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과 `교토`라는 장소

        김동희(Kim, Dong-Hee)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은 정지용이 1920년대 일본 교토 도시샤대학에 재학 중 발표한 작품을 대상텍스트로 하여 교토라는 장소가 지용의 작품에서 문학적 표상 공간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교토라는 장소는 지용의 작품에서 문학적 공간으로 등장한다. 지용은 1923년 4월 일본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 예과에 입학한 후, 1926년 4월 1일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진학하여 1929년 6월 30일 졸업했으므로 약 6년 2개월 동안 일본 교토에서 생활하였다. 지용은 교토에서 생활하면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그가 시편 말미에 교토에서 창작하였다고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작품은 총 11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작품을 대상텍스트로 하여 당대의 사진과 지도를 통해 지용이 생활하였던 교토를 그려보고 교토라는 장소와 지용 문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교토의 카페와 노면전차, 가모가와와 히에이잔이라는 장소가 지용의 시에서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지용에게 카페라는 공간은 도시의 네온사인과 전차의 소음이 차단된 공간으로, 안과 밖의 구분이 확연함으로 인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공간의 구분이「카페 프란스」의 형식적 분리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지용에게 교토의 거리는 산책의 장소인데 밤거리에서 마주하는 노면전차의 소리는 공포를 유발한다. 밤거리의 산책과 전차 소리의 공포는 황마차 에서 확인된다. 가모가와와 히에이잔을 그린 작품으로는 「Dahlia」,「紅椿」,「鴨川」,「조약돌」,「엽서에쓴글」등이 있는데, 지용에게 가모가와와 히에이잔은 일상의 관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자 하나의 풍경처럼 자리한 곳이다. 이처럼 지용의 도시샤대학 유학시기 창작 발표된 작품들의 상당수는 교토라는 공간의 감각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a series of works by Jeong, Ji-Yong(鄭芝溶) published in the 1920s, during the time when he was in Doshisha University in Kyoto Japan. The article analyzed the process of the place, Kyoto, becoming internalized into literary representational space in his works. The place Kyoto is often used as literary space in Ji-Yong’s works. Ji-Yong lived in Kyoto for 6 years and 2 months, and he published a number of works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11 works in which he himself describes specifically that he actually wrote those works in Kyoto. This article looked closely into the places like cafes, night streets, Kamogawa(鴨川), and Hieizan(比叡山) in Kyoto, and examined how these places work and what kind of implications they have in Ji-Yong’s work. To Ji-Yong, Cafe is the place shut off from outside neon lights and the noise of streetcars in the city. It surely separates the inside of the cafe from the outside world and, therefore, can become the space for exploring inner side of himself. This space division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he formal separation in his poem「Cafe France」. For Ji-Yong, the Streets in Kyoto are places to stroll, but the sounds of streetcars encountered on night streets cause him to fear. Both strolling the streets and the fear of streetcar sounds are seen in his work 「Covered wagon(幌馬車)」. Kamogawa(鴨川) and Hieizan(比叡山) found in the works of「Dahlia」,「Camellia(紅椿)」,「Kamogawa(鴨川)」are also examined. Kamogawa(鴨川) is the place for his observation of people’s daily life, and Hieizan(比叡山) is depicted as poetic scenery. In this way, Ji-Yong embodies the places in Kyoto that he has actually experienced into his works.

      • KCI등재

        급속열처리를 통한 알루미나 나노 템플레이트의 기공 균일도 개선에 관한 연구

        김동희,김진광,권오대,양계준,이재형,임동건,Kim Dong-Hee,Kim Jin-Kwang,Kwon O-Dae,Yang Kea-Joon,Lee Jae-Heong,Lim Dong-G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9 No.2

        Ordered nanostructure materials have received attention due to their unique physica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electronics, mechanics and optical devices. To actualize most of the proposed applications, it is quite important to obtain highly ordered nanostructure arrays. The well-aligned nanostructure can be achieved by synthesizing nanostructure material in the highly ordered template. To get well-aligned pore array and reduce process time, rapid thermal anneal by an IR lamp was employed in vacuum state at $500^{\circ}C$ for 2 hour. The pore array is comparable to a template annealed in vacuum furnace at $500^{\circ}C$ for 30 hours. The well-fabricated AAO template has the mean pore diameter of 70 nm, the barrier layer thickness of 25 nm, the pore depth of $9{\mu}m$, and the pore density of higher than $1.2{\times}10^{10}cm^{-2}$.

