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적 정당화의 관점에서 본 정부형태론

        김선택(Kim, Seon-Tae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7 공법학연구 Vol.18 No.4

        한국에서는 2016년 10월부터 전국에 걸쳐 연인원 1,700만 명에 이르는 시민들의 참여로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대의기관을 타도하는 이른바 ‘촛불혁명’이 진행되었다. 결국 동년 3월 대통령이 탄핵되고 5월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어 헌정질서는 회복되었다. 그러나 국민주권주의를 위반한 ‘대표의 왜곡’을 발생시킨 정치체제에 대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헌법개정의 논의가 활발해졌고, 그 중에서 정부형태를 변경하여야 할지 여부에 관한 논쟁이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부형태를 단순한 정부의 구축형태로 보지 아니하고, 정부가 주권자인 국민의 의사에 의하여 정당화되고, 역으로 국민의 의사에 의하여 교체되는 민주적 정당화의 흐름을 구체화하는 형식으로 보았다. 따라서 정부형태를 민주적 정당화의 시스템을 기준으로 단선형 구조의 의원내각제, 중선형 구조의 대통령제와 복선형 구조의 반대통령제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의 정부형태는 국민이 의회와 대통령을 각각 직접 선출하여 민주적으로 정당화하는 이원적 정당화 체제여서 대통령제로 보아야 한다. 의원내각제에 속하는 요소들이 일부 있으나 정부‘형태’를 달리 규정할 만한 결정적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전형적인 대통령제에 비교하여 권력분립의 견지에서 체계정합적이지 않은 대통령의 우월적 지위를 보장하는 헌법규정들이 많아 정부와 의회 사이에 ‘기울어진 운동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의회에 정부를 견제할 많은 권한들이 헌법상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나, 실제로 이 권한들이 유효하게 작동할 수 있는 전제조건들, 즉 정당제도와, 선거제도, 의회제도의 개혁이 시급하다. 촛불혁명은 정부의 ‘형태’를 바꾸라는 요구보다는 ‘정부를 정부답게’하라는 요구였다. 대통령제를 의원내각제나 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로 바꾸는 것이 이번 헌법개정의 주요 어젠다가 될 이유는 없다. 따라서 한국의 대통령제를 ‘제왕적 대통령제’로 변질시키는 여러 규정들을 개폐하고,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도록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고 이를 유효하게 할 수 있는 제도개혁이 오히려 이번 헌법개정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In Korea, from October 2016 to April 2017 about 17 million people demonstrated on the street to remove the president from her position. This is called “Candlelight Revolution”. In March this year, she was impeached and ousted, then in May new president was elected and the constitutional order is recovered. But the people still want to reform the political system which resulted in the ‘distortion of the representation’ and the infringement of the people’s sovereignty. In the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especially the problem of the change of governmental form becomes kind of a political hot potato. This article does not regard the form of government as just a structure of building the government, but a form to reify the flow from the people to the representatives, that is, the flow of democratic legitimation. Based on the number of layers of democratic legitimation, the parliamentarism could be explained as mono-legitimation system, the presidentialism as dual-legitimation system, and the semi-presidentialism as combi-legitimation system. Korea’s form of government should be categorized as a presidentialism because the people directly elec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respectively, thereby two representative organs acquire democratic legitimacy separately in two layers. Though there are some elements of parliamentarism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y are not decisive for defining the form of government. But the current presidential system in Korea is an uneven playing field which is unfavorable for the parliament. Some constitutional provisions guarantee the supremacy of the president. The powers of the parliament to check the government are provid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But they cannot be exercised effectively because of lack of pre-conditions such as well-functioning political party system, election system, and the parliamentary system. The people in the Candlelight Revolution wanted a country which deserves to be respected, not a change of form of government. To change the form of government is not the urgent agenda for the upcoming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 Therefore, it will be the first priority for us to make efforts to abolish the provisions which degrade the presidential system into an imperial presidency and to strengthen and make the parliamentary powers effective to control the presidential powers.

