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모바일 이용에 따른 실재감 인식에 관한 연구: 음성 및 영상통화에 의한 실재감 차이를 중심으로

        김봉섭,김정미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oes mobile construct daily experience through space in media environment. In doing this, we scrutinized high schools who have an active attitude to mobil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Presence between the Video calls and Voice call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high schools using Video calls experienced Presence which was more high schools using Voice calls. This proved empirically mobile user’s recognition in the space that was not proven until now. Additionally, The mobile user’s immersive tension affected Presence. However, the mobile user’s motivation and duration did not affect Pres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mobile’s uniqueness and user’s characters affect Presence. 본 연구는 모바일이 미디어 환경으로서 일상생활의 공간 경험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성통화 서비스와 영상통화 서비스간 실재감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음성통화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영상통화서비스 이용자가 더 많은 실재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실증적으로 입증하지 못했던 모바일 이용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행동을 인식차원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용자의 몰입경향도 실재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모바일의 이용동기와 이용기간에 따른 실재감 경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모바일 자체의 고유한 특성과 이용자 특성이 실재감 경험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 KCI등재

        균류키토산의 균체생산에서 기질농도 최적화에 관한 연구

        김봉섭,서명교,노종수,이용희,이국의 한국환경보건학회 200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9 No.3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hitosan from crustacean shell, the use of excessive acid and alkli is causing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f production cost. In this study,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cultivate fungi, then, to extract chitosan from the cell wall. By means of flask incubation and batch cultivation, the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continuous cultivation was found. Four strains used for the production of fungal chitosan were Gongronella butleri IF08080, Absidia coerulea IF05301, Rhizopus delemar IF04775, Mucor tuberculisporus IF09256. In flask incubation to select strain of producing much chitosan by means of experiment of the effect of initial pH, Absidia coerulea IFO 5301 had highest yield in FCs, 258.1 $\pm$ 47.3 mg/200 $m\ell$l at pH 6.5. In flask incubation under the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 temperature 27$^{\circ}C$, culture time 6days, glucose 2%, peptone 1%, (NH$_4$)$_2$ SO$_4$ 0.5%, $K_2$HPO$_4$ 0.1 %, Nacl 0.1 %, MgSO$_4$ㆍ7$H_2O$ 0.05%, CaCl$_2$ㆍ2$H_2O$ 0.01 %, the yield of DCW brought the highest yields. In batch bioreactor, the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 was that cell suspended solution was 70 $m\ell$, aeration rate 0.5 l/min, agitation rate 800 rpm, culture time 36 hr. In continuous bioreactor, the optimum substrate flow rate was 4 ι/day.

      • SCIESCOPUSKCI등재

        5 ' 5 ' - dithiobis ( 2 - nitrobenzoic acid ) 에 의한 메탈로사이오닌 cystein 기의 분자 특징

        김봉섭,권훈정,최명언,고은희 ( Bong Sub Kim,Hoon Jeong Kwon,Myung Un Choi,Eun Hie Koh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BMB Reports Vol.20 No.3

        In the previous study of the reaction of the cysteinyl groups of metallothionein (MT) with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DTNB) (Korean Biochem. J. (1984) 17, 288-298), it was found that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were markedly affected either by the presence of metal or by the changes of protein conformation. In order to clarify these phenomena, we prepared the a fragment (4-metal cluster) of MT-I and examined the DTNB reaction. The ratio of 1.7 was obtained as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to the bound metal ions. Thus these data support the notion that only one type of cysteinyl groups may interact with DTNB, mainly simply coordinated cysteinyl group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 ous disulfides on the DTNB reaction rates to explore the micro environment around the cysteinyl groups. Disulfides tested were cystamine, 2-hydroxyethyl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and 3,3`-dithiodipropanoic acid. The DTNB reaction rate of MT-I was enhanced by cystamine and 2-hydroxyethyl disulfide, but that of the α fragment was inhibited by both disulfides. Others had no effects on the DTNB reaction of MT. Therefore,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of MT seem to be located in a hydrophilic and negatively charged microenvironment.

