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8년 해항도시 군산의 특징과 사회 구조

        김두헌(Kim, Doo-Heo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4

        1928년 당시 해항 도시 군산은 한국에서 생산된 쌀을 일본으로 이출하는 기능을 주로 한 ‘쌀의 도시’였을 뿐만 아니라, 상업 및 무역 활동도 중시한 경제 중심의 식민지 도시였다. 그러나 경제 외의 나머지 분야 곧, 학문, 예술, 종교, 교육 등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긴 도시였다. 군산에 거주한 일본인들은 한국인들을 엄격하게 차별하였고, 군산의 일본인 사회 내에서도 상류층과 하류층의 계층 구조가 확연하게 존재하였으며, 상류층에서도 최상류층이 엄연히 존재하였다. 일본인들은 일부 한국인들을 선별하여 이들에게 도시 운영을 위한 협조를 요구하기도 하였지만, 이들 한국인들이 군산 사회의 최상류층에 진입하는 것을 철저히 배제시켰다. 일본인들은 자신들과 이익이 상충될 때에는 언제든지 이들을 차별하였으며, 행정과 법률을 통해 철저하게 탄압하였다. 1928년 군산의 일본인 사회에서의 최상류층은 대부분 사업에 투자하기 위해 일본이나 한국의 타지에서 군산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자신들의 업종에서 뚜렷한 업적을 이루어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 사회의 공익을 위해 봉사와 기부를 자주 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황무지를 도시로 일구어 냈다는 일종의 자부심을 갖고 있었으며, 쌀을 일본으로 이출함으로써 국가에 충성을 하고 있다는 사명감 곧, 국가주의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The Sea Port City ‘GunSan’ in 1928 carried mainly not only the function to export the rice that produced in Korea to Japan but also the activities of commerce and trade. So, GunSan was called ‘The City of Rice’. But the other fields except economy relatively treated with forgetfully. Japanese discriminated Korean. There was not only the separation between the upper class and the lower class but also the top drawer in the upper class in GunSan Japanese society. Japanese in GunSan on the one hand selected some korean and adjured them to cooperate for city m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y declassified korean in top drawer. Whenever there was a conflict of interest, Japanese differentiate korean from them and suppressed korean with the administration and law. The top drawer of GunSan Japanese society in 1928 mostly were composed of those who emigrated to GunSan to invest their business. They accomplished marked achievement in their type of business, performed frequently services and donations for Japanese society. Also they had the pried to reclaim wasteland and the nationalism, the sense of duty exporting the rice.

      • KCI등재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고문서 사료학습

        金斗憲(Kim Doo-Heon) 歷史敎育硏究會 2011 역사교육 Vol.117 No.-

        This paper studied on teaching and learning used ancient documents(古文書) as learning materials in 2~3grades korean history classes in high school.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history education academia. At first, the archaeologist’s definition is suggested that ancient documents are those which have been exchanged interpersonally. Consequently, it is presented for not only the fact that the old documents are more beneficial than others, but that they are appropriate as educational material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y are less rendered than other materials, and the problem is showed that the basic explanation isn’t indicat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it is presented that selecting and criticizing learning resources should be replaced with the teacher’s explanation because the contents of ancient documents are difficult. Because it is rarely planned to include old documents in organizing learning contents during a year, it is encouraged to comprise learning contents of a more in-depth and systematic ones by using temporal, integrated, exceptional, relative, multidisciplinary, and contemporary approach. In choosing and producing learning contents of ancient documents, first, it is referred which condition should be took into consideration. And when old materials a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it is suggested to display them as they are according to hierarchy of difficulty.