      • 정당해산의 실체적 요건의 규범적합적 해석

        김선택(Kim, Seon-Taek) 헌법이론실무학회 2014 헌법연구 Vol.1 No.1

        This article deals with a few core issues on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of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5 th November, 2013, Korean government requested the Constitutional Court to decide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and dissolve the party. The Basic Law(Grundgesetz) of Germany is the example of the cl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i.e. Article 8 of Korean Constitution. But the intention of constitution-makers in two countrie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Whereas german parliamentary council for making Basic Law intended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growth of anti-democratic parties such as Nazis party, korean national assembly wanted to block arbitrary dissolving political parties by the government. “Grundgesetz” decided german democracy as so-called “streitbare oder wehrhafte Demokratie (defensive democracy)”, which is supported by many ofinstitutions prescribed in Art. 9 Para 2, Art. 18, Art. 21 Para. 2 GG. In Korean Constitution, there’s only one institution, that is,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which focuses primarily on the protec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korean democracy can’t be classified as a kind of german-style defensive democracy.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arty-clause of Korean Constitution and “free democratic basic order” in the preamble and unification-clause(Article 4) of Korean Constitution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former refers to essential principles of democracy in Korean Constitution. The latter means state’s system as such of Korea, which has been fighting against so-called ‘people’s democracy’ of North Korea since 1948. The scope of the latter is wider then that of the former. Because Art. 8 Para. 4 of Korean Constitution is an exceptional clause, its contents must be strictly interpret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must be grasped on the ground of official papers such as political program.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ies linked with such aim provide the Court with materials for decision. Whether an activity of any part organizations or party members or supporters of political parties can fall under the boundary of the activities of political party, must be dec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y as a whole. Only when the danger caused by the activities linked the aim of political parties is present, concrete and serious, the concerned party is in collision with “democratic basic order”. But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as a preventive measure, it is not required for the party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realization of its aim. Taking the severe impact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on the liberty of the parties and party members in consideration, this measure must be proportional.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tipulate‘existence of state’ as a caus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herefore the activity against the existence of state by party members and supporters, forexample, the crime such as high treason, could be coped with not by the measure of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but by the criminal law. 이 글에서는 2013년 11월 5일 정부의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심판청구를 계기로 촉발된 학계의 정당해산논의를 통하여서도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정당해산의 실체적요건에 관련된 핵심쟁점 몇 가지를 우리 헌법조문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우리 헌법의 정당해산조항은 독일 기본법을 모델로 한 것이긴 하지만, 나치당과 같은 불법 정당을 방지하고자 한 독일과 정부에 의한 자의적 정당해산을 방지하고자 한한국은 입법배경이 다르다. 또한 기본법에 산재한 각종의 제도들로 자신들이 결단한방어적 민주주의를 뒷받침하고 있는 독일과 달리 우리 헌법은 정당해산제도를 두고있을 뿐이고, 그것도 일차적으로는 정당보호에 초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 헌법이 독일식의 좁은 의미의 방어적 민주주의로 원칙적인 헌법적 결단을 내렸다고 할 수 없다.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된 ‘민주적 기본질서’와 전문과 통일조항에 규정된‘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개념은 각자의 입법목적과 체계에 맞게 해석되어야 한다. 전자는 우리 헌법상의 민주주의의 핵심요소들을 내용으로 하는 체제내적 개념이며,후자는 북한의 인민민주주의체제와 대립하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의 국가체제를 가리키는 체제대결적 개념인데, 외연으로 보면 후자가 전자보다 넓은 것으로 파악된다. 헌법 제8조의 체계상 제4항의 제한적ㆍ예외적 성격 때문에 동 조항에 규정된 가중적 요건은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정당의 목적은 정당의 공식문건에 의해 파악해야 하고, 정당이 진정한 목적을 은폐하는 경우 입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드러나지도 않은 주관적 의도를 이유로 심대한 불이익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며, 그러한 정당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어 해산의 실익도 없어 보인다. 또한 목적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목적 달성을 위한 활동으로 나아간 정당만이 해산대상이 될 수 있고, 정당의 부분 조직이나 당원 일부 내지 지지자들의 행동은 전체 정당의 견지에서 평가하여 정당귀속 여부를 가려야 한다. 정당의 목적과 결합한 활동이 민주적 기본질서에 위배되려면용납할 수 없는 정도로 상충되어야 하고, 그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은 현재적, 구체적이고 진지한 정도에 이르러야 하지만, 정당해산의 예방조치적 성격에 비추어 목적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당해산이 당사자에게 미치는효과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비례성심사를 배제할 수 없다. 헌법은 국가의 존립을 정당해산의 보호법익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일부 당원들의 국가존립에 대한 위해행위, 예컨대 내란범죄행위는 정당해산이라는 헌법적 수단이 아니라 형법적 수단으로 진압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再信任國民投票의 法律的 無意味性과 政治的 有意味性

