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침입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1

        인공지능, 기계학습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들을 침입탐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가 공격패턴의 분류를 위한 분류기(classifier)의 학습 알고리즘 성능 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 알고리즘은 대부분 일괄처리(batch) 방식으로 동작하여 실시간 침입탐지 시스템의 적용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침입탐지 시스템을 위한 점증적 특징 추출 기법과 분류가 가능한 실시간 침입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KDD CUP 99 자료에 적용한 결과 실시간 기법임에도 불구하고 일괄처리 방식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ata mining techniques to intrusion detection system are increasing. But most of researches are focused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lassifier. These classifiers are performed by batch way and it is not proper method for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We propose an incremental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for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Applying proposed system to KDD CUP 99 data,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it has similar capability compared to batch way intrusion detection system.

      • KCI등재후보

        뉴질랜드의 교육개혁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2

        이 논문은 최근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부문의 개혁과 구조조정을 강도높게 추진하여 온 뉴질랜드의 교육개혁을 분석하고, 우리 나라 교육개혁에의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분석은 관련문헌 및 자료의 분석과, 뉴질랜드 교육부 및 교육평가원 등 관련 담당자와의 면담결과에 의존하였다. 1980년대 이후 뉴질랜드의 교육개혁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자율성의 확대와 책무성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하위부서와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 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평가와 성과관리 등을 통하여 책무성을 강화해온 것이다. 여기서는 뉴질랜드의 교육개혁 사례 분석에 터하여 교육부 조직구조에 관한 사항, 중간단위의 행정조직의 문제, 학교평가 전담기구의 설치 문제, 교육 불평등 해소 문제, 성과주의 예산제도 및 성과관리 문제 등의 다섯 가지에 관한 시사점을 찾아 보았다. 특히 성과관리제도가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서 구체적으로 아홉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rection of New Zealand's educational reform and its implications to Korea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lot of documents, materials and research data about educational reform of New Zealand were analyzed and studied. And to draw and analyze the hidden side of New Zealand's educational reform profoundly, in-depth interview research method was adopted. Interviewees were former and present officers of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Review Office, Wellington College of Education, and State Services Commission of New Zealand. The reform of the school system in New Zealand was launched in 1987. Thereafter, educational reform was focused on increase of autonomy and emphasis on accountability of schools. While the Government tried to give more autonomy to schools, it emphasized more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of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oncern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ermediate author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evaluation authority, resolving inequality in educ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ere introduced. Especially i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dditional nine sugges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만 5세 무상교육을 위한 비용 추계

        김병주(Byoung-Joo Kim)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만 5세 무상교육의 추가 소요재정을 추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몇가지 전제를 설정하고, 그 전제에 근거하여 실질적인 만 5세 무상교육을 전면 실시하는 방안과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소요교육비를 추계하였다. 그 결과 2012년부터 만5세아 무상교육을 전면 실시할 경우 무상교육비용은 5년간 8조 9,684억원의 추가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는 월 2012년에는 유아당 월 20만원을 지원하여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증액하는 정부안에 비하여 약 2조 8천억원이 추가 소요되는 것이다. 반면 만 5세아 무상교육을 2012년부터 5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경우에는 5년간 총 4조 8,040억원의 추가소요가 발생하여, 정부안보아 1조 4천억원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미 2012년부터 만 5세 무상교육을 전면 실시하되, 지원단가는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지원하는 규모와 재원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적지 않다. 추가소요의 명확한 추정을 통한 지원재원의 명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ost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enforcing method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 old children was divided into launch at one try and enforcement by stages. The cost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was estimated by the two methods. The cost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at one try was estimated as 8,968.4 billion won for five years. It is required 2,800 billion won more than Government’s plan. On the other hand, the cost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by stages was estimated as 4,804 billion won for five years. It is required 1,400 billion won less than Government’s plan.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enforce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at one try and raise unit cost per child by stage. However, controversies about fiscal scale and revenue sources are not decreased. It is necessary to clear up revenue sources based on the definite estimation of free education for five year-old children.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고등교육재정 확보방안

        김병주(Kim Byoung-Joo),나민주(Rah Min-Joo),이영(Lee Y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6 No.1

