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북유럽국가의 청소년 시민의식 국제 비교

        김보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ivil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in Korea and Nordic countries with the aim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ivil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in order to expand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 making process of adolescents. Norway, Sweden, and Finland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because the scores of youth civic knowledge in these Nordic countries are highly measured and the environment for citizenship education is well establish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civil consciousness of Korean, Norwegian, Swedish and Finnish youths and identifi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dolescent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Norway, Sweden, and Finl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ICCS) data which showed that Korean youths had a high level of citizen knowledge and similar level to those of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rn Europe. However, the average score of civic knowledge in 2016 was lower than in 2009. In terms of political self-efficacy, the three Nordic countries were measured lower than in Korea, showing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at Korean adolescents had lower political self-efficacy. Korea has limited political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three Nordic countries, and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environment of youth citizenship education in curriculum formation, teacher training,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교 의사결정과정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한국과 북유럽 국가의 청소년의 시민의식을 비교·분석하고 청소년의 시민의식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것은 선행연구 검토 결과 이들 북유럽 국가의 청소년 시민지식 점수가 높이 측정되고 있으며, 시민교육을 위한 환경도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연구 문제는 한국과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청소년의 시민의식 현황은 어떠한가와 한국과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청소년 시민교육 환경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이다.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 결과 한국 청소년의 시민지식은 높은 편이며 북유럽 3국과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2009년에 비해 2016년 시민지식 평균점수가 하락하는 문제를 보였다. 정치적 자기 효능감에 있어서는 북유럽 3국이 한국보다 낮게 측정되어 한국 청소년의 정치적 자기 효능감이 낮다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한국은 북유럽 국가에 비해 청소년의 정치 참여가 제한되어 있으며, 교육과정 편성과 교사 교육, 민주적 학교 문화 등에서 청소년 시민교육의 환경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 KCI등재

        청년의 삶의 만족에 대한 기본소득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남시 청년배당을 중심으로-

        김보름,민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2

        본 연구는 성남시 청년배당이 청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5∼2018년도에 수집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성남시의 청년을 처치집단으로 설정하고 비교집단으로는 정책수혜를 제외한 인구사회학적 조건이 유사한 용인시⋅화성시⋅고양시⋅부천시의 청년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이중차이(DID)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성남시 청년배당을 수급한 이후 나타난 순수한 정책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를살펴보면, 청년배당과 청년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 정적 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년기본소득의 지급 기간 확대, 지급수준 향상, 그리고 사용 범위 확장이라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후속연구에서는 본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youth dividend in Seongnam city on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rom 2015 to 2018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Young people in Seongnam city were set as the treatment group, and young people in Yongin City, Hwaseong City, Goyang City, and Bucheon City who had similar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onditions excluding policy benefit were selected as the comparison group. Difference-in-differences(DID)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pure policy effect that appeared after receiving the youth dividend in Seongnam c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dividend and youth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such as expanding the payment period of youth basic income in the future, improving the level of payment, and expanding the scope of use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랄정중화합벽자전(辣丁中華合璧字典)》 연구―용어로 본 교류문헌으로서의 의의

        김보름,곽문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9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the academic value of Lexicon Magnum Latino-syncium (1841) by Joaquim Affonso Gononalves (1781-1841), which had been away from academic interest, as an East-West exchange document.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through review of lexicon in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in Chinese and other Latin-East Asian Language dictionaries. Lexicon Magnum Latino-syncium, which containing in total 36,351 lemmata and its examples with Chinese translation, first, accumulated terms from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in Chinese created after the 17th century, and second, influenced the first Latin-Korean dictionary,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 adum study juvantus Coreanae.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is dictionary has important academic value as an essential reference for the study and translation of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in Chinese and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in Korean. 이 논문은 학계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던 곤살베스(Joaquim Affonso Gonçalves, 1781~1841, 중국명: 江沙維)의 《랄정중화합벽자전》(辣丁中華合璧字典, Lexicon magnum Latino-sinicum, 1841)이 가지는 동서교류문헌으로서의 가치를 탐색한 시론이다. 한문 서학서 및 다른 라틴어-동양언어 사전들과 용어 대조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표제어 36,351개의 의미와 용례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병렬한 이 사전에는 첫째, 17세기 이후 만들어진 한문 서학서의 용어들이 집적되었고, 둘째, 최초의 라틴어-한국어 사전인 《라한소사전》(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 ad usum studiose juventutis Coreanae, 1891)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이 사전은 동서교류의 한 축을 이루는 한문 서학서 및 한글 서학서 연구에 필수 참고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님을 밝혔다.

