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태도, 사회적관계지지망, 노인역량이 노인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두리(Kim, doo ree),류주희(Ryu, joo hee),문효원(Moon, hyo won),민수현(Min, soo hyun),박신숙(Park, sin sook),이기란(Lee, gi ra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는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는 노인 스스로가 느끼는 노인차별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시의 일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차별경험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2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차별경험은 사회참여태도(r=-.160, p=.019), 자녀관계지지(r=-.150, p=.030)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노인차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5, p<.001), 직업(β=.18, p=.011), 스마트폰 사용(β=.13, p=.049), 자녀관계지지(β=-.17, p=.021)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 변수들의 노인차별경험에 대한 설명력은 15.4%이었다.
김두리(Du-ri Kim),우수한(Su-han Woo)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2
국가 간 교역에서 해상운송과 육상운송을 연결하는 결절점으로서 항만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송경로를 결정하는 주요한 위치에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 화물 교역에서 나타나는 운송경로의 집중도와 의존성을 항만시스템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종점별 운송경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경로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집중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허핀달-허쉬만 지수분석으로 경로의 집중화 수준을 파악하고, 상호보완적인 측면에서 변이할당효과분석을 통해 전체 시스템 내에서 분석기간 동안 경로의 변화양상과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통해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 교역 네트워크의 불평등한 구조를 파악하였다. 국내 컨테이너 수출입화물의 경로는 특정항만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점차적으로 경로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oute concentration analysis to examine how transportation routes are organized by the origin of trade and how concentrated they are on a specific rout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analysis identified the level of centralization, in complementary terms, analyzed the Shift-Share effect throughout the analysis period. Finally, the Gini coefficients and Lorentz curv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unequal structure of the transportation routes network. Results : Transportation routes are formed around specific ports, but it is estimated that routes are gradually diversifying. Conclusions : The transportation route of domestic container exports and imports is presumed to have an unequal structure assumed to be concentrated in a few specific ports. And then,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and dependence of transportation routes will be approached by path dependence theory.
김두길(Du Gil KIM),유영달(Young Dal YOU)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1
본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하는 40~59세의 중년기 부부 220쌍에게 McCubbin, Wilson, 및 Patterson(1979)이 개발한 가족스트레스 척도(FILE)와 자녀특성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부부관계문제, 가족재정문제, 가사·자녀문제와 관련된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건강문제와 관련된 가족 스트레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스트레스는 첫째 자녀의 학교급별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교재학>대학재학). 셋째, 가족스트레스 전체 점수와 가족재정문제는 막내 자녀의 학교급별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중학재학>고교재학). 넷째, 가족스트레스 전체(2명>1명), 가족재정문제, 가사·자녀문제는 자녀의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가족스트레스 전체와 가족재정문제는 자녀들의 연령차의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살 차이인 경우 유의하게 낮음). 여섯째, 가족스트레스 전체(아들+딸>아들+아들, 딸+아들), 가족재정문제(아들+딸>아들), 부부관계문제, 가사·자녀문제는 자녀의 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220 couples aged 40~59 residing in Busan and Kyungnam areas. The FILE scale (McCubbin, Wilson, & Patterson, 1979)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 children s characteristic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family stresses of couple relationship(CR), family finance(FF), and housekeeping/children(HC) are higher than that of family health(FH). Secondly, the subjec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family stress level depending on their children s school position. Thirdly, the subjec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family stress levels depending on their children s school position(middle-schoolers > high-schoolers). Fourthly, the subjec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total family stress(TS) and FF, HC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ildren. Fifthly, the subjec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TS and FF depending on the age difference among their children. Sixthly, the subjec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TS, FF, CR, and HC depending on their children s sex combinations.
