도덕적 자율성의 확보에서 출발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moral responsibility. Moral responsibility which Confucians suggest is related with a conception of justice which converts empathy into practical care. This paper regards Confucian responsibility as a concept which integrates empathy with practice of care. It examines an issue of responsibility and honesty in Lunyu 13.18. While the Duke of She commends a son who reported his father when the father stole someone"s sheep, Kongzi considers it as a failure of moral responsibility. To resolve the dilemma between responsibility towards one"s country and responsibility towards one"s family, Kongzi emphasizes special responsibility for consanguinity and provides honesty as a significant criterion of responsibility. For him, honesty and responsibility not only involves practical responsibility for an incident but also a moral approach for preventive protection, and the latt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former. In conclusion, genuine responsibility Kongzi thinks is based upon securing autonomy.

      • KCI등재

        朝鮮後半期佛畵特輯 : 浮石寺 三身三世佛掛佛圖 硏究

        김선희 ( Seon 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9 No.-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현재 2점이 알려져 있다. 한 점은 1684년 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한 점은 부석사에서 봉안하고 있는 1745년 작 <삼신삼세불괘불도>로 1684년 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을 바탕으로 하여 조성되었다. 부석사 <삼신삼세불괘불도>는 조선시대 불교회화의 여러 주제들 가운데 하나로서, 임란 이후 비로자나불 위주의 화엄사상과 석가모니불 중심의 법화사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도상으로, 첫째, 부석사 괘불도는 한 화면을 상·하 2 단 배치법을 보여주는 구성으로서, 상단의 삼신불이 하단 석가불 위주의 영산회도를 보완해주는 독특한 구도이다. 비로자나불 중심의 삼신불과 석가불 중심의 삼세불이 결합된 오불회도의 도상특징은 조선 전기로부터 시작되어 부석사 괘불도에서 정점을 이룬다. 1684년과 1745년에 조성한 두 점의 부석사 괘불도는 규모나 작품성에 있어 당대를 대표할 수 있는 불화로 17-18 세기 조선조 괘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둘째, 1745년 작 부석사 괘불도는 1684년 작 괘불도를 바탕으로 하여 사상적인 면에서는 다를 바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구도, 형태, 색채에 이르기까지 양식적인 면에서 차이를 분명하게 나타내고 있어, 18세기 중엽으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불화로서 그 가치가 평가된다. 셋째, 참여화사로는 서기(瑞氣)· 자인(自仁)·유성(有誠)등 15 인이 동참하였음이 파악된다. 그 중 ``자인’은 봉정사 감로왕도(감로왕 도) 조성 시 수석 화원으로 활약하였고, 동참 화원 ``유성’은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임한(임한)’의 화풍을 계승하여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이렇듯 괘불도의 화기를 통하여 두 괘불도 간의 관련성이 짐작된다. There are two known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三身三世佛 掛佛圖) at the Buseok-sa Temple (浮石寺). One was created in 1684 and is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other was created in 1745 and is currently enshrined at the Buseok-sa Temple. The latter was created based on the former in 1684. The icon of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s Banner Paintings at the Buseok-sa Temple is one of various themes of Buddhist art in the Chosun Dynasty, and represents compositely the Hua-Yen thought centering on Vairocana Buddha and the lotus-sutra thought centering on Sakyamuni Buddha. In addition,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present study. First,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畵記), when ton, and the, respectage c,ner prepresentatage works ina and mpletcrtistry, and I Buddhvndudhie as historical materials inaresecrch on Buddhist banner paintings in the 17th-18th centuries of the Chosun Dynasty. The two the Buseok-sa Buddhist banner paintings created in 1745 was based on the painting created in 1684, so it shares the thought of the earlier one. However, it has clear distinctions in style from composition to form and color. In this sense, this work is valued as a Buddhist painting showing transition to the mid 18th century. Third, it was found that 13 monk painters were involved in these paintings including Seogi (瑞氣), Jain (自仁) and Yuseong (有誠). Among them, ‘Jain’ worked as the chief painter in creating the Bongjeong-sa Amita-raja painting, and co-worker ‘Yuseong’ acted in the Gyeongsang-do region, inheriting the painting style of ‘Imhan (任閑)’ who worked mainly at the Tongdo-sa Temple. These painting records of the Buddhist banner paintings suggest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aintings.