      • KCI등재

        정약용의 ‘영명지체(靈明之體)’, 그 연원과 함의

        김보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4 공존의 인간학 Vol.- No.11

        This paper explores the origin and implications of the term ‘Yeongmyeongjiche’ 靈明之體 used by Jeong Yak-yong through a literary investigation. ‘Yeongmyeongjiche’ has been a central concept in Jeong’s philosophy, scrutinized in relation to Western Learning, with prior studies highlighting its connections to works such as Lingyanlishao 靈言蠡勺 Xingxuechushu 性學蠡述, and Linghundaotishuo 靈魂道體說.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clear mention of ‘Yeongmyeongjiche’ in Jeong’s record as observed in Zhendaozizheng(眞道自證), examines this source as its origin. Furthermore, it delves into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erm’s emergence in the history of Jesuit missions within the framework of Western Learning. The discovery of the term ‘霊明ノ体 (Jap. Reimei no-tai)’ in Pedro Gomez’s 1595 Compendium Catholicae Veritatis and it Japanese translastion (『講義要綱』) became the initial report to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Additionally, it sheds light on debates concerning the existence of spiritual substance within the conceptual realms of Japanese and Chinese scholars, intersecting with the emergence of comprehensive treatises on human soul like Lingyanlishao, Xingxuechushu, and Linghundaotishuo in China. Finally, it urges a new perspective by recognizing the term ‘Yeongmyeongjiche’ not in a comprehensive treatise on human soul but in the less systematic Zhendaozizheng as captured by Jeong, encouraging an approach to Jeong’s philosophical anthropology from this fresh viewpoint.

      • KCI등재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 및 관람만족도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름,천혜정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who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attend, what their motivations ar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thei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re-spectating intention. The data came form 271 spectators who watch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spectators are mostly women(70.1%), more than college-graduated(82.3%). Their average age was 42.1 years old,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is 4,590,000 won. (b) Half of them had experienc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except formal curriculum. The average times attending the performance were 1 to 4 times(n=101), and 4 to 12 times(n=47) per year. (c) their motivation to watc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art for arts sake, relaxation, education, social interaction, and the motivations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were different. (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various performing aspects was above the average, especially the satisfaction of artistic performance and human services were the highest. However, it is found that satisfaction level was different from spectators’ educational level. (e) the spectators’ artistic motives and level of satisfaction on artistic performance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their re-spectating intention. With recent increase of interest and consumption on cultural performing arts, there is no much atten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ed implications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공연예술 관람객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한 국악공연 관람객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람동기 및 관람만족도가 재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국립국악원에 국악공연을 관람하러 온 관객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국립국악원 회원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실시하여 총 27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공연 관람객은 여성이 다수(70.1%)였으며, 대다수가 대졸 이상(82.3%)이었다. 평균연령은 41.2세, 월평균가계소득은 459.2만원이었다. 국악공연 관람객의 공연관람 특성은 과거 국악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사람(50.6%)과 있는 사람(49.1%)이 비슷하였다. 국악공연 평균 관람횟수는 연 1회 이상~ 연 4회 미만이 101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국악공연 관람 한 달 평균 지출 비용은 1만원 미만이 141명(5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를 살펴본 결과, 예술적 동기, 휴식추구 동기, 교육적 동기, 사회친화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람동기는 공연관람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공연관람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만족도는 인적 서비스와 작품 수준 측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국악공연 관람특성에 따라서는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국악공연 관람객 관련 제 변수들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예술적 동기, 그리고 작품수준에 대한 만족도만이 재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악공연이 보다 대중적인 여가활동으로 자리 잡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략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NFT 미술시장의 주요 쟁점과 전망

