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빗물펌프장 운영 시 유입부 및 토출부 주변의 유속분포 측정

        김서준,윤병만,김상혁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일반적으로 빗물펌프장의 운영은 유입부의 수위만을 고려하여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영 방식은 수위가 급격하게 변화할 경우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모형을 이용하여 빗물펌프장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하지만 빗물펌프장 주변의 흐름특성을 실제 측정한 결과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 모형을 검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빗물펌프장 효율적 운영을 위한 모형들의 검증을 위한 빗물펌프장 운영 시 빗물펌프장 주변의 흐름특성을 실측한 자료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봉1 빗물펌프장을 대상으로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빗물펌프장 운영 시 유수지 유입부와 빗물펌프장 토출부 주변의 유속분포를 측정하였다. 유속분포 측정은 2012년 8월 15일 발생한 홍수사상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빗물펌프장 주변의 유속분포 측정에 표면영상유속계를 적용한 결과 짧은 시간에 유속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수위 변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빗물펌프장 주변의 평면유속분포 측정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빗물펌프장 주변에 고정으로 설치한다면 실시간 유속분포 측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LSTM Autoencoder 기반 내부자 데이터 유출 징후 탐지

        김서준,손태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오늘 날 기업들은 내부 중요 데이터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최근 지속적으로 기업 내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내부자는 기업의 시스템에 대한 정보와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에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부자에 의한 데이터 유출 징후 탐지를 위한 머신러닝 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긴 시간 동안 정보를 기억하여 시계열과 시퀀스 데이터 처리에 용이한 LSTM 알고리즘과 Autoencoder를 결합한 LSTM Autoencoder에 내부자의 직급과 5가지 성격 특성 요소에 따라 패널티를 부가하여 탐지율을 향상시킨 모델을 제안하여 시험을 진행하였고, 이 모델이 내부자에 의한 데이터 유출 징후 탐지 분야에서 실효성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Today, compan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protect important internal data, but recently, there have been continuous data leakage incidents within the company. In particular, insiders with malicious purposes are emerging as the most serious threat to security because they have information and authority over the company's system. In this paper, we intend to conduct a study on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detecting signs of data leakage by insiders. We experiment with LSTM Autoencoder combining LSTM algorithms and Autoencoders that are easy to process time-series and sequence data by remembering long-time information, and we propose a model that improves detection rate by adding penalties according to insider rank and f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 factors.

      • 개봉1 빗물펌프장 운영 시 배수문 주변의 유속분포 측정

        김서준,김상혁,윤병만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도시지역의 내수침수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내지의 초과 우수를 하천으로 강제 배수시키는 빗물펌프장에 대한 설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빗물펌프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내수와 외수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본류 수위 증가로 인해 배수위 영향을 받는 지천의 경우에는 본류 수위 변화를 고려해야 하고, 본류 합류부에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빗물펌프장의 운영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배수문 조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빗물펌프장과 배수문의 최적 설계 및 운영 방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존 수치모형을 이용한 결과뿐만 아니라 빗물펌프장 운영 시 실제 흐름특성 변화를 관측한 자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봉1 빗물펌프장과 개봉1 배수문을 대상으로 홍수 시 빗물펌프장 운영에 따른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을 측정하였다. 유속분포 측정은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하였으며, 측정 구간은 배수문 직상류와 직하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유속분포 측정 결과 홍수위 상승 시와 하강 시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 변화뿐만 아니라 빗물펌프장 운영에 따른 배수문 주변의 흐름특성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 Numeric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Ice Harbor-type Fishway

        김서준,류권규,윤병만,임윤성 대한토목학회 201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2

        Recently various types of fishways have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order to preserve diversity of fish species and restore the riverine ecological system. Some of the fishways in Korea, however, seem to be designed and installed without careful study on their functions and swimming characteristics of target fish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proper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Ice Harbor-type fishway.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hanges in the spans of walls in the Ice Harbor-type fishways, by using Flow-3D,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program. Two phys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program. The comparison between the physical model and the numerical model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model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hysical opponent.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 were performed with various pool-aspect ratios (the ratio of span of fishway to its width). The numerical simulations revealed that, as the spans of baffles widens, the flow velocities of entire area decreases and the flow velocity of orifice area increa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ol aspect ratio should be larger than 1.0 to avoid the streaming flow, where fish could not ascend easily. As the ratio increases, the recirculation zone develops at the vertical plane and the flow condition becomes an inclined flow, which is the proper condition for fish ascending.

