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김민선,박희진,김재훈,백경민,송영호,연규진,폴김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2 다문화와 평화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이 삶의 만족과 직무만족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를 살펴보고, 각 잠재계층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출생국가, 성별, 지역, 나이, 학력, 개인소득, 가계소득, 사회경제적 지위), 관계 및 문화적 특성(부모와의 관계, 가족건강성, 다문화수용성)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총 251명의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총 4개의 잠재계층(집단 1 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 집단 2 낮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 집단 3 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 4 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간에 정서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4(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서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정서적 어려움이 낮았으며, 다음으로 집단 1(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 2(낮은 삶의 만족)와 집단 3(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의 경우 정서적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숙취 발생과 정신 심리상태와의 연관성

        김민선,박관우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4

        연구배경: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음 주율은 숙취의 경험을 증가시킨다. 높은 음주율은 음주 후 경험하 게 되는 숙취의 발생 증가를 초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학생의 숙취 발생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가 없으며, 숙취의 경험에 따 른 정신 심리문제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상태에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숙취 유무와 관련된 일반적인 특 성과 숙취 경험에 따른 정신 심리적인 문제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강릉에 소재한 4개의 대학교 학생 1,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통해 성별, 나이, 학년, 종교, 숙취 경험, 음주행태, 우울, 불안, 스트레스, 수면문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라 숙취 경험 유 무로 나누어 숙취 경험에 따라 남녀 대학생들의 우울, 불안, 스트레 스, 수면문제와의 연관성을 SPSS ver. 24.0 통계 프로그램(IBM Co.) 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은 18.5%, 여학생은 24.0%가 숙취를 경험하였다. 숙취 를 경험한 남녀 대학생 모두 음주량, 음주 횟수, 폭음, 알코올 사용 장애와의 연관성이 높았다(P<0.05). 남학생인 경우 숙취를 경험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숙취를 경험한 그룹이 불면증(OR, 1.957), 우울 성 향(OR, 2.260), 불안 성향(OR, 1.826), 스트레스 위험도(OR, 1.931)가높았으며, 여학생인 경우는 불면증(OR, 2.839), 우울 성향(OR, 3.000), 불안 성향(OR, 1.728)이 숙취를 경험하는 그룹에서 높았다. 결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숙취 경험이 더 많았다. 숙취와 관련된 요인은 음주 횟수, 음주량, 폭음, 알코올 사용장애와 관련 있으며, 숙취를 경험한 남녀 대학생들은 불면증, 우울 성향, 불안 성향이 많 았으며, 스트레스 위험도는 남학생만 높게 나왔다. Background: The drinking rate among college students is increasing, which increases the incidence of hangover. However, research is lacking on college students’ hangover experiences and the associated psychological issues.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gover experienc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hangov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leep problems. Methods: A total of 1,188 students at 4 universities located in Gangneung were surveyed.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hangover experience and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leep problems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The 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odds ratio [OR], 1.9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7–3.523), depressive tendencies (OR, 2.260; 95% CI, 1.533–3.332), anxious tendencies (OR, 1.826; 95% CI, 1.220–2.733), and stress risk (OR, 1.931; 95% CI, 1.161–3.231). The fe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OR, 2.839; 95% CI, 1.409–5.722), depressive tendencies (OR, 3.000; 95% CI, 1.817–4.954), and anxious tendencies (OR, 1.728; 95% CI, 1.059–2.819). Conclusion: More female than male students in this study had experienced a hangove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hangover reported experiencing insomnia, depressive tendencies, and anxious tendencie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hangover and stress ris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male students only.

      • KCI등재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개발

        김민선,김문실,김정아,정은주,허은화,홍화정,신혜선,정여원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원유형에 따른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간호업무 표준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혈액투석 간호업무 예비표준안이 도출되었으며, 이후 간호학과 교수와 한국혈액투석간호사회 이사진의 검토를 거쳐 확정하였다. 2단계: 혈액투석실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간호사 3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이 시행되었고, 그 결과에 따라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3단계: 18개 의료기관 혈액투석실의 간호관리자 및 일반간호사 중 혈액투석실 근무 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 212명에 의해 혈액투석 간호업무 예비표준 수정안의 임상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이후 그 결과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4단계: 이전 단계를 통해 도출된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을 최종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4단계를 통해 외래환자의 경우 5개 표준, 9개 영역, 43개 간호행위를, 입원환자의 경우 6개 표준, 10개 영역, 50개 간호행위를, 중환자의 경우 4개 표준, 10개 영역, 43개 간호행위로 이루어진 내원유형별 혈액투석 간호업무 표준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내원유형별로 그 구성에 차이가 있었다. 또, 내원유형별로 제안된 간호업무 표준에 포함된 간호행위를 모두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서로 달라서 입원환자의 경우가 가장 길고, 그 다음은 중환자, 외래환자 간호업무 표준의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내원유형에 따라 혈액투석 간호업무의 수행시간이 다르다는 것과 따라서 적절한 혈액투석 간호사의 수 역시 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 간호인력 배치와 혈액투석 정적성 평가 등에서 혈액투석환자의 내원유형에 따른 간호사 업무량의 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nursing practice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Methods: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in four phases. Phase 1: The preliminary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 experts. Phase 2: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34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standards were modified and revised. Phase 3: Clinical validity was evaluated by 212 hemodialysis nurses. Expert group validated and verified the final outcome. Phase 4: Final standards of hemodialysis care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were developed. Results: The standard of hemodialysis care for out-patients included 5 standards, 9 contents, 43 nursing activities. The standard for in-patients included 6 standards, 10 contents, 50 nursing activities. The standards for critical patients included 4 standards, 10 contents, 43 nursing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nursing activities according to admission type. Time required to meet the standard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time required for hemodialysis care and appropriate number of nurse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admission types. Different nursing workload according to admission type of hemodialysis patients need to be considered in allocating nursing manpower.

