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수 유동 방향에 대한 관정배열이 분배추적자 시험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보아,김용철,여인욱,고경석,Kim, Bo-A,Kim, Yongcheol,Yeo, In Wook,Ko, Kyung-Seok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4 지하수토양환경 Vol.19 No.3

        Partitioning interwell tracer test (PITT) is a method to quantify and qualify a site contaminated with NAPLs (Non-Aqueous Phase Liquids). Analytical description of PITT assumes that the injection-pumping well pair is on the line of the ambient groundwater flow direction, but the test-well pair could frequently be off the line in a real field site, which could be an erroneous factor in analyzing PITT data.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angle of the test-well pair on the ambient groundwater flow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 from PITT. From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obliqueness of the test-well pair to the ambient groundwater flow direction could affect the tracer test resulting in a decreased NAPL estimation efficiency. In case of an oblique arrangement of the test-well pair to the ambient flow direction, it was found that the injection of a chase fluid could enhance the estimation efficiency. An increase of the pumping rate could enhance the recovery rate but it cannot be said that a high pumping rate can increase the test efficiency because a high pumping rate cannot give partitioning tracers enough time to partition into NAPLs. The results have a implication that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test-well pair is a controlling factor in performing and interpreting PITT in the field in addition to the known factors such as heterogeneity and the source zone architecture, flow direction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arranging test-well pair.

      • 한국 지역사회 노인대상의 운동중재 프로그램 연구 동향과 mHealth 서비스 개발에의 시사점

        김보아,김홍수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노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체력을 증진시키고 생리적 저하의 많은 부분을 예방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수행정도가 권고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노인 대상 운동중재 프로그램 개발가이드라인 구축을 목표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 중 운동 중재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주요 보건의료분야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양적 연구 문헌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제외 기준을 거쳐 수집된 총 분석대상 문헌은 28개였으며, 이 중 중재 장소가 ‘복지관 혹은 경로당’인 문헌이 39.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한 회당 운동시간과 주당 운동시간이 각각 41~60분과 100~149분이었던 문헌의 비중이 가장 컸다. 전체적으로 WHO 가이드라인의 운동 중재시간 권고기준을 충족시키는 연구는 11편으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고강도의 운동중재를 포함한 연구는 3편에 불과하였다. 이는 운동 중재를 통한 효과가 제한적임을 의미하며, 따라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에 기반하여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모바일 기기 기반 중재가 확산됨에 따라 이를 적용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생애주기별 치아관리를 위한 IoT 덴탈케어 제품 - 서비스 디자인 개발 연구

        김보아,임혜원,정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Human teeth have to be taken care of to avoid tooth damage until old age since permanent teeth formed after baby teeth come out do not regenerate. 87% of the people in Korea suffer from oral diseases, but only a few of them regularly go to the dentist to take care of teeth. Dental diseases, especially, occur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human beings’ growth and aging, so monitoring and timely care are important. Various IoT and oral care products are launched recently, but they focus on certain functions such as dental bleaching and hygien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with properly managing teeth care and dealing with dental diseases in the long term. Thus, dental care products to use for long and take care of teeth according to life cycle are necessar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dental care products and service design that make it possible to keep teeth healthy, take good care of them and prevent dental diseases according to life cycle by analyzing the users and the existing products.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IoT, and users by life cycle and their dental disea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and advanced researches. An analysis of the existing products and users wa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roducts showed that the products were divided into three―edutainment, dental bleaching and treatment and diagnosis, and most of them were size-bound and not for sustainable use. In addition, an in-depth interview targeting the users by life cycle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ways to take care of teeth and wrote personas by age.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user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n dental care and purpose of use, temporary treatment, difficulty in finding out when to start a treatment, difficulty in carrying out continuous treatment and etc. This study suggests a product with sterilization and care effects facilitating mu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hospitals and a dental care product-service proposing problem solutions related to dental care and preventing diseases. 인간의 치아는 유아기 유치 생성 후 영구치로 바뀌면 재생되지 않으므로 노년까지 치아가 손상되지 않도록 관리해야한다. 우리나라 국민 87% 구강질환을 경험이 있으나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관리하는 경우는 소수의 불구하다. 특히 치아 질환은 인간의 성장과 노화에 따라 발생 시기가 달라 모니터링과 시기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다. 최근 다양한 IoT 및 스마트 구강관리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나 미백, 위생 등 특정 기능을 중심으로 제공하고 있어 장기적인관점에서 치아관리과 질환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사용하며 생애주기에 따라 치아관리 할 수 있는 덴탈케어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및 기존 제품분석을 통해 생애주기에 따라 유지·관리·예방이 가능한 덴탈케어 제품과 서비스디자인 제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생애주기별 사용자 및 구강질환, 사물인터넷의 이론적 고찰을 살펴보았으며, 기존 제품 및 사용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존 제품을 분석한 결과 에듀테인먼트, 미백관리, 치료진단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제품 크기가 한정적이고 지속적 사용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분석을 위해 생애주기별 사용자에 따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치아관리 행태를 조사하였으며 연령대별 페르소나를 작성하였다. 사용자 분석 결과 치아 관리 및 사용 목적의 차이, 단발성 치료, 치료 시기 파악의 어려움, 지속적인 관리의 어려움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며 살균·케어 효과 및 병원과의 상호 정보 전달이 가능한 한 제품을 제안하고자 하며 구강 관리에 대한 문제해결방안 제시와 질병 예방을 함께 해결 가능한 덴탈케어 제품-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낙동강변 지하수 및 지표수의 주요원소 용존 농도 결정에 대한 막필터 공극 크기의 영향 분석