        김선택(Kim Seon-Taek) 한국공법학회 2004 공법연구 Vol.32 No.3

        On the 10th of October 2003, the President Roh Moo-hyun made public he would carry out the popular vote to reconfirm the people's political confidence to himself.At this essay I have examined what type of popular vote it is, what sort of legal implications it has, whether or not it may be allowed constitutionally, and whether or not the legal procedures for the concrete performance of it.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this type of popular vote is much more similar to a kind of quasi recall than a real type of plebiscite as an abused form of referendum.Because the President Roh tries to reconfirm the democratic legitimacy for his presidency through the quasi recall which he has already achieved rather than tries to manipulate some kind of democratic legitimacy for his presidency. Thus, it is inevitable that we regard it as merely a kind of fortified opinion poll (a kind of popular consultation) in that there is no constitutionally stipulated authority for it. Accordingly it can be estimated as a factual conduct which can never result in any legal effect.The concept of "national referendum" stipulated by Article 72 of Korean Constitution ("The President may submit Important policies relating to diplomacy, national defense, unification and other matters relating to the national destiny to a national referendum if he deems it necessary.") shall be confined to the crucial policy as regards national security, so that this Article 72 can not cover the above-mentioned popular vote. Nevertheless, the possible quasi-recall will never be outright unconstitutional, but if authorized by any statute, it will be satisfactory. Therefore in order for the quasi-recall to be carried out, the prerequisite for it must be to establish the detailed devi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t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s revising the current National Referendum Act or their enactment of another special acts.Furthermore, it is recommendable that we should introduce the national recall system into the constitution so as to reinforce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for the President at this time. However, it is of no doubt that the above-mentioned should be plausible under the premise that we may well systematize it as prudently as necessary, minding even the least possibility of misusing it by such foxy politicians in this land.