        김보름,용호성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In April 2021, the NFT art market expanded in earnest as Bipple's NFT art work was sold for $69.3 million at a Christie's auction. NFTs can be defined as unique assets on the blockchain that are non-fungible with others of equal value. The NFT art marke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ast art market in the areas of production, mediation, and consumption. In the production area, works of art can be divided into conversion type, addition type, and creative type, and a minting process to NFT is required to enter the marketplace. In the mediation area, the digital marketplace connects creators and buyers, and in the consumption area, buyers can purchase NFTs, but there is a limit to focusing on ownership and investment,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appreciation area. The NFT art market needs to resolve issues related to copyright, resale royalty right, curation, connectivity and compatibility, and appreciation. It is not yet known whether NFT will be just a fad, but it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ing a new way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in art history, just like the invention of oil painting, canvas, tube paint, and video.

      • KCI등재

        NFT 미술시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김보름,용호성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최근 대중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NFT 미술시장에 대한 언론기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과 담론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NFT 미술시장에서 어떤 요소가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어떤 맥락에서 사회적 관심과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NFT 미술시장을 창작-유통매개-수요라는 시장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NFT 미술’, ‘NFT 아트’, ‘NFT 작품’, ‘NFT 미술품’, ‘NFT 작가’, ‘NFT 아티스트’, ‘NFT 컬렉션’, ‘NFT 수집’의 8개의 키워드를 제시하여 총 6,148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통한 핵심어 도출, N-gram을 통한 의미 연결망 분석, Concor를 통한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디지털’, ‘발행’, ‘플랫폼’, ‘블록체인’, ‘콘텐츠’ 등 디지털 기술 관련 단어들이 높은 빈도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가-작품, 예술-작품, 미술-작품 등 전통적인 미술시장과 유사한 연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아울러 디지털-아트, 지속가능-대체불가토큰, 가상-자산 등 NFT 미술작품에서만 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연관관계가 나타났다. 더불어 ‘창작과 작품, ‘유통과 매개’, ‘사업과 시장’, ‘수요와 소비’라는 네 그룹의 군집화를 통해 NFT 미술시장은 자산과 투자 기반의 창작, 유통매개, 수요와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감상의 영역은 배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디지털 및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과 결합한 NFT 미술시장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NFT 미술시장이 가지고 있는 감상과 체험 영역의 취약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NFT 미술시장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점들을 살펴보고 NFT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NFT 미술시장의 발전방향 및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그 동안 저작권 이슈나 기술적 측면에 집중해 온NFT 연구의 범주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

        아마추어 예술가와 일상생활의 심미화

        김보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0 한국예술연구 Vol.- No.28

        예술시장에서 아마추어 예술가의 활동이 확대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혹은 창작자와 향유자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는 더 이상 아마추어 예술가의 역할과 활동의 변화를 설명하기 어려워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시장의 변화 흐름에 착안하여 페더스톤(Featherstone)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이론을 중심으로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하기’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예술시장에서 시사하는 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아마추어 예술가가 ‘예술하기’를 시작하는 계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유년기나 청소년기의 예술경험이 계기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성인기에 이르러 건강증진이나 원만한 대인관계의 필요성 등 실용적인 동기로 시작한 경우도 있었다. 어떠한 계기로 시작하였건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하기’를 통해 삶과 예술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예술적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점차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며 아마추어 예술가의 삶의 변화 가운데 페더스톤(Featherstone)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e arts industry, the identity of arts producers and consumers increasingly overlap and their roles are becoming harder to differentiate. Arts consumers are no longer the passive consumers of arts products that they once were. Instead consumers of the ar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reative process or even become producers themselves. This paper views the process of the amateur artist's artistic practice through the lens of Featherstone's theory of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amateur artist's experiences, the value of those experiences, and the consequences for the arts industry. It is common for an amateur artist to create his or her identity as an artist by experiencing various artistic achievements. Amateur artists develop themselves as their awareness and life experiences also change and evolve. Art is central to their lives and influences all aspects of their lives. The change of an amateur artist's life through their artistic practice can be explained by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as described by Featherstone.

