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기술의 결정 방위산업의 현황과 과제

        김상헌,Kim, Sang-Heon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2 國防과 技術 Vol.- No.162

        우루과이 라운드(UR), 리우 등 대외적인 면이나, 오늘의 경제난국을 타개해나갈 활로인 기술개발의 활성화는 물론 우리 자위력의 현주소 등 총체적인 시각에서 볼 때 우리 방위산업의 재도약은 시대적인 요청사항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방위산업에 대한 위상재정립과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정책 및 지원 의지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적인 맥락에 비추어 볼때 지난 7월 1일 성황리에 열렸던 "방위산업대토론회"에서 발표되어, 국내 기술의 결정인 방위산업의 현황과 과제의 맥을 직시하였던 이 내용을 특집의 일환으로 수정하여 전재합니다 특히 이날 방산업계를 대표하여 토론에 참석한 김상헌 (주)풍산사장은 "본인이 비록 방산업계를 대신하여 토론에 참석하고 있으나, 모든 방산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을 대변할 수는 없을 것이며, 발표내용 중에는 이미 정부당국이 검토하고 있는 내용도 있을 것"이라고 전제하고, "방산업계 종사자와 정부당국자의 깊은 이해"를 당부하였습니다

      • KCI등재

        분무열분해, 후소성 및 볼밀링을 조합한 방법을 이용한 세리아의 합성 및 특성연구

        김상헌,김상필,송재경,김상헌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4

        In this study, micro-sized CeO 2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spray pyrolysis, and EG(ethylene glycol) and CA(citric acid) as organic additives were added to obtain hollow and porous particle during spray pyrolysis, and characteristics of obtained ceria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organic additives. Spray pyrolysis, postheat and ball-milling were combined to give 6 paths. CeO 2 nano-sized particle was obtained by the path which has sequence of Spray Pyrolysis with 0.5 M of EG and CA→Post-heat→Ball-milling→Post-heat among 6 paths. The average particle size(24 nm with standard deviation of 3.8 nm) of CeO 2 nano-sized particle by TEM analysis is close to the primary particle size(20 nm) which was calculated by Debye-Scherrer equation.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nanoparticle powders,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D(X-Ray Diffractometer) and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세리아 입자의 합성을 위하여 분무열분해 시 유기 첨가제인 EG(ethylene glycol)과 CA(citric acid)를 첨가하여 중공성 및 다공성을 갖는 CeO 2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를 제조하였으며 첨가량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무열분해과정, 후소성 및 볼밀링 과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만든 6가지 경로에 의해 나노 크기의 세리아 입자를 합성하였다. 6가지 경로 중 EG 및 CA가 0.05M 첨가된 Ce(III)가 전구체 수용액을 이용하여 분무열분해→후소성→볼밀링→후소성의 경로에 의해 얻어진 CeO 2 입자에 대해 TEM 분석으로 측정한 입자의 평균 크기 24 nm(편차=3.8 nm)는 Debye-Scherrer식에 의해 계산된 1차 입자의 크기(20 nm)와 가장 유사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나노입자분말의 형태적 및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D(X-Ray Diffractometer) 및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통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Perceptions of Severe Asthma and Asthma-COPD Overlap Syndrome Among Specialists: A Questionnaire Survey

        김상헌,문지영,이재현,반가영,김수정,김미애,김주희,김민혜,박찬선,박소영,권혁수,권재우,정재우,강혜련,박종숙,김태범,박흥우,조유숙,유광하,오연목,이병재,장안수,조상헌,박해심,박춘식,윤호주,Severe Asthma Work Group,Korean Academy of Asthma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8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Vol.10 No.3

        Purpose: Severe asthma and asthma-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verlap syndrome (ACOS) are difficult to control and are often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s. However, much is not understood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evere asthma and ACOS. To evaluate the current perceptions of severe asthma and COPD among asthma and COPD specialists, we designed an e-mail and internet-bas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clinical specialty from among the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and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Of 432 subjects who received an e-mail invitation to the survey, 95 subjects, including 58 allergists and 37 pulmonologists, responded and submitted their answers online. Results: The specialists estimated that the percentage of severe cases among total asthma patients in their practice was 13.9%±11.0%. Asthma aggravation by stepping down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subtype, followed by frequent exacerbation, uncontrolled asthma despite higher treatment steps, and serious exacerbation. ACOS was estimated to account for 20.7% of asthma, 38.0% of severe asthma, and 30.1% of COPD cases. A history of smoking, persistently low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low FEV1 variation were most frequently classified as the major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ACOS among asthma patients. Among COPD patients, the highly selected major criteria for ACOS were high FEV1 variation, positive bronchodilator response, a personal history of allergies and positive airway hyperresponsiveness. Allergists and pulmonologists showed different assessments and opinions on asthma phenotyping, percentage, and diagnostic criteria for ACOS. Conclusions: Specialists had diverse perceptions and clinical practices regarding severe asthma and ACOS patients. This heterogeneity must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and strategy development for severe asthma and ACOS.

