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준,김하경,Sang Joon Kim,MD,Ha Kyoung Kim,MD,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To evaluate if the presence of pathologic myopia could affect the result of macular hole surger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macular hole surgery between a pathologic myopia group (11 eyes) and a non-pathologic myopia group (14 eyes). All patients had undergone PPV, ILM peeling and C3F8 (20%) gas temponade. BCVA, IOP and OCT finding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at 6 months after surgery. Postoperative BCVA, IOP and macular hole closure were compared between each groups. Result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operative parameter between the groups was axial length (p < 0.001). Postoperative BCVA was lower in the pathologic myopia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te of macular hole cl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 the non-pathologic myopia group (p < 0.001). Conclusions: The presence of pathologic myopia may negatively affect the result of macular hole surgery.
김상준,김진영,박성표,Sang Joon Kim,Jin Young Kim,Sung Pyo Park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6
Purpose: We report a case of post‐traumatic bilateral serous retinal detachment that resolved spontaneously within a month. Case summary: An 8-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post-traumatic bilateral serous retinal detachment and decreased visual acuity. We did not perform any specific treatment.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fluorescein angiography (F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slit lamp examination were used. Conclusions: After 1 month, the patient’s BCVA improved to 1.0 in both eyes, and serous retinal detachment resolved; FA findings and OCT findings were nearly normal. J Korean Ophthalmol Soc 49(6):1018-1021, 2008
김상준,이영식,이유,김용하,KIM SANG JOON,LEE YOUNG SIEK,YI YU,KIM YOUNG HA 한국천문학회 2000 天文學論叢 Vol.15 No.suppl1
We have presented detected molecules, atoms, radicals, ions, and dimers in the atmospheres of planets and comets from Earth-based and spaceborne observatories during the last 3 decades. We have reviewed spectroscopic studies on the auroral emissions and air glows of the giant planets, and briefly summarized spectroscopic observations of dimers in the atmospheres of the giant planets and Titan. In particular, we highlighted the recent detections of new molecular emissions and absorptions in the spectra of the giant planets, Titan, and recent bright comets from spaceborne or ground-based observatories. We also reviewed current models and theories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solar system, and implications of isotopic ratios in these atmospheres.
Unity 환경에서 AR기반 실시간 상호작용 지원 Wind-Cloth 시뮬레이터의 설계
김상준 ( Sang-joon Kim ),홍민 ( Min Hong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방향제어가 어려운 기존 Unity windzone의 한계를 극복하는 spot windzone을 구현하고, 이를 cloth 모델과의 상호작용에 적용한 windclotli 시뮬레이터를 제시한다. 제안 spot windzone은 Unity windzone의 고정된 방향과 범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boxcast를 도입하여 방향과 영향권에 있는 cloth만을 감지하여 해당 Cloth에게만 외부 힘을 작동하도록 구현하였다. Spot windzone은 Vuforia를 이용하여, 목표이미지(Target Image)와 연결함으로써, 바람에 의한 cloth 움직임을 보다 직관적인 AR기반 상호작용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상준 ( Sang-joon Kim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Compass, Gyroscope Sensor를 이용하여 실외 공간의 위치를 찾아주는 실시간 AR 나침반을 제안한다. 제안 AR 나침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Sensor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 실외 공간의 위치와 방향을 계산하여 안내 Object의 크기와 가시화 여부를 결정하고 보여줌으로 사용자가 실외 공간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나침반을 설계 구현하였다.
모바일 게임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직관적 변형 직물객체 조작
김상준 ( Sang-joon Kim ),홍민 ( Min Hong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Vol.7 No.4
In recent,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which has been attracting high attention is considered to be an good approach to increase immersion. In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based games that recognize target objects using a mobile camera and show the matching game characters, touch-based interaction is mainly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uitive interaction method which manipulates a deformable game object by moving a target image of augmented reality in order to enhacne the immersion of the game. In the proposed method, the deformable object is intuitively manipulat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target images and by adjust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formable object using them.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cloth deformable object which is widely used for natural object animation in game contents and implement natural cloth simulation interacting with game objects represented by wind and rigid objects. In the experiments, we compare the previous commercial cloth model with the proposed method and show the proposed method can represent cloth animation more realistically.