      • KCI등재

        뮤지엄에서의 NFT 활용 현황과 전망

        김보름,용호성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2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에서 출발한 NFT는 디지털 작품 판매를 비롯하여 뮤지엄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의 뮤지엄들은 컬렉션, 아카이빙, 전시, 재원조성 등 여러 분야에서 외부 업체와 협력하여 NFT 기반 프로젝트를 시도해왔다. 이러한 시도는 NFT가 새로운 기술로서 미술시장과 미술사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뮤지엄이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NFT와 관련된 새로운 시도를 하는 사례들을 조사하고, 소장품의 NFT 전환을 통한 재원조성, NFT 작품의 컬렉션, NFT 온라인 뮤지엄 조성,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NFT 디지털 작품 전시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뮤지엄에서는 또한 NFT와 관련된 여러 담론을 논의해왔다. NFT 관련 이슈로는 진본성 및 저작권 등 법적 이슈, 뮤지엄 미션과의 충돌, 접근성의 한계와 전문인력의 부재, 탄소 배출과 환경 이슈 등이 있다. 이러한 사례와 이슈를 바탕으로 뮤지엄이 향후 NFT를 활용해갈 방향에 대해 전망하였다.

      • KCI우수등재

        팬덤 4.0시대 디지털 크리에이터로서의 소비경험과 의미

        김보름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Fandom started from the fandom 1.0 stage of following idols as passive consumers, and has transformed into the active consumer stage of fandom 3.0, growing together with idols. In Fandom 1.0, a relationship with a star is form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unconditional follower, whereas in Fandom 2.0, the role is not as a simple follower but as a supporter for the idol. Fandom 3.0 goes further and carries out practical activitie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idol planning stage. In this study, Fandom 4.0 was defined as a new stage in which fandoms themselves produce and distribute content without idols and build their own ecosyst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major fans who make up Fandom 4.0, this study sought to gain a divers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a reality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alone. Fans in the period of Fandom 4.0 focus on their own activity process and experience of enjoying idol culture, and actively build a fandom ecosystem as content producers. Through this, a new pattern of cultural consumption is emerging that is no longer dependent on stardom but becomes a goal in itself. This phenomenon of Fandom 4.0 was analyzed using Deleuze and Guattari's rhizome theo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Fandom 4.0 include horizontal and loose solidarity, 'Deok-jil' terminology that has become everyday language, the formation of a fandom culture in which fans themselves become the main characters, and new fandom activities as content producers. These characteristics of Fandom 4.0 are expected to be a driving force in fundamentally changing the ecosystem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the future and creating a new paradigm. 팬덤(fandom)은 수동적 소비자로서 아이돌을 추종하는 팬덤 1.0 단계에서 시 작하여 아이돌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팬덤 3.0의 능동적 소비자의 단계로 변모해 왔다. 팬덤 1.0은 무조건적인 추종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스타와의 관계가 형성되 는 데 반해, 팬덤 2.0에서는 단순 추종자가 아닌 아이돌에 대해 지원자의 역할을 해내게 된다. 팬덤 3.0은 더 나아가 아이돌 기획단계에 직접 참여하는 실천적 활 동을 해나간다. 본 연구에서는 그다음으로 팬덤 스스로가 아이돌 없이도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여 유통까지 해나가며 나름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새로운 단계에 대해 팬덤 4.0으로 규정하였다. 팬덤 4.0의 시기에는 아이돌 문화를 향유하는 스 스로의 활동 과정과 경험 자체에 집중하면서 콘텐츠 생산자로서 적극적으로 팬 덤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식의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이를 통해 더 이상 스타덤 에 종속되지 않고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새로운 문화 소비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팬덤 4.0 현상에 대해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 이론을 활용하 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팬덤 4.0의 특징적인 양상은 수평적이고 느슨한 연대, 일 상어가 된 덕질 용어, 아이돌 없는 팬덤 문화의 형성,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새로 운 팬덤 활동 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팬덤 4.0의 이러한 특성은 향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는 동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