      • KCI등재

        친자관계에 있어서 헌법재판의 역할에 관한 고찰 ― 민법 제844조 제2항 등 위헌확인 사건을 중심으로, 친족ㆍ상속법적 관점에서 ―

        김상헌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5 No.4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riterion of the violation of the private autonomy in the Constitutional Court based on the restriction on private autonomy or the protection for private autonomy in the family law and by reviewing legal principles in Constitutionality of Article 844 Section 2 of the Civil Code, the rol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legal parentage was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family law.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flect the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omposition of the just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judging criteria in the reasoning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of the judgment because the result of the judgment may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In these mean, this paper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concerning Constitutionality of Article 844 Section 2 of the Civil Code. First, in the case of Constitutionality of Article 844 Section 2 of the Civil Code,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Article 844 Section 2 of the Civil Code is against the Constitution as it hurts the formation of parenthood due to a genuine blood relationship, but, as we have seen, the problem of estimated provision of real children can be solved according to the existing jurisprudence in terms of operation. In particular, it is evaluated that it is not unconstitutional, even if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limit of legislative discretion and das Untermaßverbo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l judgments and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Civil judgments are based on civil laws and are designed to resolve disputes about civil case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is in a position to make abstract legislative control based on the Constitution. A civil court for the purpose of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ivil system shall, if it is suspected that the autonomous right is restricted due to a defect in the relevant laws or systems, recommend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n Act to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is in charge of the policy court, by its own authority. In this respect, the civil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in a partnership. However, I think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legislative control given by applying the general principles established in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uch as das Übermaßverbot, das Untermaßverbot and the limit of legislative discre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본 논문에서는 친족ㆍ상속법상 사적자치의 제한 내지 보호 법규에 기초한 위헌법률심판 또는 위헌소원의 형식으로 청구되는 헌법재판에 있어서 당해 사적자치의 침해 여부의 심사 기준과 그 밀도 등을 살피고, 민법 제844조 제2항 등 위헌확인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의 법리 등을 검토함으로써 친자관계에 대한 헌법재판의 역할을 친족ㆍ상속법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헌법재판소결정은 헌법재판의 특성, 재판관의 구성, 각 나라 및 사회의 특질이 반영된다. 따라서 그 판시 결과는 각 나라 별로 다를 수 있기에 그 판시결과에 관한 평석을 집중하기보다는 그 추론 과정에서의 판단 기준의 문제를 주로 다룰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민법 제844조 제2항 등 위헌확인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된다. 첫째, 민법 제844조 제2항의 위헌확인 사건의 경우 심판대상조문은 진실한 혈연관계에 따른 친자관계의 형성을 해치는 것으로서 헌법에 반한다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은,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운용의 면에서 기존 법리에 따른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정하기 어렵다. 특히 과소보호금지원칙의 심사밀도를 다양화하여 실질적 통제기준을 제시하더라도 생명ㆍ신체의 침해 영역과 같은 기준을 요구하기는 어렵다. 피해의 최소성이라는 효율성통제에 바탕을 두더라도 그 자가 부모의 친생자가 아닐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민법 제846조에서 친생부인의 소를 규정함으로써 친생자 추정에 따른 친자관계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있고, 확립된 대법원 판결을 통하여 좀 더 손쉬운 친생자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친생자 추정 관련 민법규정은, 국가가 국민의 법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무런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았든지 아니면 취한 조치가 법익을 보호하기에 명백하게 부적합하거나 불충분한 경우에 해당하지도 아니할뿐더러 법익의 침해를 방지하는 특정조치가 동 법익을 가장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경우, 국가가 이를 해태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제844조 제2항은 헌법상 과소보호금지원칙의 위반 또한 아니라고 할 것이다. 둘째, 민사판결과 헌법재판소결정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민사판결은 민사법규를 기준으로 구체적인 민사사건에 대한 분쟁해결을 도모하고, 헌법재판은 헌법을 기준으로 추상적 입법통제를 하는 위치에 놓여있다. 민사제도의 합리적 해석을 목적으로 하는 민사법원은, 관련 법규ㆍ제도의 흠결 내지 미비 등으로 사인의 사적자치권 제한 여부 또는 그 침해 여부가 의심스러울 경우, 정책법원의 역할을 담당하는 헌법재판소에 직권으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민사법원과 헌법재판소 사이에는 협력관계에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위헌성 여부를 판단하는 확립된 일반원칙인 과잉금지원칙, 과소보호금지원칙, 입법재량의 한계 등의 기준을 사안의 특질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주어진 입법통제의 역할을 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상가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의 기간 제한에 관한 소고