      • KCI등재

        로봇기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봉섭,조미헌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1

        Globally SW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e government is preparing for this trend as a mandatory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because the 17 hours of annual education offered in the course of Practical Arts cannot have great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robot-based SW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other regular subjects. Als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lated to future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selected as key factors.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subject-related SW education program using robo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 survey was conducted,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students could have positive perception on SW education. 전 세계적으로 SW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교육을 의무화하며 이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실과 영역에서 연간 17시간 이상의 교육만으로는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로봇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SW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미래 역량을 신장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핵심요소로 선정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기반의 교과연계 SW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시한 자유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SW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ysteinyl Groups of Metallothionein by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김봉섭,권훈정,최명언,고은희,Kim, Bong-Sub,Kwon, Hoon-Jeong,Choi, Myung-Un,Koh, Eun-Hie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7 한국생화학회지 Vol.20 No.3

        In the previous study of the reaction of the cysteinyl groups of metallothionein (MT) with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DTNB) (Korean Biochem. J. (1984) 17, 288-298), it was found that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were markedly affected either by the presence of metal or by the changes of protein conformation. In order to clarify these phenomena, we prepared the a fragment (4-metal cluster) of MT-I and examined the DTNB reaction. The ratio of 1.7 was obtained as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to the bound metal ions. Thus these data support the notion that only one type of cysteinyl groups may interact with DTNB, mainly simply coordinated cysteinyl group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 ous disulfides on the DTNB reaction rates to explore the microenvironment around the cysteinyl groups. Disulfides tested were cystamine, 2-hydroxyethyl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and 3,3'-dithiodipropanoic acid. The DTNB reaction rate of MT-I was enhanced by cystamine and 2-hydroxyethyl disulfide, but that of the a fragment was inhibited by both disulfides. Others had no effects on the DTNB reaction of MT. Therefore, the DTNB titrable cysteinyl groups of MT seem to be located in a hydrophilic and negatively charged microenvironment. 메탈로사이오닌과 5,5'-dithiobis(2-nitrobenzoate) (DTNB)의 반응연구에 의하면 (Korean Biochem. J. (1984) 17, 288-289), DTNB에 의하여 적정되는 cysteinyl기의 수는 금속의 존재나 메탈로사이오닌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이것을 더 연구하기 위해 메탈로사이오닌의 $\alpha$ fragment를 분리하여 DTNB와 반응시켰다. DTNB로 적정가능한 cysteinyl기의 수와 금속이온수의 비는 1.7이었다. 이것은 메탈로사이오닌 내의 cysteinyl키 중 simply coordinate된 것만이 DTNB와 반응함을 뒷받침 해준다. 더 나아가 cysteinyl 거의 분자내 환경을 알기 위해 disulfide 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Cystamine, 2,2'-dihydroxyethyl disulfide, 3,3'-dithiodipropanoic acid, dimethyl disulfide 동의 disulfide가 사용 되었다. 메탈로사이오닌-I의 경우에는 cystamine과 2,2'-hydroxyethyl disulfide에 의하여 반응속도가 증가하였으나 $\alpha$ fragment의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다른 두 disulfide는 반응속도에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따라서 DTNB와 반응하는 메탈로사이오닌의 cysteinyl기는 그 미세환경이 음성전하를 띠고 친수성의 위치에 처해 있다고 추정된다.

      • KCI등재

        부모통제․학교관여․교우관계가 청소년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이버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김봉섭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사이에 ‘사회적 죽음’으로 인식되는 사이버폭력과 관련해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부모, 학교, 친구 등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부모, 학교, 친구 등 사회통제 그룹이 청소년 온라인 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근거하여 이들 그룹이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과의 관계에서도 실제로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규명하려는 것이다. 실효성 있는 사이버폭력 예방과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매년 실시하는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2020년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진행했다. 한국교육개발원 학교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교급, 지역, 학년별로 층화계층추출방식을 통해 전국 17개 시도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 총 4,958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의 관여도가 낮고,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경우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자녀의 디지털 이용에 대한 부모 통제는 직접적으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태도는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해 부모 통제의 영향력을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학교 관여, 교우관계 등의 영향을 매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향후 사이버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학교와 친구의 개입 방안뿐만 아니라 사이버폭력에 대한 부정적이고 비관용적인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포함해야 함을 밝혔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 school, and friend on cyberbullying, which is recognized as ‘social death’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 claim that social control group such as parent, school, and friend had a great influence on online youth behavior, this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groups actually exercise their influence in relations with cyberbullying. This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yberbulllying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To that end, the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20 results of the annual Cyber Violence Survey. Based on school statistics at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 total of 4,958 students from fourth graders to high school students in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were analyzed through stratified class extraction by class, region, and gra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f adolescents have low school involvement to prevent cyberbullying and a unfriendly relations with friend, their experience of cyberbullying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control of parent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experience of cyberbullying. Finally, the attitude to cyberbullying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xpanding and strengthening their influence on cyberbullying by mediating parental control, school involvement, and friendship.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cyberbullying prevention programs should include measures to foster negative and pessimistic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as well as intervention measures for school and friend.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 요인에 대한 부모 지지와 친구 관계의 조절 효과

