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을 위한 예외 발음 연구

        김선희,Kim Sunhee 대한음성학회 2003 말소리 Vol.48 No.-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description of exceptional pronunciations for automatic Korean pronunciation generation. An automatic pronunciation generator in Korean is an essential part of a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a TTS (Text-To-Speech) system. It is composed of a set of regular rules and an exceptional pronunciation dictionary. The exceptional pronunciation dictionary is created by extracting the words that have exceptional pronuncia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s of exceptional pronunciation through phonological research and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entries of Korean dictionaries. Thus, the method contributes to improve performance of automatic pronunciation generator in Korean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TTS system in Korean.

      • KCI등재

        CIC 필터를 이용한 저면적 데시메이션 필터 설계

        김선희,오재일,홍대기,Kim, Sunhee,Oh, Jaeil,Hong, Dae-ki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1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20 No.3

        Digital decimation filters are used in various digital signal processing systems using ADCs, including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and sensor network systems. When the sampling rate of digital data is reduced, aliasing occurs. So, an anti-aliasing filter is necessary to suppress aliasing before down-sampling the data. Since the anti-aliasing filter has to have a sharp transition band between the passband and the stopband, the order of the filter is very high. However, as the order of the filter increases, the complexity and area of the filter increase, and more power is consum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types of decimation filters, focusing on reducing the area of the hardware. In both cases, the complexity of the circuit is reduced by applying the required down-sampling rate in two times instead of at once. In addition, CIC decimation filters without a multiplier are used as the decimation filter of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is implemented using a CIC filter and a down sampler with an anti-aliasing filter, respectively. It is designed with Verilog-HDL and its function and implementation are validated using ModelSim and Quartus,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적용한 정책갈등 분석 - 원격의료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선희 ( Sunhee Kim ),이현정 ( Hyunj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행위자중심주의(ACI)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GFT)을 결합한 새로운 분석틀을 적용하여 원격의료 도입을 둘러싼 정책갈등사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스마트 의료기술 도입 및 고령화와 만성질병 증가로 인한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변화라는 정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원격의료 도입이 검토되고 있지만, 시장 친화형 의료체계의 모순이라는 제도적 제약 하에서 그 확대 시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정책행위자인 정부와 의료계, 산업계, 시민단체의 감정·선호·인식에 기반한 목적의 내용과 강도가 상이함에 따라 갈등이 야기되고, 능력면에서 강한 역량을 갖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가 정책을 주도하면서 의-정협상을 통해 정책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득적 목적이 강력하게 작동하여 의-정협상은 의료계 우위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원격의료는 전면 확대도입이 아닌 부분적 도입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의 다양한 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GFT를 결합하여 ACI의 이론적 진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정책행위자의 동기 요인 중 감정적 차원을 추가하였으며, 감정·선호·인식적 차원이 각각 쾌락적·이득적·규범적 목적 추구와 연계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ACI와 GFT 결합을 통한 정책갈등 분석틀은 제도적 조건하에서 나타나는 정책행위자의 다차원적 동기와 전략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석상 유용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nalytical framework that combines ACI and GFT and to analyze the policy conflict case surrounding telemedicine introduction. Telemedicine has been considering in response to the policy environment that is shifting the paradigm of medical services because of smart medical technologies, aging, and the increase of chronic diseases.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enforcement of telemedicine under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caused by the contradiction of the market-friendly medical system. Conflicts are aroused by varying contents and strengths of the government as the primary policy agent, medical world, industrial world, and civil society according to their emotions, preferences, and perception. The policy is driven by negoti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doctors with strong capabilities. Whereas doctors stress their benefits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an opposing stance in pursuit of pleasure, the government is pursuing a normative goal and causing the doctors-government conflict. Doctors have a superiority in the doctors-government negotiations because the benefit goal acts more strongly, resulting in partial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 운율어를 이용한 한국어 위치 정보 데이터의 다중 발음 사전 생성

        김선희(Sunhee Kim),전재훈(Je Hun Jeon),나민수(Minsoo Na),정민화(Minhwa Chung)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6 No.10