        김상헌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2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hereinafter referred as ‘the Act’) was amended on May 13, 2015, and new regulations on the store premium, etc. were newly established. In particular, through the Article 10-4 of the Act, t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was faithfully guaranteed. However, in relation to the duty of lessor to protect t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while the Act cites some of the provisions relating to the demanding right to renew a lease, it were not explicitly stipulated for the period in which 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is protected. Therefore, there was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0 year as period for demanding right of lease contract renewal and period for protecting t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The Supreme Court recently ruled that even if period for demanding right of lease contract renewal has expired, lessor has an obligation to protect lessee t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through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a225312, 2017Da225329 Decided May 16, 2019(hereinafter referred as 'the Judgment'). This, in effect, has shown that the above obligation of lessor have no time limit. However, human relations are important in lease. So it is not proper to limit the property rights of lessor without limit of the period simply because of the financial reason. Therefore the duty of lessor to protect the opportunity of recoup the store premium should be limited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period is an area in need of in-depth discussion considering the property rights of lessor.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2015. 5. 13. 개정되어 상가권리금 등에 관한 규정이 신설되었고 특히 동법 제10조의4를 통하여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기회 등이 충실히 보장되었다. 그러나 임대인의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와 관련하여 임대차계약 갱신요구권과 관련한 규정을 일부 인용하면서도 권리금 회수기회가 보호되는 기간에 관하여는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아니하여 10년의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과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기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그런데 대법원은,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7다225312, 2017다225329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을 통하여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이 지난 경우에도 임대인이 임차인에 대하여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가 있음을 분명히 하여 사실상 기간의 제한이 없는 임대인의 위와 같은 의무를 인정하였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해석이 임대인의 상가건물에 대한 사용수익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였으나, 임대차관계는 인적 신뢰관계가 중요시된다는 점에서 임차인의 자력뿐만 아니라 임차물의 사용방식, 그 성격적인 면 또한 중요하다고 할 것인데, 임대인이 원하는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가 있음에도 기간의 제한 없이 임차인이 주선하는 신규임차인이 되려는 자가 종전 임차인과 유사한 보증금과 차임을 지급할 것이라는 재정적 사정만으로 그에게 우선권을 주고 이를 거절하는 경우, 손해배상의 형태로 권리금을 부담시키는 것은 계약당사자간 형평의 목적에 들어맞지 아니한다. 따라서 계약갱신기간 만료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즈음, 임차인이 자신의 결정으로 선택한 부분에 대한 문제를 임대인에게 전가하기보다는 임차인 스스로 그 위험을 부담하는 것이 사회통념에 들어맞다. 따라서 임대인의 권리금 기회회수 보호의무는 기간의 제한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그 기간에 관한 논의는 임대인의 재산권 행사의 면을 고려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영역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크로아티아의 페미니즘문학과 여성작가들에 관한 연구

        김상헌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 동유럽발칸연구 Vol.44 No.1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present, Croatian literature has featured women writers who cannot be said to be so numerous (in spite of the long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y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female writers recorded in the history of Croatian literature to the women writers who are currently activ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emale writers in such literary and historical trends. Though centuries have passed since 1100 when record literature begins in earnest in Croatia, the number of female writers who are confirmed to be at the forefront of literary history is only minimal compared to men who make up the bulk of literary history. Such a phenomenon is the result of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rejudice agains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claim women’s rights and social status. Now, fortunately in the 21st century,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s been substantially reduced in almost every field of society, and at least in the Croatian literary worl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writers are perceived as non-existent compared to male authors. 본고는 16세기 이후 현재까지 크로아티아문학사에 등장하는 여성작가들을 중심으로 여성작가들에 의한 문학이 어떠한 개별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해 살펴본다. 크로아티아에서 본격적으로 기록문학이 시작되는 1100년 이후 지금까지 수세기가 흘렀지만, 문학사의 전면에 나선 것으로 확인되는 여성작가들의 숫자는 문학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성들에 비해 극히 미미할 뿐이다. 그와 같은 현상은 여성의 권리와 사회적 지위를 주장하는 측의 관점에서 봤을 때, 여성에 대한 사회적·문화적·역사적 편견에 따른 결과이며 차별이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에 들어선 현재, 다행스럽게도,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상당부분 축소되었으며, 적어도 크로아티아문학계에 있어서만큼은 남성작가들과 비교해볼 때 여성작가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16세기 크로아티아문학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여성작가 쯔비예타 주조리치 뻬스치오니(Cvijeta Zuzorić Pescioni)로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학사에 등장하는 각 여성작가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1990년대 이후 두 부분으로 갈라지는 여성작가들의 문학경향에 대해 개괄적으로 고찰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