      • KCI등재

        고등학교 국사 교수

        김두헌(Kim, Doo-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국사 교수-학습에서의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학습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 역사상 존재하였던 가계 기록의 종류와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계 기록인 족보는 고려 말부터 간행되었지만, 조선 전기에 간행되어 현전하는 것은 30편 내외에 지나지 않는다. 가승은 족보보다 먼저 편찬되었는데, 족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가계 기록이었다. 내외보와 팔고조도는 현전하는 수가 적지만 외가를 폭넓게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부계 위주의 족보와 다른 특징이 있다. 각 성관의 주요 가계를 간추려 정리한 종합보에는 거의 대부분 양반 가계가 수록되어 있다. 교과 내용과 관련된 가계 기록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로 다음 네 가지 사실을 들었다. 첫째, 유교가 조선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영향을 미친 사회 이념이라는 사실이다. 둘째, 조선 사회가 가문 중심의 사회였다는 사실이다. 셋째,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여성의 지위가 변화되었다는 사실이다. 넷째, 조선 후기에 시간이 흐를수록 유력한 가문의 문벌화가 심화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연구 성과와 관련된 고등학교 교과 내용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을 서로 연관시켜 학습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의 효과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었다. 그것은 첫째 시간의 연속성을 느끼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 둘째 자신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갖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셋째 보편성과 개별성을 인식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넷째 가족애와 친족애를 고취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 등이다. 가계 기록을 자료로 사용한 사료 학습 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에게 족보가 없다는 사실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시켜주어야 한다는 것, 둘째 오늘날의 시대 이념에 적합한 가계 기록을 만들기를 권고해야 한다는 것, 셋째 족보의 내용 중에 허위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진실성이 뛰어나다는 사실도 밝혀 주어야 한다는 것과 족보의 위조된 부분을 가려내는 방법 등이다.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서는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교과 진도와 직접적으로 관련해서는 본시 학습에서 관련이 있을 때마다 활용하는 분산적 접근 방법과, 교과 진도와 상관없이는 주제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주제 접근 방법의 가계 기록 사료 학습은 한 종류의 사료만을 학습 자료로 사용하여 관련 교과 내용을 학습한 이후에 통괄적으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학습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사료 학습과 다르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사료 학습은 드물게 실시하는 학습이므로, 교과 내용뿐만 아니라 교과 외의 내용도 학습하고 학습 내용과 현재와의 관련성도 포함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역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역사학의 실용적 가치를 느끼게 할 것을 권장하였다. 한편 이러한 학습 내용과 방안이 담긴 사료 활용 카드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as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classes of high school. First, the typ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ere introduced. Chogbo(族譜) referring to typical korean genealogical records was published from the end of Goryeo(高麗) era in the korean history, but there are only thirty pieces of them which have come down from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Gaseung(家乘) compiled before Chopbo was the fundamental genealogical record. Though the number of Naeoebo (內外譜) and Palgojodo(八高祖圖) is few in existence, but they are different from Chogbo which mainly copes with paternal line, in that they contain the history of mother’s side. Yangban(兩班) lineage was almost written in the Chonghabbo(綜合譜) that arranged main lineages of each clan. The previous results of research on genealogical records related to subject matter were presented. First, the confucianism was a dominated social idea in the Chosun(朝鮮) dynasty. Second, the Chosun society was set by family. Third, Imjinwailan(壬辰倭亂) was the standing point of the change of women’s social status. Finally, the rate that influential clan occupied high office was gradually intensified in the late Chosun. The educational effects of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used genealogical records were presented. First, it is the most effective to cognize the continuity of time. Second, to assure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one’s own is effective. Third, to be aware of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effective. Fourth, to infuse the love for family and relatives is effective. It is recommended to keep the following three things in mind when an instructor makes a use of genealogical records as historical learning materials. First, teacher should impress that it is not shame of not having Chogbo(族譜). Second, it should be promoted to compile genealogical records to suit social ideas of today. Third, it should be clarified that most of genealogical records are credible enough to be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ough some of them contain false information. And the way to detect the parts of forgeries was presented. O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genealogical records can be used with dispersive approach available at any time the lesson is related to them partially and subject approach when is related generally. The subject approach method used genealogical record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istorical materials learning in the way 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essed with only one type of historical materials. As subject approach is rarely carried out in one year, it was encouraged to study not only subject contents but also substances beyond them and include connec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in order to help students profoundly understand history and its practicality. It was showed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cards and lesson plan containing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mentioned abov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군산 영동 상가 개성상인 김용진(金瑢鎭)·한민수(韓民洙)·홍종식(洪鍾植)의 거주지 이동과 군산에서의 삶

