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공산당의 영도 지위와 당정분리 원칙에 대한 변화 고찰

        김보훈 중국지역학회 2024 중국지역연구 Vol.11 No.2

        당정분리(黨政分開)원칙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의 영도 원칙에 부합하고, 당의일선으로의 등장이 가져오는 극단적 정치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자 등소평에 의해 강조되고, 제도적인 정비를 진행하였다. 한국과 중국 모두 정당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국가의명운(命運)이 달라질 수 있고, 집권당의 정책수립과 시행, 그리고 국정철학은 정치공동체의 방향과 목표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정당은 공익성을 근본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지금의 중국은 신중국 이후 설정하였던 공산당의 영도원칙이 헌법의개정으로 방향성을 달리하고, 하위 법규범의 개정으로 그 구조를 공고히 하는 과정이라고볼 수 있다. 더불어 이당대정(以黨代政)이 사회국가 건설이라는 중국의 국가목표에 적합한체계가 아니라는 시대적 경험과 정치원리로서 증명을 해 왔다. 문화대혁명의 종료와개혁개방, 그리고 1982년 헌법개정 후 중국 정치제도 재구축의 핵심적 원칙은 ‘당의전면 통치’에서 ‘당정 분리를 통한 역할 분담’이었다. 극단적인 좌파적 사상투쟁의 결과, ‘경제 발전’의 영역을 ‘정치 투쟁’의 영역에서 분리시켜 행정부가 독자적으로 기능하도록하는 것이다. 이번 전국인민대표대회는 덩샤오핑(鄧小平)이 설계하고 추진했던 정치제도와 관행이 사라지고, 중국의 통치메커니즘이 마오쩌둥(毛澤東)의 절대 독재 체제였던문화대혁명 이전으로 돌아갔다고 볼 수 있다.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was emphasized by equal review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ly with the leadership principle of the Marxist-Leninist party an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xtreme political phenomena brought on by the emergence of the party to the front line. In both Korea and China, the fate of the state can vary depending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party, and the ruling party's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nd the philosophy of state administration can fundamentally change the direction and goal of the political community. In China, the Communist Party's leadership principle,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New China, is a process of changing its direction toward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solidifying its structure through the revision of subordinate legal norms. In addition, it has demonstrated through historical experience and political principles that the party administration is not a system suitable for China's national goal of building a social state. The core principle of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1982 was 'sharing roles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from 'full rule of the party'. As a result of the extreme left-wing ideological battle, the area of 'economic development' is separated from the area of 'political struggle' so that the administration can function independently. This National People's Congress can be seen as the disappearance of the political system and practices designed and promoted by Deng Xiaoping, and China's governing mechanism has returned to before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Mao Zedong's absolute dictatorship

      • 고에너지 물질의 반응속도식 정의를 위한 이론적 모델

        김보훈,기홍,박정수,여재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4

        The analytical model determining the unknown parameters of reaction rate equation which is necessary to simulate the combustion phenomena of energetic materials is propo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tonation velocity and size effect of energetic materials is derived from simplified JWL++ model. Theoretical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ertain energetic materials before running Hydrocode by pre-determination of unknown parameter, b. When b=0.8, the behavior of HANFO gunpowder is in the form of concave-up and ANFO explosives has the concave-down form in case of b=1.5. The analytical model provides efficient and highly accurate results rather than previous method which simulated the unconfined-rate-stick via the numerical means.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반응속도식의 미정상수를 결정하는 이론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I&G 모델을 간략화 한 JWL++ 모델로부터 폭굉 파속(detonation velocity)과 고에너지 물질의 크기효과(size effect)에 대한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소개된 이론적 모델은 수치해석기법인 Hydrocode를 사용하기 전에 미정상수 b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특정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특성을 규명하는데 사용된다. HANFO 계열 화약의 질량 분율은 b=0.8일 때 concave-up 형태로, ANFO 계열 화약은 b=1.5일 때 concave-down 형태로 도출되었다. 이론적 방법은 기존의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시험을 모사한 수치해석적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제공하므로 진일보 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외부 파편 충돌에 의한 반응 시스템의 동적 응답 해석

