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 소득분위에 따른 직업훈련의 효과 추정

        김보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wag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household income deciles and analyze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on income inequality.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 from 2010 to 2019 and a fixed effect model,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by income deciles. The fixed effect model allows for the removal of selection bias and enables the estimation of the net effects of polici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by income deciles, it was found that many low-income households were employed in small businesses and temporary positions, receiving low wages.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working in precarious jobs increased over time. Even in the results obtained from estimating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training only had an effect on high-income households, indicating that vocational training does not alleviate income inequality. To address income inequalit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it is urgent to establish tailored selection processes and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ally targeting low-income individuals from the participant selection process to the training courses. 이 연구의 목적은 가구 소득분위에 따른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훈련이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득분위별 직업훈련의 효과를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 자료와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해서 추정했다. 고정효과모형은 선택편의를 제거해서 정책의 순효과를 추정할 수 있다. 소득분위별 응답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저소득가구 응답자들이 영세업체에 일하며 임시일용직에 고용되어 저임금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열악한 일자리에 일하는 비중도 증가했다.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해서 직업훈련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에서도 고소득 가구에서만 직업훈련이 효과가 있었고, 직업훈련은 소득불평등을 해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이 소득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 참가자 선발과정에서부터 교육훈련과정까지 저소득층을 위한 맞춤형 선발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 KCI등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김보배,홍석호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integrated care project from the service provider's point of view and effective practice for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of the disabled by examining the community integrated care experience of the disabled welfare center workers in Chungcheongbuk-do. To this end, 10 people working at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Chungbuk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iority: disabled people who were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and who became self-reliant in the community within 6 months, and second priority: those with disabilitie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in the local community.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care service that supported independent living of. As a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organize it in an intuitive w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10 semantic categories, 5 subcategories, 2 upper categories, stable and continuous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for the disabled, need for policy support for stabilizing community-centered projects, the start of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disabled in the subcategories, various forms of The need for business and continuity, publicizing and solving the business together, the need for stable housing and programs, and the need for service development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care for the disabled in the Chungbuk region, and suggest what practical implications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care program have.

      • 스마트 김치원료종합처리장 시스템 설계

        김보배,박진우,정원일,박종일,김혜림,김덕영,정영배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최근 신선 식품 제조 시스템의 종합적인 생산 및 품질관리를 위해 공정, 설비, 작업자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김치 제조 산업의 주원료인 신선배추는 원료의 공급이 불안정하며 출하기가 짧고 절임 후 장기간 저장이 어렵다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치 품질을 좌우하는 절임배추의 품질관리를 위한 온도, 염도, pH,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ORP), 유량센서와 생산관리를 위한 적외선 감지, 중량 센서를 선정한다. 공장의 높은 습도, 염도와 같은 열악한 환경을 고려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식품공정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이 적용 가능한 생산 및 품질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균일한 품질의 김치원료를 생산 할 수 있다.

      • S-564 :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사용 중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B군 살모넬라균에 의한 무릎의 화농성 관절염 1예

        김보배,김윤성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배경: 최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는 항류마티스약물에 반응이 없는 경우 생물학적제제 특히종양괴사인자억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기회 감염과 같은 부작용의 보고도 증가하고 있으며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사용 중 살모넬라 균혈증과 화농성관절염이 발생한 보고가 국외에서 몇 차례 있었다. 증례: 좌측 무릎의 부종과 열감을 동반한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남자 환자로 1년 전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받고 항류마티스 약물 등을 투여하였으나 호전 되지 않아 3개월 전 종양괴사인자억제제인 Etanercept 투여 시작하였고 이후 류마티스 관절염은 호전되었다. 그러나 2일 전부터 좌측 무릎관절에 부종, 열감 및 통증이 발생하였고 1일 전부터 통증이 악화되어 내원하였다. 진찰소견: BT: 39.2℃, 좌측 무릎의 부종, 열감, 발적 및 압통 소견 검사실 소견: CBC: 29,950/mm3/11.5 g/dL/502,000/mm3 (neutrophil: 90.8%), ESR/CRP: 113 mm//hr/25 mg/dL, Procalcitonin: 1.28 ng/mL, Left joint arthrocentesis: 30cc, turbid, WBC: 134,400/mm3 (neutrophil: 90%) (Fig. 1A), Gram stain:gram-negative, rodshaped bacteria (Fig. 1B), Culture: Group B Salmonella 방사선학적 소견: 관절초음파상 왼쪽 무릎관절에 윤활막 비대와 윤활액의 증가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A). Technecium-99m을 이용한 뼈스캔(Fig. 2B)과 백혈구 스캔상 좌측 무릎 관절에 급성염증 소견을 보였다(Fig. 2C). 요약: 국내에서 B군과 D군 살모넬라균에 의한 화농성 관절염이 3차례 보고 된 바 있으나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사용 후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저자들은 난치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Etanercept 사용 후 균혈증과 함께 좌측 무릎의 화농성 관절염이 발생한 환자에서 관절경하 세척술과 변연 절제술 시행 후 4주간의 항생제 투여에 의해 성공적인 치료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지방축적 억제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작용