      • KCI등재

        소규모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비교

        김동희,박준희,문경덕,임경식,Kim, Dong-Hee,Park, Jun-Hee,Moon, Kyeong-Deok,Lim, Kyung-Sh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6

        본 논문은 소규모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함에 있어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과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기존의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은 범용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위한 프로토콜이며, 홈네트워크와 같은 소규모 네트워크를 위하여 최적화되어 설계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소규모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의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과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술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소규모의 애드혹 네트워크에는 기존의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보다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이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특히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은 기존의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보다 높은 전송률과 낮은 패킷 전송을 위한 지연시간을 보여준다. This paper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unicast routing protocol and the broadcast routing protocol in a small-sized wireless multi-hop network, such as home network. Normally, ad-hoc routing protocols are designed for general wireless multi-hop networks, not being said to be optimized for the small-sized ad hoc network. This paper compares some unicast routing protocols and optimal broadcast routing protocol, and shows the result.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says the broadcast routing protocol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ad-hoc routing protocols in the small-sired wireless multi-hop network. Especi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 broadcast protocol has higher packet delivery ratio and lower packet latency than unicast routing protocols

      • 효율적 선석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동희,허동은,김봉선,이창호,Kim, Dong-Hee,Huh, Dong-Eun,Kim, Bong-Sun,Lee, Chang-Ho 대한산업공학회 1998 산업공학 Vol.11 No.1

        In these days many people have studied on the berthing problem. The operation rules differ from port so port and the problem is highly dependent on the environment of 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cision support system decision makers of the berthing problem for Inchon Port. The system is developed with graphic user interface(GUI) using user-interactive approach and some general and specific rules for Inchon Prot are considered. The system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parts ; the input/output part, the automatic berthing part by the system using rules, the manual berthing part by user, and the part for modifying results or handling exceptional events. The system is designed to assign ship to berths by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with environmental and operational constraints of Inchon Port. We expect that this system can provide decision makers with an efficient and fast way to berthing and can reduce wastes of time, space, and manpower in port operations.

      • UPnP와 ACAP의 연동을 위한 홈방연동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동희,박동환,박준희,문경덕,임경식,Kim, Dong-Hee,Park, Dong-Hwan,Park, Jun-Hee,Moon, Kyeong-Deok,Lim, Kyung-Sh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5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미들웨어인 UPnP와 방송 미들웨어인 ACAP을 연동하여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홈방연동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UPnP와 ACAP은 자신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자원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각 미들웨어가 다른 미들웨어가 관리하고 제공하는 정보, 자원 및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면 이 미들웨어들은 자신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자원보다 더 풍부한 콘텐츠와 장치 자원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PnP와 ACAP과 더불어 두 미들웨어가 각 미들웨어의 자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방연동모듈을 통합하여 홈방연동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홈방연동모듈은 UPnP와 ACAP이 미들웨어 계층에서 연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의 콘텐츠와 장치의 기능을 충돌 없이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which provides home entertainment services to users using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which makes UPnP and ACAP cooperate with each other. UPnP or ACAP providespowerful functionalities to its own network to play multimedia contents using its own resources. U one middleware uses the information and the resources of another middleware, itcould provide services with more contents and more powerful functionalities than those which it originally provides. This paper develops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to make two middleware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use resources of another middleware. The middleware-cooperation module makes UPnP and ACAP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t makes them share their information and resources without resource collision.

