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정책,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가? : C시 가족센터 경험을 중심으로

        김선숙,조소연,진재찬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정책 및 서비스의 변화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구체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의 다문화가족을 포함한 이주민 대상 서비스 제공 기관인 가족센터를 사례연구하였다. 가족센터 서비스이용자와 실무자를 면접함으로써, 기관의 다문화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해 평가하고 당사자의 욕구를 살펴보았다. 가족센터 사업 참여 전 상황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막막함, 고립감과 외로옴, 배움의 욕구와 갈증, 행복한 가정에 대한 소망을 이야기 하였다. 이들은 가족센터에서 정보제공 및 상담, 교육, 생활지원, 문화체험과 여가활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았고, 가족센터를 통해 배움, 쉼, 만남, 자신감을 찾음, 돕는 자로 전환, 행복한 가족을 만들어 감이라는 성과를 경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편 실무자들은 이러한 변화의 동인에 대해 실무자들의 잘 듣고 설명해 주기, 관계를 통한 소통, 중간 역할에 초점두기, 이용자의 욕구와 강점 활용하기, 자율성 확보하기라고 이야기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concrete evidenc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multicultural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by interviewing service users and practitioners of A Family Centre, we evaluated the A Family Center’s multicultural policies and services and explored their needs. Th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their situation before joining the Family Centre, including their confusion, isolation and loneliness, need and thirst for learning, and desire for a happy family. They received service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unselling, education, living support, cultural experiences and leisure activities at the Family Centre, and experienced the outcomes of learning, resting, meeting, gaining confidence, becoming a helper, and creating a happy family through the Family Center. On the other hand, practitioners said that the drivers of this change were listening and explaining, communicating through relationships, focusing on intermediary roles, using users’ needs and strengths, and gaining autonom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양직공도梁職貢圖 양서梁書 의신라 국호 이칭異稱에 대한 검토

        김선숙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2

        The Koguryo had gone out development regularly the relation between the Chi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the early and mid the sixth century. But the Koguryo had been a little more in focus the relation with the North Wie Dynasty than the Yang Dynasty. As compared to this, the Backje and Silla had been emphasized on the relation with the North Wie. Of course, the Backje had send an envoy to the North Wie Dynasty and offered a composition being wish for military activities informing the Koguryo’s behavior. As soon as the North Wie Dynasty had boycotted, the Backje had breaked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its dynasty. Also the Silla had done not exist independently diplomatic relation with the Chinese South Dynasties prior to send an envoy to the Yang Dynasty for the assistance of the Backje. And that, the Silla had engaged in a military crash with the Koguryo being interfered in politically and militarily going through friendship, and so both countries had taken a sharp turn for the worse. On this, the Silla had strengthen a military alliance with the Backje removing the capital to a Woogjin against the Koguryo. But both countries had a conflict according as a concern at intervals neighbor’s several small countries. The emotion of the Backje about the Silla had been well brought out in view of designating the Silla by the Sara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records. This is looking down on the recognation of the political revolution being advanced at the Silla’s domestic during that time. Not that the knowledge of the Yang Dynasty about the Silla is investigate at firsthand and known through a mutual language communication but is contents becoming known to the following understanding and the message of the Backje from the former times. For this reason, the Silla had been given an account of the Sara with several small country at the Yangjikgongdo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중반 시기의 삼국과 중국 남북조의 교섭은 매우 역동적이었다. 즉,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은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북위 및 남조 양나라와 사활을 걸고 대외관계를 추진하였다. 백제는 472년경(蓋鹵王18) 북위에 사신을 파견하여 고구려의 행위에 대해 알리고 군사행동 요구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북위조정에서는 이러한 백제의 요청에 대해 고구려와의 관계나 당시 동아시아 정세를 의식하여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양국의 관계는 단절되고 만다. 물론 신라는 백제의 도움으로 양나라에 사신을 파견하기 전까지 중국왕조와의 독자적인 외교관계가 거의 없었다. 그나마 신라 내물왕대에 고구려와의 화친이 성사되면서 겨우 전진前秦에 사신을 파견할 수 있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이후 정치적 군사적으로 간섭을 받던 고구려와의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면서 양국의 관계는 악화되기에 이른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에 대항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백제와 군사동맹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양국은 인접한 여러 소국을 사이에 두고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충돌을 벌이기도 하였다. 그런데 당시 신라에 대한 양나라의 지식은 신라와의 왕래가 거의 없던 시기였으므로 직접 방문하거나 서로의 언어소통을 통해 얻은 것이 아니다. 그 이전시대부터 전해져 온 인식 및 백제의 전언을 통해 알려진 내용들이었다. 그로 인해 실상과 조금 다르거나 백제에 비해 외교상에서의 약소국으로 비춰질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양나라의 두 사서에서 신라에 문자가 없다고 한 기사는 북조의 역사서인 『북사』에서 찾아볼 수 없지만 남조의 역사서인 『남사』와 거의 유사한 내용이 실려 있다. 따라서 『양직공도』에 여러 소국과 함께 신라가 아닌 사라로 기술된 것은 바로 그러한 사정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당나라 시대에 편찬된 『양서』에 신라의 국명이 정식으로 사용된 것은 6세기 초반이 훨씬 경과한 이후의 사정과 사서 편찬 당시 사용된 국명과 함께 당나라와 신라의 우호적 교섭 관계를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빈곤, 가족구조와 아동 삶의 질의 관계