        본 논문에서 위치 정보 데이터란 텔레메틱스 분야의 응용을 위하여 웹상에서 수집한 Point-of-Interest (POI) 데이터로서 행정구역 및 지명, 인명, 상호명과 같은 위치 검색에 사용되는 어휘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발음 사전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250k 위치 정보데이터로부터 운율어를 이용하여 불규칙 발음과 발음 변이를 포함하는 가능한 모든 발음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래 모든 POI는 한 번씩만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가운데 불규칙 발음을 포함하는 POI를 검출하거나 발음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POI 하나하나를 일일이 검토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대부분의 POI가 복합명사구로 이루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운율어를 이용한 결과, 불규칙 발음 검출과 다중 발음 생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음성처리 영역에서는 위치정보데이터의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하는 데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음성학과 음운론 이론을 음성 인식 분야에 접목한 학제적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응급의료 영역 한국어 음성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김선희(Sunhee Kim),이주영(Jooyoung Lee),최서경(Seo Gyeong Choi),지승훈(Seunghun Ji),강지민(Jeemin Kang),김종인(Jongin Kim),김도희(Dohee Kim),김보령(Boryoung Kim),조은기(Eungi Jo),김호정(Hojeong Kim),장정민(Jungmin Jang),김준형(Jun Hyung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4

        본 논문은 응급의료 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제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정의하고 정의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으로 수집되고 전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음성인식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제안한 수집 및 전사 방법을 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음성은 기본적으로 16비트 해상도와 16 kHz 샘플링으로 저장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총 166건의 대화로서 8시간 35분의 분량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Praat를 이용하여 철자 전사, 음소 전사, 방언 전사, 잡음 전사, 그리고 의료 코드 전사를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베이스라인 실험을 통하여 응급의료 영역에서의 음성인식 문제를 실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터는 응급의료 영역의 1단계 데이터로서 향후 의료 영역에서의 음성인식 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고, 나아가 이 분야의 음성기반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of building Korean conversational speech data in the emergency medical domain and proposes an annotation method for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line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partial data that were collected and annotated. All voices were recorded at 16-bit resolution at 16 kHz sampling rate. A total of 166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amounting to 8 hours and 35 minutes. Various information was manually transcribed such as orthography, pronunciation, dialect, noise, and medical information using Praat. Baseline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were used to depict problems related to speech recognition in the emergency medical domain. The Korean conversational speech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are first-stage data in the emergency medical domain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training data for developing conversational systems for emergency medical applications.

      • KCI등재

        비판적 실재론 관점에서 본 제도분석틀(IAD)의 정책 다이나믹스 분석 유용성 고찰

        김선희 ( Sunhee Kim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하여 정책 다이나믹스 분석을 위한 제도분석틀을 살펴봄으로써 제도분석틀의 이론적 유용성과 한계, 향후 연구방향을 이론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그 동안 정책 다이나믹스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및 분석모형들이 제시되어 왔지만, 각기 상이한 개념들을 사용함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각 이론틀 내에서 파편화된 이론적 진화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인식에 기반하여 최근 정책 다이나믹스의 분석을 위한 일반화된 틀로써 제도분석틀이 주목받고 있다. 제도분석틀이 정책 다이나믹스를 설명을 위한 일반화된 틀서 발전되기 위해서는 존재론, 인식론과 방법론에 대한 명확한 이론정립이 요구된다. 비판적 실재론은 사회과학 연구방법에 대한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분석틀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를 할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제도분석틀은 정책의 연속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어 정책다이나믹스 분석을 위한 일반화된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분석틀은 존재론, 인식론, 방법론과 관련하여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이와 같은 한계와 관련하여 비판적 실재론이 향후 이론적 진화에 포괄적 해답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IAD) framework based on Critical Realism. There have been various theories and models for explaining policy dynamics. However, a fragmented development still has been shown within each framework. In order to explain policy dynamics more systematically and deep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assumptions on its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Critical Realism provid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ocial research. In this regard, it can be a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IAD. This research investigates IAD'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explaining policy dynamics. IAD is useful for the policy dynamics analysis because it includes many related composites. Nevertheless, it has some limitations on the issues of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This study suggests Critical Realism has complementary factors for the evolution of IAD.