        김보아,고동찬,하규철,Kim, Bo-A,Koh, Dong-Chan,Ha, Kyoochu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5 지하수토양환경 Vol.20 No.4

        Various typ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lloids are present in natural water including groundwater.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Fe, Mn and Al are colloid-forming elements and dissolved concentrations can be erroneous for these elements if water samples are not properly filtered. Dissolved concentrations of elements including Ca, Na, Mg, K, Fe, Mn, Si and Al in groundwater from alluvial and bedrock aquifers, and surface water near Nakdong River were determined to evaluate effects of colloids on dissolved concentrations in natural water samples using various pore sizes of filters. Groundwater is mostly anoxic and have elevated concentrations of Fe and Mn, which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the effects of colloids on dissolved concentrations of colloid-forming elements. Membrane filters with four kinds of pore sizes of 1000 nm, 450 nm, 100 nm, and 15 nm were used for filtration of water samples. Concentrations of dissolved concentrations in each filtrat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1000 nm to 100 nm. However, concentrations of all elements considered were decreased in the filtrates obtained using 15 nm pore size filters by 10 to 15% compared to those using 450 nm except for bedrock groundwater. Al in surface water showed a distinct linear decrease with the decrease of filter pore sizes. These results showed that 100 nm pore size had little effect to remove colloidal particles in alluvial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our study. In contrast, significant concentration decreases in 15 nm pore size filtrates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15 to 100 nm colloidal particles may affect determination of dissolved concentrations of elements in natural water.

      • KCI등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 및 자기파괴성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보아,전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 램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대상은 서울 모 병원 정신과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만 19세 여성으로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4월 25일까지 총 33회기로 주 2회~3회씩 120분~150분간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적응도식 질문지, 자살사고 척도, 자살충동 척도를 사전 사후 추후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치료과정에서의 단계별 변화와 상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회기별 치료 과정의 단계별 표현과 상징의 변화에서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따라서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program, on a woman suffering from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due to BPD, which was based on the Theory of BPD Psychological Schema developed by Dr. Jeffrey You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9-year-old female diagnosed as BPD at a hospital in Seoul. This art therap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3 sessions of an 120-150 minute session per each, 2–3 times a week from Jan 2 to April 25, 2015. To do so, the questionnaires of maladjustment schema, Measures of Self-murder measure and Suicide Impulse were applied as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and changes and symbols at each session of treatment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therap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lax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in a lady with BPD. Second, this therap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lleviation of self-destructive behavior in this lady with BPD. Third, this therapy positively helped to relieve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her in view of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degree of change and symbols during a course of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indicate that this art therapy based on Young’s Theory of BPD Psychological Sche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a woman suffering from BPD.

      • KCI등재

        20대 한국 직장인의 음주 심각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와 BDNF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김보아,이상익,김시경,신철진,손정우,홍주봉,남영우,주가원,Kim, Bo-Ah,Lee, Sang-Ick,Kim, Sie-Kyeong,Shin, Chul-Jin,Son, Jung-Woo,Hong, Joo-Bong,Nam, Yeong-Woo,Ju, Ga-W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2 생물정신의학 Vol.19 No.2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enetic polymorphism and job stress on the severity of alcohol drinking. It was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with the Met/Met BDNF genotype would be more vulnerable than those carrying the Val allele. Methods : Participants were 133 healthy Korean adults (mean age $28.2{\pm}1.1$). Job stress and the severity index of drin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DNF (rs6265) gene was genotyped.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he severity of alcohol drinking. Although the severity of alcohol drinking was not associated with BDNF genetic polymorphis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 according to genotype and job stress. Men with homozygous BDNF Met allele were more severe in alcohol drinking when job stress was high, less severe in alcohol drinking when job stress was low than those carrying the Val allele (F = 4.47, p = 0.038). Also higher level of job stress was correlated with higher severity of alcohol drinking in men homozygous for BDNF Met allele (rs = 0.620, p = 0.005).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Met allele could hav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with men homozygous for BDNF Met allele being more susceptible to both more adverse and less adverse environmental infl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