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으면’과 ‘-었으면’의 교수 · 학습을 위한 제언

        김문기(Kim, Mun-Gi)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8

        I will propose a teaching-learning viewpoint about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eosseumye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That is I search the logic in Korean sentence connection which these endings are used, and I suggest how to applicate these in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these purpose I investigate the semantic function of ‘-eumyeon’ and ‘-eosseumyeon’ in Korean dictionary and materials of Korean grammar educational. Based on the this, I examine which ‘-eumyeon’ and ‘-eosseumyeon’ show just morphological differences or are similar grammar items. And through this I suggest how to set grammar ite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of help to teaching-learning Korean connective endings ‘-eumyeon’ and ‘-eosseumyeon’. 이 글에서는 한국어에서 연결 어미, 특히 ‘-으면’과 ‘-었으면’이 사용된 문장 구조에 나타난 연결의 논리와 표현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바탕으로 이것을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과 여러 한국어 문법 교육과 관련된 자료에서 ‘-으면’과 ‘-었으면’의 의미 기능을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으면’과 ‘-었으면’을 단순히 형태론적인 차이를 보이는 문법 항목으로 처리할지, 서로 다른 유사 문법 항목으로 처리할 것인지 살펴본다. 그 결과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으면’과 ‘-었으면’의 교수․학습에 의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더-’와 ‘-데’, ‘-대’의 의미 기능적 관련성

        김문기(Kim Mun Gi)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이 글에서는 회상의 선어말 어미 ‘-더-’와, 종결 어미인 ‘-데’와 ‘-대’가 의미적으로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더-’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데’의 의미 기능이,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옮겨 와서 표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더-’의 의미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때 ‘-데’는 그 역사적인 발달 과정을 볼 때, 상대 높임의 ‘--’가 회상의 ‘-더-’가 축약된 형태라는 점에서 높임의 등분도 논의했다. 또한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과, 놀람이나 못마땅함 등의 의미로 쓰이는 ‘-대’도, 그 의미 기능상 ‘-더-’의 화자의 과거 경험, 화자의 판단 등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데’와 관련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I try to reveal semantic-morphological correlations among ‘-deo-’, ‘-de’ and ‘-dae’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I looked into semantic function synthetically about ‘-deo-’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Second, I examined ‘-de’ has the meaning which someone expresses in the present situation something experienced directly in the past as it is. In addition, ‘-de’ has mobility status in Korean hearer honorific system with diachronic perspective, that is historically ‘-de’ has ‘-deo-(retrospection)’ and ‘-i(honorific)’, so I examined the divide of honorific speech of ‘-de’ too. So that I argue that there is a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de’ and ‘-deo-’. Third, in the way which ‘-dae’ means that of ‘-deo’ and surprisal or dissatisfaction, I tried to identify the correspondences from the semanticmorphologic functional side among ‘-dae’, ‘-deo-’ and ‘-de’.

      • KCI등재

        한국어문법“-으면”과“-었으면”의교수,학습내용 연구

        김문기 ( Mun Gi Kim ),김형복 ( Hyoung Bok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1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연결 어미 가운데 ‘-으면’과 ‘-었으면’을 유사 문법으로 보고, 이와 관련된 문법 교육 항목을 선정하여 그 교수·학습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 자료에 나타난 ‘-으면’과 ‘-었으면’을 분석해 본 결과, ‘-으면’과 ‘-었으면’을 유사 문법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으면’과 ‘-었으면’의 의미 기능도 세분 화하지 않아서 상황에 따른 다른 의미의 ‘조건’에 대해 다루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으면’과 ‘-었으면’을 독립된 문법 교육 항목으로 선정하고, 이들과 관련된 표현 항목을 정리하여 교육 항목을 설정했다. 그리고 이들의 의미 기능을 고려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여 한국어 문법의 교수·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We aimed to propose teaching-learning contents about Korean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eosseumyeon’. First, we analyzed ‘-eumyeon’ and ‘-eosseumyeon’ in seven kinds of Korean text books. Through this, we found out ‘-eosseumyeon’ had not been chosen as a instructional grammar item, because ‘-eosseumyeon’ didn``t be apprehended as similar grammar with ‘-eumyeon’. Second, the meaning of ‘-eumyeon’ didn``t be departmentalized, therethrough ‘-eumyeon’ didn``t be dealt with various meaning according to each real situations. So we argued ‘-eosseumyeon’ needs to be selected as a separate grammar item, and we selected expressions which related to ‘-eumyeon’ and ‘-eosseumyeon’. And we tried to offer help to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by preparing a teaching-learning contents through departmentalizing the meaning of ‘-eumyeon’ and ‘-eosseumyeon’.