        이 논문은 고등교육의 재정구조 및 지자체의 지원 현황 분석,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외국 지자체의 대학재정 지원 사례 및 시사점 분석, 지자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정지원에 관한 인식과 실태조사 및 면접 등을 토대로 향후 지자체를 통한 한국고등교육 재정투자 확대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자체 고등교육 재정 확보방안으로는 ① 지역대학의 가치를 존중하는 공감대 형성 및 확산, ② 교육활동을 통한 협력 및 지원(지역대학 졸업생의 활용도 및 신입생에 대한 유인가 제고, 지역 대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사랑과 자긍심 고취를 위한 학생활동 지원, 대학 시설·설비 건립 및 운영 지원, 공무원 및 기업체 임직원 학습기회 제공, 지역산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 ③ 연구활동을 통한 협력 및 지원(지역산업 연계사업 및 연구지원사업의 활성화, 지역특화 산업클러스터 육성, 정부의 대학재정 지원사업에 대한 지자체 및 기업의 참여 유인책 강화), ④ 주민 삶의 질과 복지 향상을 위한 협력 및 지원(대학과 지자체간 협약을 통한 감면 혜택 부여, 지역 평생학습체제의 종합화), ⑤ 지자체의 고등교육 투자 확대 유도(종합부동산 세수의 고등교육 지원 활용, 지역인재장학금의 대폭 확대와 매칭 요건 부여, 지자체의 AP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thods for increasing higher education finance from local governm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lot of documents, materials and research data concerning higher education finance were analyzed and studied. And to draw and analyze the methods for increasing higher education finance from local governments profoundl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The subjects for survey and interviewees were staffs of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eigh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bout methods for increasing higher education finance from local government were proposed: First, changing the role and position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Second, strengthening the rol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a central base for regional development; Third, inducing investment of local governments to higher education; Fourth, methods of supporting and cooperation through education activities; Fifth, methods of supporting and cooperation through research activities; Sixth, methods of supporting and cooperation through services for welfare of residents; Seventh, supporting finance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using consolidated property tax; Eighth, creating conditions of matching funds for "scholarship for regional talented persons".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교사양성기관평가 비교 연구

        김병주(Kim Byoung-Jo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2

        이 논문은 한국과 미국의 교사양성기관 평가를 개괄한 후 몇 가지 준거에 따라 양국의 교사양성기관 평가제도를 비교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한국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대해서는 평가의 배경과 연혁, 평가의 영역과 편람, 평가의 절차, 평가단의 구성과 기능, 서면평가 및 현장방문평가, 평가결과의 활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미국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에 대해서는 평가의 배경과 개요, 평가인정의 신청, 평가준거, 자체평가보고서의 준비, 현지방문 평가팀의 구성과 운영, 현지방문 평가, 연차보고서, 평가인정 결과 발표, 비용과 예산, 계속평가인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양국의 비교는 평가의 기분철학과 배경, 평가주관기관, 평가대상기관, 평가의 내용과 평가기준, 자체평가보고서의 작성, 현지방문 평가단, 평가의 절차, 평가결과의 공표 및 활용이라는 여덟가지 준거에 따라 이루어졌다. 이상의 분석과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교사양성기관 평가인정의 의미와 본질을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자치단체도 평가에 일정 부분 참여토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장기간의 연구를 거쳐 공통적인 평가준거의 큰 틀을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각 대학의 자체평가보고서 작성기한을 상당히 늘려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현지방문 평가위원은 각 분야의 전문가 및 자료분석법, 평가기법의 활용기술을 제대로 갖춘 인사들을 중심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현지방문평가의 일정을 다소 늘릴 필요가 있다. 일곱째, 교사양성기관 평가 결과는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etween Korea and US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view o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Korea and USA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etween Korea and USA profoundly, in-depth interview research method was adopted. Interviewees were professors and staffs that experienced evaluating process for accreditation in Korea and USA. In order to compar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etween Korea and USA systematically, eight criteria of comparing were used. They were (1) basic philosophy, principle, and background of accreditation system, (2) chief governing body of accreditation system, (3) institutions that should be evaluated under the system, (4) contents, standards and criteria of evaluation, (5) self-evaluating reports of institutions, (6) board of examiners team for on-site review and visits. (7) overall process of evaluating for accreditation, and (8) public notice and use of accreditation deci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son based on the above criteria, seve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meaning and philosophy of accreditation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reconsidered. Second, method for participating of local governments in accreditation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Third, conceptual framework and common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of all kind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made. Fourth, time line for submission of self evaluating reports should be extended. Fifth, Board of Examiners for on-site visits should be consist of professionals on teacher education,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technique. Sixth, in order to spend a substantial amount of its time for Board of Examiners during the visit examining and assessing the quality of the institutions, schedule of on-site visits should be extended. Seventh, results of accreditation decisions should be used actively.