      • KCI등재
      • KCI등재

        공적 인물의 병역사항 집중관리제의 헌법합치성

        김선택(Kim, Seon-Taek)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우리 사회에는 병역의무 이행을 오로지 고통스런 부담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치부하고 병역면제를 '힘있는 자들의 특권'처럼 여기는 등, 병역의무이행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병역의무이행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고자, 고위공직자와 그 직계비속, 고소득자와 그 직계비속, 연예인, 스포츠스타 등 이른바 공적 인물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병역사항을 집중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병역법 개정안을 제출하였다. 이 법률안에 대하여 여러 헌법적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집중관리 대상그룹의 설정이 합리적인지 문제되는데, 종래 병무비리의 실태를 고려할 때, 해당 그룹에 대한 병역관리 엄격화의 필요성, 고위공직자에 대해 요청되는 공직에토스와 현행법상 이미 운영되고 있는 공직자 병역사항공개제도, 고소득자에 대한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요청과 현행법상 이미 운영되고 있는 대기업 임원소득의 공시제도, 병역대기자라고 할 수 있는 청소년층에 대한 연예인ㆍ체육인의 광범한 영향력 등에 비추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대상자들이 다른 병역의무자와 달리 별도로 병역사항이 분류ㆍ관리된다는 점에서 평등권 침해여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침해여부가 문제된다. 그러나 이들은 병역사항과 관련하여 공적 관심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룹설정의 기준에 있어서나 정보의 집중관리 기간 및 범위가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단과 목적 간 합리성이 인정되므로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의 개인정보를 제출받아 따로 관리하는 것은, 병역의무의 이행확보를 통한 국가안보라는 입법목적에 기여하는 적합한 수단이라는 점, 집중관리 중 지득한 병역사항의 누설이나 제3자 제공을 금지하고 이에 대해 강력한 처벌규정을 두고 있어 최소침해성 요건을 충족한다는 점, 그리고 이들과 같은 공인의 경우 병역사항과 관련하여 정당한 공적 관심의 대상으로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에 대한 제약을 어느 정도 수인할 것이 요구되며 입법목적의 중대성에 비추어 법익의 균형성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점에 비추어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및 그로부터 도출되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병역이행 상황이 공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일정한 카테고리의 공적 인물에 대한 병역사항을 집중 관리하는 제도는 헌법에 합치된다고 보며, 이 제도를 도입하는 법률안이 통과되기를 기대한다. In our society there are many people who consider military service as just a burden and exemption of service as a privilege of influential people. In order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fairness in performing of military service, the Government submitted an amendment bill on the military service which contains intensive management of so-called public figures such as high-ranking officers and their sons, high-income earners and their sons, entertainers, and sports stars. Firstly, the problem is brought up about whether the selection of targeted groups is reasonable. Strict professional ethics("Amtsethos") are required for high-ranking officers; noblesse oblige for high-income earners. For entertainers and sports stars, their strong influence over juvenile should be considered. The information on the high-ranking officer's military service and on the salary of board members of major company is legally opened to the public already. Secondly, the right to equality of those groups is not violated, because the selection criteria are rational, the period and scope of intensive management is exactly provided in law. Thirdly, the right to privacy of those groups is not violated, because they could be an all-purpose public figure, a limited-purpose public figure or the involuntary public figure in the sense of U.S. Supreme Court's decision(Gertz v. Robert Welch, Inc., 418 U.S. 323) and their military service is the object of 'public interest' and 'public concern'. According to the amendment bill, whoever leaks or gives their information to the third party would be punished. In conclusion, the amendment bill which introduces the intensive management of public figures' duty of military service is constitutiona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통령의 국민주권주의 위반