가정간편식(HMR) 활용을 위한 수프용 양파 플레이크 제조 및 품질 특성
김두리(Duri Kim),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편식용 수프에 첨가되는 양파 플레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데치기 공정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제주산 농산물을 이용한 가정간편식용 수프 개발 시 첨가되는 양파 플레이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온도와 시간에 따른 양파의 색도, 수분활성도, 갈변도, pH, 가용성 고형분(Brix), 재복원율,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데치기 조건에 따른 양파 플레이크의 수분활성도는 처리구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색도는 50°C 데치기 처리구가 70°C 데치기 처리구에 비해 L값이 증가하였고 a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저온에서 단시간 데치기가 양파 플레이크의 갈변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H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데치기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복원율은 70°C의 높은 온도를 이용하여 데치는 경우 높은 재복원율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데치기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H가 낮아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70°C를 데치기 온도의 최적으로 선정하였고, 이 온도에서 데치기 시간에 따른 물리적, 영양학적 검사를 비교한 결과 데치기 시간이 증가할수록 재복원율이 높아졌지만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열처리 효율성과 상업적으로 이용성을 고려하여 1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최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제주형 HMR 제품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양파플레이크를 수프에 적용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ptimize the blanching process for producing onion flakes generally added in solid type HMR soup. Briefly, peeled and chopped onions were water-blanch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s (50, 60, 70°C/ 1, 2, 3 min), followed by hot air-blast drying (60°C, 9 h). Results revealed that the 50°C blanched treatment had a higher L-value and lower a-value than the 70°C blanched treatment. Moreover, the pH value, Brix,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onion flakes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with increasing blanching temperature and time. Blanching at low temperature for a shorter tim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browning of onion flakes. In blanching at 70°C, the rehydration ratio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lanching time.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water blanching at 70°C for 1 min is the optimal pre-treatment condition for commercial processing of onion flakes, wherein the nutritional properties are optimally retained.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가상현실기반 뇌채움 인지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두리(Kim Du-Ri),김권민(Kim Gwon-Min),송승환(Song Seung Hwan),허업(Huh Up),장재혁(Chang Jae-Hyeok),탁영진(Tak Young-Jin),박종환(Park Jong-Hwa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기반 뇌채움 인지훈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2주간, 회당 50분씩 가상현실기반 뇌채움 인지훈련을 시행하였다. 인지기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과 후의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 Digit Span Test(DS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COWAT), Digit Symbol Coding(DSC), Korean-Color Word Stroop Test(K-CWST)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가상현실기반 뇌채움 인지훈련 중재 전과 후의 인지기능을 비교한 결과 K-MMSE(P=.019)와 Stroop Word(P=.011)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 가상현실기반 뇌채움 인지훈련은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실제와 같은 일상생활활동의 훈련 환경을 조성하여 가상현실이라는 공간에서 만족감을 얻어 경험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미와 흥미 유발을 통한 집중력 증진이 치매예방 및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어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적용해볼 수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on elderly adults in the community who use dementia care center.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 elderly adults in the community who use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twice a week for 12 weeks, 50 minutes per session.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ing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comparison using the K-MMSE, K-MOCA, DST, COWAT, DSC, K-CWST. Results : A comparison of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of the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K-MMSE score(P=.019) and Stroop Word score(P=.011). Conclusion : Virtual reality-based cognitive training allows elderly adults in the community to experience and act with satisfaction in the space of virtual reality by creating a training environment for daily living activities like real life. It also suggests that the enhancement of concentration through the inducement of fun and interest can help prevent dementia and improve cognitive functions, which can be applied as an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adults in the community who use the dementia care center.
C-ITS 통신망 구축을 위한 통신 기술 동향 및 국내 C-ITS 통신 규격 선정에 대한 연구
김두리(DooRi Kim),김모세(MoSe Kim),김기천(KeeCheon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기존 ITS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근 C-ITS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운전과 사고를 빠르게 대응하여 2차 사고를 막을 수 있는 교통체계가 설립되고 있다. 단방향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ITS와 달리 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 간 양방향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교통안전 관리에 더욱 효과적이다. 성공적인 C-ITS의 상용화를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V2X 기술의 통신 규격의 결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국내 V2X 통신 방식인 WAVE와 C-V2X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국내 C-ITS 통신 규격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