        김보훈,민성,도영대,창기,유지창,여재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4

        무기체계 개발에서 예상치 못한 고속의 파편 충격을 받았을 때 반응 시스템의 폭발 반응을 예측하는 것은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X-17(92.5% TATB, 7.5% Kel-F)과 AP 기반의 고체 추진제(88% AP, 12% HTPB)가 충전된 반응 시스템에 한계 속도로 충돌하는 파편 충격을 가했을 경우 발생하는 폭굉 현상 및 파괴 거동을 I&G 모델이 적용된 2차원 하이드로 수치해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해석 결과, LX-17의 경우 충격-폭굉 천이 현상(SDT)이 주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한 반면 고체 추진제는 상대적으로 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즉, 시스템의 파괴는 내부 압력의 증가로 이어진 격렬한 반응으로 인한 고에너지 물질의 폭굉 천이 현상이 그 원인이며, 폭발등급이 낮은 경우에는 고속 충돌에도 발화되지 않아 커버가 완전 파쇄에 이르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afety of reactive system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reas in the field of weapon development. A NoGo response or at least low-order explosion should be ensured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 when the reactive system is impacted by high velocity projectile. We investigate shock induced detonation of cased reactive systems subject to a normal stimulus impact based on two dimensional hydrodynamic simulations using I&G chemical rate law. Two types of energetic materials, namely LX-17 and AP-based solid propellant are considered to compare the dynamic response of the reactive system when applied the threshold impact velocity. It is found that shock-to-detonation transition phenomena have occurred in the cased LX-17, while a full reaction did not occur in the propellant.

      • KCI등재

        파이로테크닉 장치의 고폭 폭발성능 정밀 하이드로다이나믹 해석

        김보훈,여재익,Kim, Bohoon,Yoh, Jai-ic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9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8 No.2

        고에너지 구성 요소 시스템의 설계를 위하여 고폭화약의 폭발 반응을 엄밀하게 모사할 수 있는 실제 규모의 하이드로다이나믹 해석을 수행하였다. 폭발성능 정밀 해석 SW는 고에너지 물질의 충격 민감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반응 유동 모델을 검증하고 일련의 화약 트레인을 통과하는 충격파 전달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파이로테크닉 장치는 여폭약(HNS+HMX), 격벽(STS), 수폭약(RDX), 파이로테크닉 추진제(BPN)로 구성된다. 추진제 연소로 인하여 생성된 고압의 연소 가스는 충격파와 저밀도파 간 간섭에 의해 유도된 고유의 진동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0 cc 밀폐형 챔버에 유입된다. 특정 주파수(${\omega}_c=8.3kHz$)에서의 피크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및 계산으로 측정된 압력 진동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폭화약의 폭발반응과 추진제의 폭연반응, 비-반응 금속의 변형에 관하여 단계별 수치해석 기법들을 충격 물리 해석 SW로 구현함으로써 고에너지 물질 시스템에 대한 대규모 하이드로다이나믹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하였다. 개발된 고폭화약 폭발성능 정밀 해석 SW를 고에너지 구성 요소 시스템의 파이로테크닉 연소 반응 M&S에 적용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A full scale hydrodynamic simulation that requires an accurate reproduction of shock-induced detonation was conducted for design of an energetic component system. A detailed hydrodynamic analysis SW was developed to validate the reactive flow model for predicting the shock propagation in a train configuration and to quantify the shock sensitivity of the energetic materials. The pyrotechnic device is composed of four main components, namely a donor unit (HNS+HMX), a bulkhead (STS), an acceptor explosive (RDX), and a propellant (BPN) for gas generation. The pressurized gases generated from the burning propellant were purged into a 10 cc release chamber for study of the inherent oscillatory flow induced by the interferences between shock and rarefaction waves. The pressure fluctuations measured from experiment and calculation were investigated to further validate the peculiar peak at specific characteristic frequency (${\omega}_c=8.3kHz$). In this paper, a step-by-step numerical description of detonation of high explosive components, deflagration of propellant component, and deformation of metal component is given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outlined formulation into a shock physics code for a full scale hydrodynamic simulation of the energetic component system.