      • KCI등재

        『五萬分一地形圖』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김선희(Sunhee Kim)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1

        지명은 생활환경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표현이자 시ㆍ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역사, 문화적 산물로서 지역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이해하는 유용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는 일제시기 대축척 지도에 수록된 지명의 유형별, 지역별 분포와 빈도를 파악하고 이를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함으로써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읽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분포 양상은 지형과 지세, 인구와 경지, 군현 수, 행정 및 군사 기능 등 국토의 자연 및 인문 환경의 보편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지명의 양태별 비중과 빈도를 통해 우리 고유지명의 변화는 물론 자원수탈, 철도부설, 국경관리, 만주경영 의욕 등 한반도 식민경영을 위한 일제의 정책적 수요와 필요에 따른 시대적 변화상을 읽을 수 있었다. 나아가‘峙’ ‘嶺’ ‘德’ ‘項’ ‘坪’ ‘谷’등과 같은 자연 및 인문 지명어의 빈도와 분포 특성을 비교하여 당대 사람들의 환경인식과 선호경향, 지명의 명명기반과 형태 등의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서로 다른 지리환경적 특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명된다. The geographical name is an expression of human knowledge about living conditions and a basic tool for understanding about regional cultures and history as a result of spatiotemporal chang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names of 1:50,000 topographic map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materializing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aspect of distributed geographical names on the Korean Peninsula reflects a general trait of the country’s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included geographical features, population, arable land, the number of counties and villages, and functions of administration and military, etc. Second, through the frequency and weight of their names, the analysis shows not only the change of native names, but also the country’s phase of the time by Japanese colonial policies such as exploitation of resources,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a desire to control of the border area with Manchuria.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preferences, and naming basis and form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type of geographical names associated with village and ridge such as ‘Chi’ ‘Ryung’ ‘Duk’ ‘Hang’ ‘Pyeong’ ‘Gok’. In particular, those characteristics were largely affected from environmental difference of each area.

      • KCI등재

        프랑스어 자동 발음 평가를 위한 음운 자질 연구

        김선희 ( Kim Sunh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0 No.-

        Cet article vise à analyser les erreurs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produites par des apprenants coréens et à proposer les traits phonologiques pour développer un système d'évaluation automatique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ou un système d'extraction automatique des erreurs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Afin d'extraire les erreurs de prononciation consonantique et vocalique, la méthode convetionelle comparative est employée en se concentrant sur les traits phonologiques qui déteminent les consonnes et voyelles françaises respectivement. D'après les analyses sur les consonnes, les traits phonologiques suivants sont trouvés significatifs: le trait d'aspiation dans les occlusves; les trats liés aux places d'articualtaion pour les fricatives; le trait voisement dans les occlusives et fricatives; et les traits liés aux mannières d'articulaton qui servent à distinguer entre les occlusives, les fricatives et les affriquées. De la même façon, les traits phonolgiques suivants sont trouvés significatifs en tant qe traits vocaliques: les traits liés aux niveaux d'aperture qui caractérisent des voyelles fermées et des voyelles ouvertes; et le trait d'arrondssement dans les voyelles antérieures. A cet effet, les cas d'erreur realisés par les apprenants coréens dans les phonèmes français sont représentés par rapprt aux trait phonlogiques qui les caracterisent. Les résultats de cette étude présentent en effet les types des erreurs décrits dans les travuax précedents, néanmoin, ils sont représentés en tant que traits phonologiques d'une mannière systématique pour qu'ils soient utilisés comme une étude de base pour développer un système d'évaluation automatique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ou un système d'extraction automatique des erreurs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En outre, une telle recherche peut être appliquée à de nombreuses autres langues étrangères pour l'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et l'extraction d'erreurs dans les domaines de l'apprentissage des langues assistée par ordinateur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ou l'entraînement à la prononciation assisté par ordinateur (Computer- Assisted Prounciation Training). Les traits phonologiques obtenus par ce travail peut être aussi utilisé pour fournir une rétroaction aux apprenants coréens tout en satisfaisant le principe selon lequel la prononciation devrait être définie en détail pour distinguer la prononciation correcte et l'erreur afin d'extraire correctement les erreurs de prononciation. Cependant, ces traits sont basés sur l'expertise linguistique et il sera nécessaire de les transformer en traits cognitives que les apprenants peuvent comprendre immédiatement afin de les utiliser pour la rétroaction et d'améliorer leur prononciation.