        김두헌(Kim Doo-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6 No.-

        일제 강점기 군산 영동 상가 개성상인 김용진, 한민수, 홍종식 등은 보다 나은 상업적 이익을 얻기 위해 안면도와 목포 등을 경유하여 군산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군산에서 상업 활동을 하면서도 가족 일부 또는 대다수를 개성에서 거주하게 하면서 고향 개성을 삶의 근거지로 계속 유지하였다. 상대적으로 이동성이 강한 개성 상인이면서도, 고향 개성을 삶의 근거지로 중시하였던 것이다. 이들은 영동 상가에서 포목 관련 업종에 종사하였고, 혼인을 통해 인척관계를 형성하면서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었으며, 사업장에서는 가족들이 협업하는 등 강한 결속력과 협동력을 보였다. 천주교를 신앙으로 선택하여, 불모지나 다름없던 군산 지역에 군산 공소를 설립하여 천주교를 활성화시켰으며, 신앙 공동체 대표로서 교회 설립을 위해 많은 액수를 기부하는 등 적극적인 신앙생활을 전개하였다. 이들 중에 특히 김용진은 주변의 불우한 아동들의 문맹 탈피를 위해 오랜기간 동안 많은 사재를 쾌척하여 야학교를 운영하였다. 이상의 일제 강점기 항해 도시 군산에서의 개성상인들의 삶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근대기 또는 일제 강점기 개성상인들의 삶의 모습에 대한 연구의 촉진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Gaesong(開城) merchants, Kim Yong-Jin(金瑢鎭), Han Min-Soo(韓民洙), and Hong Jong-Sik(洪鍾植) moved to Gunsan(群山) via Anmyeondo(安眠島) and MokPo(木浦), etc. for better commercial gain. While doing commercial activities in Gunsan, they kept their hometown, Gaesong as a base for their lives, allowing some or most of their families to reside in Gaesong. Although they were a highly mobile merchants, they valued his hometown, Gaesong as a commercial base. They were engaged in the industry related to linen and cotton in the Yeongdong shopping district in Gunsan, and formed close ties through marriages. In the business, families collaborated with each other. They showed strong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ey chose Catholicism as their spiritual resting place and established a Gunsan Gongso(公所, small church) in Gunsan, which was almost barren, to promote Catholicism and to donate a large amount of money to establish the church. In order to break away from illiteracy among underprivileged children around him, Kim Yong-Jin managed a night school for a long time. This study expects to be a facilitator on all aspects of the Gaesong merchant‘s life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KCI등재

        갑오개혁~국권피탈 시기 기술직 중인 사회의 서자에 대한 차별 완화 양상

        김두헌(Kim, Doo-Heo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5 서울학연구 Vol.- No.59

        Hee-Won Lee(李熙元, 1857~1924) was an illegitimate descendant(庶子) of the JungIn(中人) family(家門). It was a famous lineage in JungIn society. After he passed YugGua(譯科, foreign language examination), he was appointed GunSu(郡守, district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after he retired the official post, he actively engag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愛國啓蒙運動). Also in his family, he vigorously participated in working for his clan as the representative together with other legitimate descendants. The discrimination of the illegitimate descendants in JungIn society nearly disappeared in the society, and notably mitigated in the family by the acivities such as Hee - Won Lee’s during the modern age. One of the main causes to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collapse of status system in the JoSun(朝鮮) dynasty was the devotional and positive activities of the status lower than YangBan(兩班) for their society. I calculated on the period that the discrimination of the illegitimate descendants in the Jung In society were perfectly resolved. It was the time that the marks of illegitimate descendants disappeared in JogBos(族譜, family records), and that JungIn descendants performed marriage fre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