      • KCI등재

        Simulating sympathetic detonation using the hydrodynamic models and constitutive equations

        김보훈,민성,Taeboo Sun,Jack J. Yoh 대한기계학회 2016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0 No.12

        A Sympathetic detonation (SD) is a detonation of an explosive charge by a nearby explosion. Most of times it is unintended while the impact of blast fragments or strong shock waves from the initiating donor explosive is the cause of SD. We investigate the SD of a cylindrical explosive charge (64 % RDX, 20 % Al, 16 % HTPB) contained in a steel casing. The constitutive relations for high explosive are obtained from a thermo-chemical code that provides the size effect data without the rate stick data typically used for building the rate law and equation of state. A full size SD test of eight pallet-packaged artillery shells is performed that provides the pressure data while the hydrodynamic model with proper constitutive relations for reactive materials and the fragmentation model for steel casing is conducted to replicate the experimental findings. The work presents a novel effort to accurately model and reproduce the sympathetic detonation event with a reduced experimental effort.

      • 외부 충격에 의한 고체 에너지 물질의 반응속도식 개발

        김보훈,여재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고체 에너지 물질의 연소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반응속도식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미정상수를 결정하는 이론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SNU I&G 모델과 BOICK 모델은 기존의 반응속도식이 갖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동시에 중요한 물리적 의미를 내포하는 형태로 제안되었다. 이는 공극붕괴(void collapse)로 인한 hotspot의 생성을 의미하는 점화모델과 폭굉(detonation)으로의 천이를 의미하는 화염 발달모델, 그리고 외부 파편 및 총탄 충격에 대한 변형모델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함께 소개된 이론적 모델은 고에너지 물질의 수치해석 기법인 Hydrocode를 사용하기 전에 미정상수 b, G, χ, I를 결정함으로써 특정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특성을 규명하는데 사용된다. 이론적 방법은 기존의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시험을 모사한 수치해석적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정량적인 결과를 제공하므로 진일보 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SNU I&G and BOICK model which are necessary to simulate the combustion phenomena of solid energetic materials and an analytical model determining the unknown parameters of the reaction rate equation are proposed. SNU I&G and BOICK model sustain important physical implications and consist of ignition term which represents the formation of the hotspot due to void collapse and growth term which means the shock to detonation transition phenomena and strain term representing the morphological deformation induced by external impact. Also, the theoretical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unknown parameters, b, G, χ, I of certain solid energetic materials before running Hydrocode. The analytical model provides more efficient and quantitative results over the previous method which numerically simulated the unconfined rate stick test.

      • Heavily Aluminized RDX의 크기효과에 따른 폭굉 특성 연구

        김보훈,박정수,여재익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충격파에 의한 고에너지 물질의 폭발 현상은 매우 짧은 시간(~μsec) 안에 폭굉으로 천이되므로 정확한 반응속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에 의한 화약의 폭발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반응 개시항(ignition term)과 폭굉 성장항(growth term)으로 구성된 압력기반의 반응속도 모델을 사용하여, 30% 이상의 알루미늄이 함유된 heavily aluminized RDX의 크기효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원통형으로 제작된 화약의 반경에 따른 폭굉파의 전파속도 변화 거동을 정의하기 위하여 비구속 반응 스틱에 대한 실험 및 2차원 오일러리안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계산 결과에 따르면, 폭발파가 가속되는 조주구간 이후 압력의 정상상태 하에서 측정된 폭굉 파속(detonation velocity)이 heavily aluminized RDX의 이론 및 실험 데이터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accurate and reliable prediction of reactive flow is crucial when characterizing a high explosive subjected to external shock impact because detonation transition as a high-order explosion is observed within a very short time scale (~10<SUP>-6</SUP> sec).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ize effect behavior of heavily aluminized RDX which contains more than 30% of Al using a pressure based detonation rate model that includes ignition and growth mechanisms for shock initiating. A series of unconfined rate stick tests and two-dimensional Eulerian hydrodynamic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get the relationship between detonation velocity and inverse radius. Results of the fully developed detonation velocity measured in steady state region are in good quantitative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data of heavily aluminized RD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