      • KCI등재

        매인풀이씨에 나타나는 상과 양태 의미의 상관성

        김문기(Kim Mun-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한국민족문화 Vol.30 No.-

        This paper discusse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spectual auxiliary verbs. Especially aspectual auxiliary verbs have both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in Korean. So I investigate the correlativity between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in aspectual auxiliary verbs. I explore the aspectual auxiliary verbs '-a/eo peorida/poda/ssata, -go malda' in this paper. These show the aspectual meaning, completion or termination of some event. But aspectual auxiliary verbs appear not only aspectual meaning but modal meaning. I think that is caused speaker's mental attitude. So I need to find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from the viewpoint of semantic correlativity. For this purpose, I use the methodology of Conceptual Blending Theory. Because this is useful to show the schema of semantic transition.

      • KCI등재

        한국어 감탄사의 내적 구조에 따른 유형 연구

        김문기(Kim Mun Gi)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I tried to classify the exclamations of contemporary standard words list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SKLD』) by focusing on the inner structure as it is, not the existing school grammatical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clamation shown in the 『SKLD』, the type was divided into ‘single word exclamation word’ and ‘compound word exclamation word’.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monomorphic exclamations include those that can be processed as compound words and derivatives. Therefore, I divided them into ‘a clear monotheistic exclamation’ and ‘an exclamative that can be treated as a compound exclam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mpound word exclam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of exclamation: word type, sentence type, difficult judgment type. ‘Word type’ is composed of elements that are obvious elements of words or words (such as particles). ‘Sentence type’ means that sentence elements are gathered to be interpreted as one sentence or mother is realized. ‘Difficult judgment type’ refers to thing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clearly all of the component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xclamation word form compound word’, the subtypes were divided based on the grammatical category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Here, ‘leading and trailing elements are obvious’, ‘leading elements are unclear’, ‘trailing elements are unclear’, ‘leading and trailing elements are unclear’, and ‘root and affix are related things’. 이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현대 국어 표준어 감탄사 586개를 대상으로 그 내적 구조를 살펴서 유형 분류와 함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표제어에 제시된 조어 정보를 기본 자료로 삼고, 그 내적 구조에 초점을 두어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먼저 조어 정보를 바탕으로 그 유형을 ‘단일어 감탄사’와 ‘복합어 감탄사’로 나누었다. 단일어 감탄사는 ‘분명한 단일어 감탄사’와 ‘복합어 감탄사로 처리 가능한 감탄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복합어 감탄사는 ‘단어형, 문장형, 판단 곤란형’의 세 가지 복합어 감탄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단어형’은 그 구성 요소가 분명한 단어 또는 단어에 준하는 요소(조사 등)로 이루어진 것이며, ‘문장형’은 문장 성분이 모여서 하나의 문장으로 해석되거나 어미가 실현된 것을 뜻하고, ‘판단 곤란형’은 구성 요소 모두가 분명하게 파악하기 곤란한 것을 말한다. ‘단어형 복합어 감탄사’의 경우,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의 문법 범주적 특성을 바탕으로 다시 하위분류하였다. 여기에는 ‘선ㆍ후행 요소가 분명한 것’, ‘선행 요소가 불분명한 것’, ‘후행 요소가 불분명한 것’, ‘선ㆍ후행 요소가 불분명한 것’, ‘어근과 접사가 관련된 것’ 등이 있었다.

      • KCI등재

        ‘-으면’과 ‘-다면’의 연구 방법에 대한 제언

        김문기(Kim, Mun-Gi),김형복(Kim, Hyoung-B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8 No.-