        김선택(Seon Taek Kim) 한국헌법학회 2017 憲法學硏究 Vol.23 No.3

        이 글에서는 2016년 12월 9일 탄핵소추가 가결되어 헌법재판소에 심판청구된 2016헌나l 대통령(박근혜) 탄핵심판의 탄핵사유 중 첫 번째 쟁점인 “비선조직에 의한 인치 내지 국정농단과 이로 인한 국민주권주의, 대의민주주의, 법치주의 위반여부”에 대해 검토하였다. 사실관계의 확정과 관련하여,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공식적인 국가기관이 아니라 은폐된 사적 세력, 소위 비선실세에 의한 개입이 존재하였는지가 문제되었는데, ‘비선’의 핵심이 ‘최순실’이라는 사실, ‘최순실’이 국정에 개입한 범위가 광범하고 정도가 심각하며, 박대통령이 최순실과 매우 특수한 관계를 유지해오며 최순실의 국정개입행위에 조력하거나 심지어 공모하였음이 증거를 통해 입증되었다. 국정수행에 사인이 개입된 사실이 인정된 경우, 그러한 사실에 대통령이 조력하였는지 여부가 중요할 뿐, 전체 국정수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대통령 본인의 개인적 이익의 취득여부는 탄핵사유의 성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우선, 국민주권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위배여부를 살펴보건대, 국민주권주의란 주권자인 국민으로부터 국가권력의 행사자에 이르기까지 정당성의 사슬이 단절됨 없이 연결되어, 모든 국가권력의 행사가 민주적으로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우리 헌법상 국민주권주의는 대의민주주의의 형태로 구현되는바, 공직의 수행자는 국민의 위임을 받아 정당한 권력행사자가 된다. 이 때 국가권력행사는 임의로 제3자에게 다시 위임될 수 없다. 그라나 대통령의 의사형성과정에 이른바 ‘비선’이 개입하고 나아가 대통령의 의사를 비선이 채우는 일이 발생하면, 국가권력행사권한이 임의로 비선에게 재위임된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어, 국민주권주의와 대의민주주의가 형해화되고 만다. 법치주의원리의 위배여부를 살펴보면,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정한 형식, 내용, 방식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여야 함에도, 국무회의 자료가 최순실에게 사전에 유출된 정황이 드러났으므로, 국무회의가 위헌 내지 위법적으로 운영되었음을 인정할 수 있다. 결국, 탄핵의 제도(사)적 취지, 탄핵의 보호법익, 대통령탄핵의 특수성을 모두 고려할 때, 비선실세의 국정개입을 방조 내지 공모한 박대통령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으며, 입헌주의 정부체제의 회복과 대통령직에 대한 공적 신뢰의 회복을 위하여, 대통령탄핵이라는 엄중한 헌법적 조치가 불가피하므로, 이 첫 번째 쟁점만으로도 탄핵심판의 인용결정, 즉 헌법위반사실의 인정 및 대통령직으로부터의 파면이 정당화된다고 본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irst argument for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Park Geun-hye, whether private person s intervention in state affairs have violated the principles of people s sovereignt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rule of law. First of all, whether the private person, not public state organ, secretly intervene in state affairs should be verified. According to evidences and public statement by the president, the fact that a private person ‘Choi Soon-Sil’, the President Park s aide, intervened in state affairs extensively and seriously and the President abused her authority assisting Choi in seeking personal gains was proved. The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president helped the private person intervening in state affairs, not how much intervened or whether the President gained personal gain or not. The principle of people s sovereignty requires the chains of legitimacy from the people connect with the excise of state power, thereby all the excises of state power should be democratically legitimized. In Korean Constitution the principle people s sovereignty was achieved by and combined with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ve democracy, so every public officers are entitled to excise state power by the people s delegation. The officers could not delegate his/her power to another person arbitrarily. But, if a private person who does not any public position intervenes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by the President and furthermore replaces the president s will with one s will, then it means that the state power is re-delegated to a private person and violates the principles of people s sovereignt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President should perform one s official dutie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nd other laws. But it proved that the confidential documents were leaked to Choi and she intervened in public decisions, therefore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Consequently, in the perspective of the aim and benefit of impeachment,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President Park is accountable for assisting Choi s acts. To protect the Constitution and public trust in presidency, it is inevitable to remove Park from office.

      • KCI우수등재

        국가기능체계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한계 - 국가조직관련 헌법재판소판례의 분석과 평가 -

        김선택(Kim Seon-Taek) 한국공법학회 2005 공법연구 Vol.33 No.4

        Although there was a negative evaluation as a fruitless effort from its departur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not only has definitely secured its seat in the state organizational system but also has consolidated itself enough to shake the basis of the existing state functional system. Consequentl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w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recognizing its status and limits within the state functional system.The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has established the precedence of the Constitution by regula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results of political compromise.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has been bestowed with direct legitimacy from the people through the Constitution, holds a peculiar position as its function has not been observed in the traditional state organizational system. While the Constitutional Court exercises independent power on an equal footing with other constitutional organs as a constitutional body, it also deduces binding decisions as a judicial body by applying the Constitution.The Constitutional Court ensures normative power of the Constitution and maintains and promotes the integration of state community. However, it is important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it could extend and create its own competence through abstract characteristic of the Constitution and interpretation power. First of all, it has jurisdictional limi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other laws. Furthermore, it has state function systematical limit that prohibits its impingement on other state functions. Specificall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respect political role of other political constitutional organs and discretional competence of other organs and should not misunderstand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exclusive concretizing competence. Lastl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intrinsic limit as a judicial organ. Such limits apply gradually. In the first place, jurisdictional provision sets limit. Moreover, state functional limit decides its boundary in a specific case. Lastly, such exercise of power should satisfy the judicial intrinsic characteristic.The Constitutional Court is competent to exercise its power and has the discretion of judge as long as it remains within the abovementioned normative boundary of its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