김상준(Sang-Joon Kim),김정진(Jung-Jin Kim)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4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이하 AA제도)는 여성에 대한 반차별적 정책(anti-discrimination policy)을 통해 평등한 고용 및 처우를 보장하는 조치이다. 우리나라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2006년에 도입되었다. AA제도는 사회와 기업에서 오랫동안 불리한 위치에 있는 소수그룹(예: 여성)의 실질적 평등이 이루어질 때까지 잠정적으로 여성을 우대함으로써 왜곡된 노동시장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도록하는데 제도의 목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A제도 측정방법론은 그 당위성만 강조되었을 뿐 국내에서 실증연구로 이루어진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AA 정책 및 프로그램 실행정도를 보다 가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측정방법론이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미국 주정부실증데이터를 바탕으로 여성의 고용상태 측정방법에 관해 살펴보는데 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미국에서 가장 적실성이 높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외부가용성(External Availability)’개념을 활용하여 미국 주정부 실증자료를 분석하였다. 외부가용성이란 개념은 특정 직업군에서 고용 가능한 자격을충족하는 집단의 인구수를 통계적으로 산출한 수치이다(Edelman, 1990). 미국 정부는 노동시장의인구통계학적 자료를 활용하여 ‘고용가용성(Available Labor Market Data, ALM)’지표를 매년 정부홈페이지 제시하고 기업에서 이를 활용하도록 한다. 또한 다른 기업들과 비교할 수 있는 수치를 추산한후, 기업에서 재직 중인 여성 근로자 인원을 상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현재 기업 내 여성 근로자 고용상태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US EEOC, 2021). 그러나 우리나라는 외부가용성과 관련된기준을 따로 정의하거나 관리하고 있지 않고 있어 미국 데이터와 측정방법론을 중심으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관련 기준이나 데이터가 부재한 상황에서 최초로 AA 측정방법의 실증분석을 실시한 탐색적 연구이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방법들은 추후 연구를 통해 타당성에 관한 추가적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ways to capture the extent to which a given locale embodies the values of affirmative action, i.e. equal employ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employs the concept of employment availability to figure out whether firms in a certain locale tend to comply with the affirmative-action guidelines. Given this concept, we define disparity as the proportion of female employees in the total locale population employed, deviated from the availability level. Along with this, we consider a measure of concentration, which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employment in a locale is occupied by a certain gender. By combining these two indices, we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affirmative action. As an illustration of the analytical framework, we employ the database from the U.S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EEOC). Specifically, by using the data of the state of Florida, the availability is measured based on demographic statistics; the indices of dispatiy and concentration are calculated; then how the locales of Florida show their implementation of affirmative action is analyzed with these two combined indices. Based on the analyses and from the implications from them, we contend that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measuring the affirmative-action implementation can be used to evaluate how equal employment is achieved; particually, we suggest that this analytical framework is applicable to the Korean context.
Android APK 파일 Decompile 및 난독화에 관한 연구
김상준 ( Sang-joon Kim ),정우득 ( Woo-deuk Je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스마트 기기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및 배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도덕적 문제, 개발자의 재산권 보호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배포된 애플리케이션 파일(APK)를 디컴파일(Decompile) 및 분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얻어낼 수 있다. 특히 디컴파일 기법이 악의적인 의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수정, 재배포 등 위변조로 인해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정보 유출, 금전적 피해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컴파일 과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위변조를 직접 수행함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예방책의 취약성에 대해 언급한다.
김상준 ( Sang-joon Kim ),고유진 ( Yu-jin Ko ),박구만 ( Goo-man Park ),최유주 ( Yoo-joo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지역 데이터의 시각화에 적합한 증강현실 그래프를 제안하고, 이를 카드 사용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지역별 외식 성향 시각화 도구로 활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증강현실 그래프는 사용자가 위치한 해당 지역의 GPS 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에서 분석 대상 지역을 선별하고, 지역별 특수 데이터를 찾아내어 해당 지역에 대한 빅데이타 분석 내용을 카메라 영상과 함께 시각화한 그래프이다. 증강현실 그래프를 적용한 외식 성향 시각화 사례에서는 카드 사용 가맹점 소재지 정보, 가맹점 업종, 카드사용시점(월), 카드 사용자 성별구분, 연령대, 월 카드사용금액 및 월 사용 건수 정보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연령대별 외식 선호도 내용을 카드사용건수가 많은 업종별 순위 그래프로 시각화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증강현실 그래프는 지역별 상권 현황, 아파트 시세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