        본고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정적 조건’의 의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으면’과, ‘가정’의 의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면’에 대해 조금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여러 국어사전에서 이들에 대한 뜻풀이를 어떻게 처리했는지와, 몇몇 앞선 연구들에서 ‘-으면’과 ‘-다면’을 어떻게 구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으면’은 ‘조건’의 의미를, ‘-다면’은 ‘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의미 기능을 구분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으면’과 ‘-다면’의 의미 기능을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했는데, 그 중 핵심적인 것은 선·후행절과 관련된 ‘상황’과 ‘화자의 인식’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으면’과 ‘-다면’의 자연스러운 쓰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후행절에서의 시제 실현 양상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들 연결 어미와 대응되는 접속 부사를 ‘그러면’과 ‘그렇다면’으로 상정하여 이들의 교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taken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to the ‘-eumyeon’ which is known to function as a meaning of ‘supposition condition’ in general, and ‘-damyeon’ which is known to function as a meaning of ‘supposition’.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how the Korean dictionary and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eumyeon’ and ‘-damyeon’. Through this, we classify the meaning function of ‘-eumyeon’ represents the meaning function of ‘condition’, and the meaning function of ‘-damyeon’ represents the meaning of ‘supposition’. And we presented some considerations when judging the semantic function of ‘-eumyeon’ and ‘-damyeon’. We judged that the keys of these were regarded as ‘situation’ and ‘speaker"s perception’ related to the preceding and succeeding clauses. Based on these results, we examined the natural uses of ‘-eumyeon’ and ‘-damyeon’.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eumyeon’ with the connection adverb ‘geureomyeon’, and the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damyeon’ with the connection adverb ‘geureohdamyeon’.

      • KCI등재

        한국어 문법 ‘-지 뭐’ 확장 구성 연구

        김문기(Kim Mun-gi)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1

        이 글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의 현대 문어와 구어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지 뭐’ 확장 구성의 의미 기능에 대해 고찰했다. 먼저 ‘-지 뭐’ 확장구성에는 ‘-지 뭡니까, -지 뭐예요, -지 뭐야, -지 뭘, -지 뭐니, -지 뭔가, -지 뭐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사용 빈도와, 이들과 결합한 구성 요소들의 종류와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 의미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의미 기능은 다음과 같이 주로 화자와 관련된 양태적 의미들이었다. ① -지 뭡니까 : 사건에 대한 화자의 놀람, 어이없음, 당황스러움, 실망 등, 상대방의 동의나 호응 등 유도, 화자의 감정 강조, 사건에 대해 ‘그래서는 안 된다’와 같은 화자의 판단이나 생각 표현의 의도, 사건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판단에 청자의 동조 또는 반응에 대한 요구나 기대. ② -지 뭐예요 : 특정 상황에 대한 화자의 놀람, 아쉬움, 체념, 실망 등의 감정 강조. ③ -지 뭐야 : 사건에 대한 화자의 놀람, 강조, 어이없음, 당황스러움, 실망, 사건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판단에 청자의 동조 또는 반응에 대한 요구나 기대. ④ -지 뭘 : 사건에 대한 화자의 겸연쩍음, 대수롭지 않음, 당연함,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박, 특정 상황에 대한 화자의 권유, 보편적 상황에 기반한 판단. ⑤ -지 뭐니 : 사건에 대해 화자가 예상하지 못했던 뜻밖의 결과에 대한 놀람, 사건에 대해화자가 느낀 감정의 강조, 그러한 사건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화자의 태도. ⑥ -지 뭔가 : 화자가 특정 사건에 대한 느낌의 강조나, 예상 밖의 결과에 대한 놀람(평서문), 화자가 몰랐거나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대한 깨달음, 겸연쩍음, 놀람(의문문). ⑦ -지 뭐요 : 화자의 대상에 대한 판단을 확인 ․ 강조, 화자가 사건에 대해 예상 밖의 결과로 인한 놀람이나 사건에 대한 강조. 더불어 ‘-지 뭐’ 확장 구성의 주어 실현의 제약 양상과 높임 표현 실현의 제약 양상을 통해 그 문법적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meaning function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based on concrete examples.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extracts from the modern written and spoken corpus, which corresponds to a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through a word search. As a result, I chose ‘-ji mwopnikka, -ji mwoyeyo, -ji mwoya, -ji mwol, -ji mwoni, -ji mwonga, -ji mwoyo’. Second, through the corpus data, we confirmed the aspect of the preceding coupling element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Third, the meaning function represented by the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was a modal meaning related to the speaker’s feeling and attitude ; surprise, disappointment, embarrassment, ridiculousness, naturalness, motivation of the opponent’s agree or response, emphasize the speaker’s feelings, request or expectation of celadon sympathy or response to the speaker’s attitude and judgment on the case, congratulations, a matter of no importance, refutation of the other’s opinion, speaker’s recommendation for a specific situation, judgment based on universal situation. Fourth,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are examined in simple terms in terms of realization of subject and realization of honorific express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was used in the sentence to carry out a specific meaning function. In this regard, research tasks to be accomplished in the future are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teach and learn the extended structure of ‘-ji mwo’ extended construction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