        김봉섭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부 모와 친구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이 피해 자에게 어떤 부정적 영향을 일으키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과 그 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결과 간에 부모 지지와 친구 관계가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 는지를 고찰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교 4 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했다. 조사 대상은 총응답자 9,017 명 중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1,136명이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은 직접 적으로 피해자의 정서와 신체에 모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지지는 사이버폭력 피해로 인한 부정적 결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경우 친구 관계가 원만할수록 사이버폭력의 피해로 인한 부 정적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사이버폭 력 관련 정책적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에 측정 변수들이 본 연구가 파악하고자 하는 개념 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점, 사이버폭력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 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보호 요인으로 작동되는 개인의 내적, 환경적 요인에 대해 서도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ole of parents and friends in minimizing the victimization caused by cyberbullying. To that end, we examine how cyberbullying victimization negatively affects the bullied. We als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ing support an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its negative impact. For analysis, this study used data survey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Of the 9,017 respondents, 1,136 who experience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were surveyed. The analysis provided confirmation of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had a direct negative impact on the emotions and bodies of victims. Second, it was established that parenting support had no impact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victimization through cyberbullying. Third, in the case of teens, the friendlier the friendship, the lower the negative impact of cyberbully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cyberbullying among youth were discus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measurement variables couldn’t be considered to be exactly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is study, various methods to reduc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m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미디어 진화에 따른 디지털기기 의존증 유발요인에 대한 탐색연구

        김봉섭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7 社會科學硏究 Vol.33 No.1

        미디어가 제공하는 환경에 함몰되어 살아가는 시대에서 주요한 관심은 미디어중독이라 불리는 미디어에 대한 의존 현상의 증가라 할 수 있다. 텔레비전중독 뿐만 아니라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휴대전화 중독 등 미디어중독은 이미 잘 알려진 미디어 이용의 현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디어중독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인적인 특성, 즉 미디어에 중독된 자와 중독되지 않은 자들 사이에는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는 점에 제한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MP3, PMP 그리고 디지털 TV 뿐만 아니라, DMB나 WiBro 등 새로운 디지털기기의 대중화에 따른 디지털기기 의존증의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저해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용자 관점에서 탈피하여 디지털기기에 대한 의존 현상을 미디어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미디어에서 중독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접근성, 생동감, 상호작용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디지털기기에서 더욱 강화되거나 확대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디지털기기의 진화방식은 향후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중독 현상으로 디지털기기 의존증을 유발할 것으로 보여진다. 즉, 디지털기기는 기존 미디어의 중독 유발요인을 더욱 확대하거나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 이용의 부작용인 디지털기기의존증을 유발할 것이며 이러한 유발요인은 바로 편재성, 생동감, 상호작용성이 주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여진다.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oday`s media-oriented society is the growing dependence on media and so-called media addiction. Media addiction, including the internet addiction, game addiction, and mobile phone addiction, is already a well-known phenomenon. So far, studies on the trigger factors of the media addiction has emphasized the behavior of the addicted, assuming that the behavior of those who are addicted to the media is somehow different from that of those who are not. However, such approach distorts the means to accurately analyze the subject. As devices such as MP3, PMP, and Digital TV,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DMB and WiBro become common, and as the dependence on the digital devices grows as a result, there are calls for new approaches to respond to the possible increase on the media addiction. The new approach in analyzing the subject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hree main elements of the media that attribute to the addiction are accessibility, vividness, and interaction. Similarly, digital devices are equipped with more advanced functions resulting in ubiquity, vividness and interaction. Such evolution in technologie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factors that have led to the media addiction. In other words, digital devices that have replaced the traditional media would likely to result in more serious digital device dependency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