      • KCI등재

        통신 빅데이터와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하천 친수지구 이용객 추정

        김서준,김창성,김지성 응용생태공학회 2019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6 No.4

        Recently, 357 water-friendly space were established near the main streams of the country through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which was used as a resting and leisure space for the citizens, and the river environment and ecological health were improved. We are working hard to reduce the number of points and plan and manage the water-friendly space. In particular, attempts are being made to utilize mobile big data to make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number of users. However, when using mobile big data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conducting field survey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spatial user movement patterns, but i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amount of use, so various verifications are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number of users using mobile big data by comparing the number of visitors using mobile big data and the number of visitors using drone for Samrak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As a result, in the river hydrophilic distric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ing the usage pattern of each facility due to the low precision of pCEL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age patterns in the park could be distorted due to the signals stopped at roads and parking lo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umber of pCELLs in the water-friendly space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visitors excluding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in future mobile big data processing. 최근 4대강사업을 통해 국가 주요하천 인근에 약 357개소의 친수공원을 조성하여 국민의 휴식 및 레저공간으로 활용하고, 하천 환경 및 생태적 건강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실제 활용도가 저조하여 친수지구의 수를 297개소로 축소하고, 친수지구 계획및 관리를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특히 이용객 수 조사 및 예측을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통신 빅데이터를활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사람이 현장 조사를 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공간적인이용객 이동 패턴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실제 이용객 수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삼락생태공원을 대상으로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용객 이동 패턴과 무인기를 활용한이용객 수를 비교하여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용객 수 추정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천 친수지구의 경우 pCELL의정밀도가 낮아 시설물별 이용 패턴을 정밀하게 추정하기 어려웠으며, 도로 및 주차장 등에 멈춰 있는 신호들 때문에 공원 내 이용패턴이 왜곡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통신 빅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친수지구 내 pCELL 수를 확충하고 도로 및 주차장등의 시설물을 제외한 이용객 수 추정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하천 수위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변저류지 횡월류부 길이 결정 기법

        김서준,김상혁,윤병만,Kim, Seojun,Kim, Sanghyuk,Yoon, Byungman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8

        하천 주변의 도시화와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기존의 하천 위주의 홍수방어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역통합적인 홍수방어대책의 하나로 강변저류지 설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강변저류지를 치수대책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홍수조절효과 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하천 수위 예측의 중요 변수인 하천 조도계수는 항상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설계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설계인자인 강변저류지의 횡월류부 길이를 이용하여 하천 조도계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변저류지 설계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EC-RAS 부정류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천 조도계수와 횡월류부 길이 변화가 홍수조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하천의 수위 예측 불확실성을 고려한 횡월류부 길이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횡월류부 길이 결정 기법은 하천 수위 예측의 불확실성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좀 더 안전측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isting flood protection in rivers has shown the limitation due to the urbanization around rivers and the abnormal climate. Thus, the demand for the constructions of side-weir detention basin are being increased as a part of integrated watershed flood protection plan.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quantitative flood-control effect for including the side-weir detention basin in flood-control measures. For the determination,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the design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flood-control effect of side-weir detention basin. Among the factors, however, the water level in river always contains uncertainty. Therefore, the design method considering the uncertainty is required. For the reasons, the design method considering uncertainty of the water level in river is suggested in this study with using the length of side-weir which is relatively easy-determinable by designers. Therefore, it is examined how the variation of the length of side-weir can affect the flood-control effect, using HEC-RAS, and then the method to determine the side-weir length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the water level in river through results from analyses. Since the uncertainty of the water level in river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suggested design method, it is evaluated that the design method is more effective to suggest the flood-control effect of the side-weir type detention basin with higher safety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