      • KCI등재

        분무열분해 공정에 의한 코발트 산화물 나노 분체 제조에 미치는 노즐 팁 크기의 영향

        김동희,유재근,Kim, Dong Hee,Yu, Jae Ke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6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prepare cobalt oxide ($Co_3O_4$) powder of average particle size 50 nm or less by spray pyrolysis reaction using the raw cobalt chloride ($CoCl_2$) solu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nature of the particl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nozzle tip size. When the nozzle tip was 1 mm,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 droplets were spherical and the surface showed very tight structur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ally formed particles was 20-30 nm. When the nozzle tip size was 2 mm, some of the droplets formed were spherical, but a considerable part of them showed severely disrupted form. particles formed showe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30 - 40 nm. For the nozzle tip size of 5 mm, spherical droplets were almost non-existent and most were in badly fragmented state. The tightness of surface structure of the droplets has greatly been reduced compared with other nozzle tip sizes. Average size of the formed particles was about 25 nm. As the nozzle tip size increased from 1 mm to 2 mm and 3 mm, the intensities of the XRD peaks have changed little, but significantly been reduced when the nozzle tip size increased to 5mm. As the nozzle tip size increased from 1 mm to 2 mm,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decreased, but the nozzle tip size increased to 5mm, the specific surface area remarkably increased. 본 연구에서는 코발트 염화물($CoCl_2$) 용액을 원료로 하여 분무열분해 반응에 의하여 평균입도 50 nm 이하의 코발트 산화물($Co_3O_4$)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원료용액이 분사되는 노즐 팁의 크기 변화에 따른 입자들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노즐 팁의 크기가 1 mm인 경우에는 형성된 대부분의 액적형태는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은 매우 치밀한 조직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 형성된 입자들의 평균입도는 20 ~ 30 nm이었다. 노즐 팁의 크기가 2 mm인 경우에는 형성된 액적형태는 일부는 구형을 이루고 있었지만 상당 부분은 심하게 분열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노즐 팁 크기가 5 mm인 경우에는 구형을 이루는 액적형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거의 대부분 심하게 분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액적형태의 표면조직은 다른 노즐 팁 경우에 비하여 치밀함이 크게 감소하였다. 형성된 입자들의 평균입도는 약 25 nm이었다. 노즐 팁 크기가 1 mm로부터 2 mm 및 3 mm로 증가함에 따라 XRD 피크들의 강도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노즐 팁 크기가 5 mm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피크의 강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었다. 노즐 팁 크기가 1 mm로부터 2 mm 로 증가함에 따라 입자들의 비표면적은 감소하였으며 5 mm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 KCI등재

        Idiopathic Hypertrophic Cranial Pachymeningitis Masquerading as Tolosa-Hunt Syndrome

        김동희,황윤수,이학승,박현영,Kim, Dong Hee,Hwang, Yun Su,Lee, Hak Seung,Park, Hyun Young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16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8 No.1

        Idiopathic hypertrophic cranial pachymeningitis (ICHP) is diffuse inflammatory process of the dura mater. ICHP can produce similar presentation with Tolosa-Hunt syndrome (THS) if it involves cavernous sinus. A-29-year old male with persistent headache and no definite neurologic dysfunction was noted. Two weeks later, he complained of ophthalmoplegia, and his symptoms were thought to be manifestations of TH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revealed diffuse thickened, enhanced pachymeninges in left tentorium.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IHCP. We report a IHCP patient who showed very similar presentation as THS.

      • 횡 파열로 오인하게 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증례 보고 -

        김동희,곽지용,박진성,황선철,Kim, Dong-Hee,Gwark, Ji-Yong,Park, Jin-Seung,Hwang, Sun-Chu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Many types of meniscal anomalies have been reported. The authors encountered one case of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to the an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which ran up along the course of the transverse ligament. This anomalous band was detected in MRI of the knee as a horizontal tear of anterior horn of the lateral meniscus but found during the operation as a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medial meniscus.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23세 남자 환자에서 MRI 소견상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의 횡파열 소견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의 많은 형태들이 보고 되었으나 저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로 진단 되었으나 실제 관절경 소견으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부착으로 인해 오인된 경우에 해당되는 드문 경우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