        김보배,현창기 한국생약학회 2015 생약학회지 Vol.46 No.1

        Although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Acanthopanax senticosus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diabetes and hyperlipidemia,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have remained to be elucidated.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reatment of an extract of A. senticosus (ASE) reduced body weight and adiposity and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HFD-induced weight gain in white adipose tissues and liver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ASE-treated HFD-fed mice, which was found to be contributed by suppression of mRNA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fatty-acid uptake and fat synthesis in white adipose tissue. ASE treatment also attenuated M1 macrophage activation, increased regulatory T (Treg) cell population, and modulated leptin/adiponectin profile that might alleviate chronic inflammation to protect against HFD-induced insulin resistance. Our findings suggest a therapeutic potential of AS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without adverse effects such as weight gain and dyslipidemia.

      • KCI등재후보

        Caspofungin 약물 사용 평가

        김보배,김수진,김향숙,이혜숙 한국병원약사회 2012 病院藥師會誌 Vol.29 No.3

        Caspofungin is an echinocandin antifungal agent active against Aspergillus, Candid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use of caspofungin according to the criteria modified from IDSA (Infectious Disease Society of America) and Korea health insurance guidelin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67 people, 69 cases of inpatients who received caspofungi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10. The use of caspofungin was highly appropriate (93.5%). The initial and maintenance dosage of caspofungin was appropriate in 79.7% of the cases. Duration of therapy was appropriate in 76.8% of patients. Caspofungin has known interactions with HIV medications (efavirenz. nevirapine), phenytoin, dexamethasone, rifampin, carbamazepine, calcineurin inhibitors (cyclosporine,tacrolimus). Drugs coadministered with caspofungin consisted of G-CSF (31 cases), granulocyte infusion (7 cases) phenytoin (1 case), Dexamethasone (1 case), Tacrolimus (5 cases), and Cyclosporine (5 cases). Caspofungin was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88-100% of cases. Complications occurred in 45 cases, including increasing serum potassium levels (16 cases), hepatotoxicity (13 cases), fever (10 cases) and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At the end of the caspofungin therapy, there were successful outcomes in 56.82% of the patients. The death rate at 7 days after treatment was 20.6%.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김보배,이은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8월 3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28.0과 PROCESS Macro(ver. 3.5)를 통해 분석하였다.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odel 6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거부민감성, 정서조절곤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정신화는 애착회피와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거부민감성은 애착회피와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순차적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는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정서조절곤란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애착불안은 정신화에 부적 영향을미쳤으나 정신화는 거부민감성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조절곤란까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불안정애착 대학생 상담장면에서정신화 수준과 거부민감성을 고려한 상담의 개입시에 적절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확인된다.

      • KCI등재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중요성 분석

        김보배,이재은,전해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job competency that is effectively used in the 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required basic job skills as pe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 job competency can be improv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8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ized beauty high school in Seoul from March 22 to April 20, 2021.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is study also used the importance– practicability analysis (IPA) matrix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y. Result: The IPA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needs improvement. Moreover, as sub-areas, human resource capability, conflict management, negotia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ability were identified, further confirming the urgent need for improvement. In addition, intense investment in this area is required.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the better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the help of others. Moreover, students’ ability to prepare for job search is greater, an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s positive. Conclusion: Previous studies posited that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bility and confirmed that using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improves the self-efficacy. The use of flipped learning in beauty as a subject, where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are mixed, and self-efficacy is used as a medium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 to adapt to the industry. 목적: 본 연구의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분석을통하여 미용 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직무역량을 강화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21년 3월 22일부터 4월 20 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사분면 매트릭스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조직 이해 능력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으로 인적 자원 능력, 갈등관리, 협상, 기술 적용 능력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영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지할수록 주위 사람들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받고, 구직 준비능력이 향상되며 조직 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조직 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법을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론과 실기 수업이 혼용된 미용 교과목에 flipped learning을 활용하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조직 이해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산업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