      • KCI우수등재

        산소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모직물의 형태안정성 개선(I) -저온 플라즈마 처리가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선,강태진 한국섬유공학회 2001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8 No.7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O_2$plasma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and hand of wool fabric have been evaluated. Low temperature $O_2$ plasma treatment modified the surface of wool fiber physically and chemically. The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of wool fabric treated with low temperature plasma of different power levels revealed some changes in the cuticle. Partially lifted or broken and less distinct scale edges were found on the modified fibers, especially on the fiber surface treated with plasma of 150 W power level. By ESC of narrow high-energy resolution scans of the $S_{2p}$ level, a second peak at 168 eV was detected, which indicated that cysteic acid groups were induced in wool by $O_2$plasma treatment dramatically improved the dimensional properties of wool fabrics. Wrinkle recovery angle after plasma treatment was slightly decreased due to increases in frictional components of wrinkling, such as friction coefficient and bending hysteresis. Plasma modification of the fiber surface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ictional coefficients of wool, in both with-scale and against-scale directions. This alteration of surface friction explains the apparently harsher handle, decreased tear strength and increased grab break strength imparted by plasma modification.n.

      •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맥락적 지지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민선,서영석 한국여성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a model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ontextual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was expected to be mediated by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for a sample of engineering students (N = 672).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link between contextual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was fully mediated by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were found from contextual support to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were also found from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o career indecis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the variables and model fi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국경을 넘나드는 텍스트의 욕망 ― ‘김정은 시대’ 북한소설의 재외 과학자들

        김민선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북한문학에서 ‘조선’을 제외한 세계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묘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텍스트는 대부분 처참한 자본주의 현실을 고발하고 북한 체제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서사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최근 북한문학에는 유럽을 유학하고 돌아온 인물이 세계와의 경쟁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는 장면이나, 독일과 같은 유럽국가를 배경으로 인물의 내적 갈등을 독자들에게 펼쳐 보이는 텍스트가 등장한다. 이는 이전 시기의 북한문학 텍스트와 비교하여 볼 때 뚜렷이 구분되는 독특한 변화의 지점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김정은 시대’의 북한소설이 보여주는 반복과 변주의 장면들을 짚어나감으로써 북한문학이 시도하는 새로운 풍경의 가능성을 살피고, 그 의미를 읽어내고자 한다. 특히 2017년 이후 서방 국가를 그 배경으로 서사를 전개하는 소설들이 발표된 바 있는데, 이들 텍스트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의 발사 성공을 비롯하여 세계 내에서의 인정 욕망이 교차하는 장으로서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의 바깥을 배경으로 전개되는 북한의 소설 텍스트들을 집중적으로 살핀다. 특히 최근 북한문학의 흥미로운 변화를 보여주는 두 편의 텍스트인 2018년에 발표된 단편소설 「박수 소리」와 2020년에 출판된 온영수의 장편소설 자화상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오래된 북한문학의 전형성과 현재 북한문학의 욕망이 겹쳐지고 충돌하면서 드러나는 문학적 장면들을 읽어내고자 한다.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world except “Chosŏn” was generally portrayed as a negative image. Most of these texts consisted of narratives denouncing the disastrous reality of capitalism and proving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Recently, however, North Korean literature features scenes in which a person who returned from studying in Europe presents a new horizon of competition with the world and texts that unfold the inner conflict of the characters against the backdrop of European countries such as Germany. This is a distinctive point of change compared to the texts of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the previous period. Therefore,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ew landscapes attempted by North Korean literature by pointing out the scenes of repetition and variation shown by North Korean novels of the “Kim Jong-un era.” In particular, since 2017, novels that develop narratives against the backdrop of Western countries have been published. They are interesting texts that reveal the desire of North Korean society to be recognized in the world.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North Korea’s novel texts set in Europe. In particular, it analyzes two texts, which show interesting changes in North Korean literature,―the short story Clap Sound published in 2018 and the full-length novel Self-Portrait published in 2020. Through this, I attempt to show that literary scenes which are revealed as the typicality of old North Korean literature overlap and clash with the desire of current North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중학생들의 진로활동 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개인특성과 학교특성

        김민선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진로교육현황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의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중학생 7,077명과 그들이 속한 학교 353개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자료이기 때문에 다층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무조건모형 분석결과, 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는 학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분산의 20%를 학교 수준에서 설명하고, 80% 정도를 개인 수준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수준(성별, 진로체험 활동 만족도, 진로성숙도, 부모와의 대화 수준)과 학교 수준(학교 설립유형, 규모, 소재지, 기관장의 진로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 진로교육 실행도에 대한 인식)의 예측변수를 투입한 조건모형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개인 수준의 변수들이 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수준 변수 중에서는 학교의 규모만이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참여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진로활동에 대한 함의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dividual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that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data of the 2018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7 middle school students and 353 schools in which they belong.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ulti-layered analysis because it was a multi-layered data consisting of individual level and school level. As a result of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and 20% of the total variance was explained at the school level and 80% were explained within the group.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ditional models that put the predictive variables of individual level (sex, satisfaction with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career maturity, and conversation level with parents) and school level (school establishment type, size, loca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recognition of career education execution of head of institution), showed that all individual level variables set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Among the school level variables, only the size of the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iddle school career activ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