        김선숙,박호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9 사회복지연구 Vol.50 No.2

        The child poverty is caused by increasing family dismantling and unstable employment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well-being, poverty, and family structure, using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Survey of Child Wellbeing.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class of children, reflecting high, highmoderate, moderate-high, low patterns of child well-being index. We then investigated the poverty and dismantling of their family affect child well-being index across classe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atent classes of child well-being index according to four family types. Children in poor and single parent family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ower class of child well-being than the other family typ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targeted social protection services for children in poor and single-parent family, based on the universal child care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해체, 불안정한 고용 증가 등으로 인한 아동빈곤이 초래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빈곤가구 아동을 위한 사회적 보호의 필요성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는 ‘제4차 한국 아동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과 다항 로지스틱 분석(multinomial logist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 삶의 질 지수’는 ‘상’, ‘중상’, ‘중하’, ‘하’의 4개 잠재 프로파일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가족유형을 소득수준(빈곤/비빈곤)과 가족구조(양부모/한부모・조손・기타 등)를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아동 삶의 질 유형에 속할 확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족빈곤과 가족해체가 결합된 ‘빈곤-한부모 등’ 가족은 ‘비빈곤-양부모’를 비롯한 다른 가족유형에 비해서 아동 삶의 질이 낮은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동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하여 아동뿐만 아니라 양육자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다각적인 사회서비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마음에서 영혼으로

        김선숙 한국정신과학학회 2017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4

        몸과 마음 위주로 살고 있는 인간의 삶은 무의식이 그 자체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고, 그 무의식이 우리의 의식의 통제 밖에 있기 때문에, 자동조종 되므로 순수의식이 발현된 영혼이 주도하는 삶을 살기 어렵다. 또한 고정관념과 그릇된 신념으로 인해 자아라는 틀에 갇혀 자유롭지 못하고, 현존하지 못하며, 변화된 삶을 살지 못한다. 이 글에서는 본성의 나, 영혼이 주도하는 영성적인 삶을 위한 방법론으로 ‘지적인 무지’라는 삶의 태도가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본다. 즉 "무지’가 어떻게 철학적 사유의 방법론뿐 아니라 힌두교, 불교 및 기독교 수행과 현대철학,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널리 적용되었고, 오늘의 현대인에게 요청되고 있는가를 조명한다.

      • KCI등재

        아동기 및 청소년기 심리사회발달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

        김선숙,김예성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Using the 1st and 4th Korea Welfare Panel Data,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influences which social capital exert on psychosocial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In other words, it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capital has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s on psychosocial development between the two different developmental periods of same group, that is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mploys multi-group SEM. As a result, we find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betwee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More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 family structure and mother's subjective satisfaction on family relationship has different impacts betwee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of the same chil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what should be considered if social programs, which are almost exclusively focused on childhood, are to expand to include adolescent. 본 연구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심리사회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의 효과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즉, 동일한 대상의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심리사회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실제로 발달단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족 내 사회자본에 대해 두 집단 모형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가족구조와 모의 가족관계만족도가 동일 대상아동이 아동기였을 때와 청소년기로 진입하였을 때 심리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 현장에서 주로 아동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청소년들을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을 고려해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하였다. 동일대상의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심리사회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비교하고, 계수값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