      • KCI등재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역할모호성과 갈등이 직무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선희(Kim, Seon-H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대기업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 직무만족, 직무몰입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대표적인 2개 단체급식 회사에 근무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표본추출을 시도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2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15일간 진행되었다. 최초 500부를 배부하였고, 4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분석을 통하여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체급식의 조리종사자가 지각하는 역할모호성이 역할갈등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리종사자의 역할모호성은 직무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직무몰입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단체급식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직무몰입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the impacts among the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of institutional food service employees at large enterprises. This study surveyed food service employees working at two representative domestic institutional catering enterpri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5 days from February 1 through February 15, 2021. At first, 5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12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an analysis,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ole ambiguity perceived by the institutional food service employe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their role conflict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while its impact on their job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Their role conflic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but its impact on their job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titutional food service employees, the higher their job commitment level became.

      • KCI등재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의 도상 연구

        김선희 ( Kim Seon-h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이 글은 <화엄경변상도(華嚴經變相圖)>의 형성 및 동북아시아에서의 수용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나아가 도상형식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그 해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는 80『화엄경』(이하 80『화엄』) 칠처구회 39품과 제작 당시 유행하던 화엄사상 그리고 불신관과 화엄 세계관을 반영하여 조성된 도상이다. 이 글에서는 설법회의 기본 도상인 노사나불의 연원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한·중·일 3국의 도상적인 문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법계인중상의 노사나불 설법회는 송대 이후 법계 도상이 사라지고 당~원대와 조선시대, 가마쿠라시대에 화엄법회를 상징하는 도상으로 정착되었다.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의 시원인 막고굴 변상도는 성당 대(盛唐 代, 705-780)에 이루어진 제44굴을 비롯하여 오대(五代)를 거쳐 송대(宋代)에 이루어진 것까지 총 29굴과 파리 기메 박물관 소장(五代, 10세기 초) <화엄경변상도>가 있다. 여기에는 이전 시대나 중앙아시아의 오랜 표현 수단인 음영법, 요철법(凹凸法)이 그대로 남아있다. 특히 본존불의 신체에는 중점적으로 선염을 짙게 사용한 점과 낮은 육계와 반달형 중앙 계주가 그러하다. 이러한 영향은 <신라화엄경변상도>(754∼755), 용인 호암미술관장의 보살상에서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는 저 멀리 인도 및 중앙 아시아에 기인하지만 그것을 각 민족(지역)이 수용하면서도 기본 유형을 잃지 않고 각자 고유의 문화와 종교 사상을 반영하여 각 시대 및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화엄경변상도>의 도상을 출현시켰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變相圖)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the iconography during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in East Asia have been developed in India through the Silk Road and in Western China (西域), namely Central Asia and Dunhuang China (中國 敦煌), etc., and in this process, according to each era and region, it has developed and declined along with the matrix,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Faith, among them, there be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from China(中國), Korea (韓國), and Japan(日本). Notheast Asia of the Avatamsaka Sutra is an iconography created with the composite reflection of 80 “the Avatamska Sutra” (herein after as “80 of the Avatamska”), 39 pum Chilcheoguhoe, Huayan Thought rampant at the time, the View of Buddha-kaya, and Avatamsaka world view.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origin and change process of Locana Buddha, the basic iconography of Buddhist sermon to clarify the iconographical problems of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s a result, Locana Buddha Buddhist sermon gathering of fajie jenchung image was settled as an iconography symbolizing Avatamsaka sermon gathering in the Tang Dynasty ~ Yuan Dynasty of China, the Joseon era of Korea and the Kamakura era of Japan, and Beopgye iconography disappeared after Song Dynasty. The Byeonsangdo in Mogao Caves, the origin of <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 of East Asia appears in a total of 29 caves through the Five Dynasties (五代) to the Song Dynasty (宋代) including the 44th cave prepared in the Thriving age of Tang Dynasty (盛唐代; 705-780), and there are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housed at the Museum of Paris Guimet (Five Dynasties 五代, early 10th century). Here, the shade and shadow technique, the old expression method of previous era or Central Asia, that is, the shading technique (凹凸法) remain unchanged. Especially, the main Buddha's body using shading heavily, with the low Yukgye and the half-moon central Gyeju are as such. This influence occurs in the Bodhisattva,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Shilla Dynasty (754∼ 755), housed by Hoam Museum in Yongin. As such, Asian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originated from far away India and Central Asia, but each nation (region) accepted it and did not lose its basic type, and exhibited each of their own iconography of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era and region reflecting their own culture and religious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