      • KCI등재후보

        전문예술교육가(TA) 양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문화재단의 미적체험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확산과 함께 제기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미적체험교육’이라는 개념을 강조하며 초중등생은 물론 전문매개자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독자적인 예술교육 사업 및 연수프로그램 등을 실행해온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TA(Teaching Artist)로 통용되는 전문예술교육가의 양성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교육과 창의성의 접목 및 서울문화재단의 통합예술교육 개념으로 제시된 ‘미적체험교육’의 의미와 연극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전문예술교육가(TA)의 정의 및 덕목, 그리고 국내외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 사례 등을 분석하여 기존의 예술가와 구분되는 전문적인 예술교육가의 정의와 특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향후 서울문화재단과 같은 공적지원기관 주도의 전문예술교육가 양성과정의 개요 및 기본적 운영방향에 대한 제언을 통해 우리 교육현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가능성으로 기대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tems from the need for a carefully design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arts educators amidst rapidly growing interes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Korea. Among the governmental agencies, in particular, the arts education system of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becomes a prominent case for this study for its wide-range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arts educators and general public as well a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Foundation’s vision of arts education is represented through its unique motto of ‘aesthetic education’, strongly influenced and benchmarked by the practice and philosophy of Lincoln Center Institute in New York City. This study examines the preliminary inquiry as a basis for the Foundation’s Teaching Artists (TA)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areas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the meaning of aesthetic education, and for drama-based arts education. The reviews of modu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arts educators in the U. S. and U. K. follows with a perspective of drawing a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cases. The study then seeks for the working definition of Teaching Artist and proposes some key virtues that the work of TA requires. They are: student/participant-centered approach; emphasis on artistic accessibility over artistic excellence; consciousness, or “wide-awakeness”; and openness and flexibi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of designing guidelines for well-balanced, systemic, and sustainable TA development program for public institution such as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 대학의 역할 고찰 -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주 ( Kim Byoung J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장과 확산 과정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논의에서 배제되거나 무관심해왔던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개인이나 단체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던 문화예술교육에서 정책과 실행 사이의 매개자이자 우수 컨텐츠의 개발자로서 대학의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반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확산 과정에서 대학이 상대적으로 주체가 되지 못했던 맥락과 원인에 대해 검토하고, 그 대안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을 분석하였다. 주말예술캠퍼스는 2017년부터 운영되는 사업으로 매년 11개의 예술관련 학과 및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이 지닌 전문성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3년간의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의 목표 및 내용의 검토를 통하여 해당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성장 과정에서 ‘방청객’이나 ‘해설자’의 역할처럼 거리를 두어왔던 대학을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 끌어내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향후 대학이 보다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과 기능을 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이러한 대학들의 역할을 고려할 때, 예술관련 학과 및 예술대학들의 교육과정은 기존의 전문가 양성과정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선될 필요가 높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그동안 주로 추진해온 ‘사업 중심’ 정책 접근의 전환과 방식의 다각화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컨텐츠의 지속성 제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나 사범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대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융합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논의에서 벗어나있던 대학의 역할과 가능성을 재인식하고, 예술대학들의 사회적 역할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nd reflect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during the course of growth and prolifer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To this end, the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contexts why universities failed to play more central role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s the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as a case study for the argument. Weekend Arts Campus Project, operated by Korea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ervices, began in 2017 to support 11 arts universities each year.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evelop and implement high-quality arts education programs by using university’s artistic expertise and human/material resources. The study examines and discusses the attainments and challenges of the projec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has contributed to put the universities back on the center stag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otherwise have been limited to roles as ‘audience’ or ‘commentator’ off the stage. This may become an opportunity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niversiti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considering the universities’ roles, the curriculum of arts universities need to be modified and revised in the light of current social needs and paradigm shift. Third, the conventional ‘project-based’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needs to find other ways to diversify and to ensure sustainability. And finall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ll be benefited from including diverse partners such as universities of education, as those universities would be more useful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rts integrated programs in and beyond the school.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may inspire further discussions and actions from the arts universities whose recognition of their social roles and obliga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changing paradigms, can be a crucial point in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치원재무회계규칙 제정의 쟁점과 방향

        김병주(Kim, byoung-joo),김성기(Kim, sung-ki),오범호(Oh, beom-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1

        유치원 운영 재원의 다양성과 지원 방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유치원 특성에 맞는 재무회계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유치원재무회계규칙 관련 쟁점을 검토하고, 동 규칙의 제정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운영의 현황과 문제를 살펴보고, 유치원의 공공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유치원재무회계규칙의 제정에 관한 주요 쟁점으로 설립주체에 따 른 회계규칙의 별도 제정, 차입금 및 적립금 조항 포함, 유치원운영위원회의 설치 및 예산안 심의・자문기능 부여, 잉여금 처리, 회계 방법, 계약 조항의 상세화, 감사의 필요성 및 주기, 예・결산 공개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치원재무회계규칙 제정안을, 설립별로 구분하지 않고 단일법으로 제정하는 방안과 설립별로 분리입법을 하는 방안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아울러 현행 규칙을 일부 개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ssues and direction in establishing the act of finance and account for kindergarten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kindergarten were examined, and issues in public duty of kindergarten were discussed. Establishing individual account act separated by founders, articles for loan and reserve fund, establishing kindergarten operating committee and giving the right to deliberate budget to it, disposing of the residue, methods of the account, specifying the articles for contracts, necessity and cycle of audit, and opening budget and settled accounts to the public were included in issues in establishing the act of finance and account for Kindergarten in Korea. Three ways for establishing the act of finance and account for kindergarten in Korea were suggested: establishing one act not separated by founders, establishing individual act separated by founders, and amending current account act for private educational foun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