      • KCI우수등재

        사진그림엽서를 통해 본 근대 서울의 관광 이미지와 표상

        김선희(Sunhee Kim)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관광상품으로 발행된 한반도 사진그림엽서에 주목하고, 그 가운데 지배권력의 시선이 집중되었던 식민지의 수도 서울의 장소이미지를 분류하여 빈도를 파악하고, 그 재현 양상과 특징, 이미지에 표상된 시선을 탐색하였다. 당시 서울은 조선의 ‘한성’에서 일제의 ‘경성’으로 장소 정체성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근대 관광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연구결과, 사진그림엽서로 재현된 서울의 장소이미지는 역사경관과 도시경관이 대종을 이루는데 역사경관은 ‘조선적인 것’으로서 해체, 개조, 파괴, 변용의 대상이자 전근대적이고 쇠락한 정체된 전통으로 표상된 반면 도시경관은 ‘일본적인 것’으로서 근대 문명을 상징하는 발전상으로 표상되었다. 나아가 역사경관과 도시경관을 작위적으로 편집한 서울의 관광이미지는 지배와 피지배의 구조에서 차별적인 시선대비를 통한 공간의 식민화,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원된 표상이었다. 따라서 근대 사진그림엽서가 제국주의적 시선과 인식이 투영된 하나의 정치적 산물로서 ‘이미지의 정치’, ‘관광의 정치’를 위한 상징도구로 이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lassified the place image of Seoul based on the picture postcard produced as a tourist produ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alyzed the frequency, and searched the image representation aspect, characteristics, and the gaze and perception represented in the image. At that time, Seoul was emerging as a center of modern tourism as the place identity changed rapidly from ‘Hansung’ of Joseon to ‘Kyungsung’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lace image of Seoul is a major part of the historical landscape and urban landscape. The historical landscape was represented as a ‘Chosunan’, a subject of dismantling, remodeling, destruction, transformation, and a premodern and declining stagnant tradition. On the other hand, urban scenery was represented as a developmental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s ‘Japanese’. Furthermore, the tourist image of Seoul, which edited the historical scenery and the cityscape, was a symbol mobilized to secure the colonialization of the space and the legitimacy of the colonial rule through discriminatory gaze contras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icture postcard of modern was used as a symbol tool for ‘politics of image’ and ‘politics of tourism’ as a political product projected with imperialist gaze and awareness.

      • KCI등재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김선희(Kim, Sun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집단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아동학대 수준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개입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76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를 예측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라 3가지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위험요인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보호요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위험-저보호(high risk-low protective)’집단 (46%), 아동기 학대경험이 다른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고, 보호요인 수준이 평균보다 낮은 ‘아동기 학대경험-저보호(childhood abuse-low protective)’집단 (5%), 그리고 위험요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보호요인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위험-고보호(low risk-high protective)’집단 (49%)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른 3가지 잠재프로파일 집단에 따라 어린이집 학대 유형별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고위험-저보호’집단 교사의 정서학대 및 방임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 ‘저위험-고보호’집단 교사의 정서학대 및 방임의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한편 신체학대와 성학대의 경우 3가지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린이집 학대 예방을 위한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접근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redicting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in child abuse by types of profiles. The sample for this analysis was 760 teachers in daycare centers.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 First, three distinc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redicting child abuse were identified (high risk–low protective, childhood abuse-low protective, and low risk-high protectiv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ild abuse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eachers who were on low risk–high protective profil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hile teachers who were on high risk–low protective profile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by types of profiles.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n daycare center teachers grounded by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fo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