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읽기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일대일 어휘 중재 사례 연구: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이연재 ( Lee¸ Yeonjae ),김희은 ( Kim¸ Heeeun ),김민하 ( Kim¸ Minha ),김명난 ( Kim¸ Myeongna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읽기 학습부진 학생에게 일대일 어휘 중재를 실시한 사례 연구로, 사전검사, 진전도 3차, 사후검사의 5가지 검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전체 어휘 검사 점수, 그리고 하위 영역인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 점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 함으로써 추후 중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S 시 소재 3학년 읽기 학습부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15회기의 어휘 집중 중재와 지속적인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검사 총점과 하위 영역별 원점수, t 점수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어휘 영역 사후검사 원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5점에서 24점 사이의 향상을 보였으며, 학생별 편차는 있었지만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의 하위 영역 점수도 향상하였다. 또한, 학생을 직접 지도한 강사의 보고를 결과와 함께 제시하여 점수 변화의 원인과 맥락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3학년 어휘 집중 중재의 효과적 방안과 어휘 하위영역별 성취, 지속적인 교육과정 중심 측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case study of one-on-one vocabulary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intervention by checking the students' overall vocabulary test scores and the scores of the sub-areas of explicit definition, situational context, and morpheme analysis scores. From May to July 2021, intensive vocabulary intervention and continuous progress monitoring were conducted for eight third-grad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S city, Gyeonggi-do. Students' total score and t-score for total vocabulary and for the sub-areas were visualized as graphs. The original score of the vocabulary area post-test showed an improvement of 5 to 24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by student, the scores of the sub-areas of explicit definition, contextual context, and morpheme analysis also improved. The report of the instructor who taught students was presented with the results to explain the cause and context of the change in sc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 for effective vocabulary intervention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by vocabulary sub-area, and continuous curriculum-based measur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임진형 ( Lim¸ Jinhyung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7-24주간 중재를 실시한 경우, 30회기 이상인 경우, 회당 1시간 이상 실시한 경우, 중그룹(8-14명)으로 집단을 구성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사회성의 하위변인 중 순응기술, 대인관계, 학업기술, 자기관리, 자기주장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designed sociality interventions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48 peer-reviewed articles including 90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meta-analysis. The effects of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affiliation, developmental period),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type of program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time per sessions, group size), and outcome-related variables. As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ociality intervention was 0.89, which i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students from inclusive classe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duced the largest effect sizes. Second, for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therapeutic programs, programs conducted for 17-24 weeks, programs with over 3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over an hour per sessions, and middle-sized group(8-14 students) interven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each variable. Third,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compliance, peer-relations, academic skills, self-management, and assertion.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김동일(Kim, Dongil),고혜정(Koh, Hyejung),신재현(Shin, Jaehyun),김이내(Kim, Ienai),김우리야(Kim, Wooliya),김붕년(Kim, Boongnyun),이기정(Lee, Kij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보다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개발된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의 타당도를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그리고 변별타당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항 간 내적 합치도는 전체 .898로 높은 편이었고, 타당도의 경우, 요인의 일차원성이 확보되어 본 검사가 단일요인을 측정하고자 함이 입증되었으며, 기초학습기능 평가체제-읽기 및 수학과의 준거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읽기와 수학의 한 영역 또는 두 영역 모두에 심각한 문제를 지닌 읽기-수학 공존 학습장애의 위험을 보이는 저성취 아동들을 적절히 변별해내는 데에도 효과적인 검사도구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는 교육현장에서 수학능력을 정형화된 연산 정확도로만 측정하기보다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문제해결능력을 점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which can predict with accuracy and measure directly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at measurement. The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In terms of validit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both criteria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across all items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 which was .898. I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yielded only one principle component and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SA-Math and maze test of BASA-Reading.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it wa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cores were found among the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math difficulties, and math-reading comorbid difficulties. Therefore,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would be able to provide a more reliable information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rather than simple calculation test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ppropriately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학생 대상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 사례연구

        김동일(Kim, Dongil),안예지(An, Yeji),조은정(Cho, Eunjung),최서현(Choi, Seohye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읽기유창성에 현저한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 3명을 대상으로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별화 증거기반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은 읽기유창성의 세 가지 구성개념, 음운규칙, 증거기반실제의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 개인의 교육적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고, 총 15회기에 걸쳐 일대일 형태의 개별 중재를 제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비롯한 진전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중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읽기유창성 및 오독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읽기유창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 정도는 참여자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읽기장애 위험학생 대상 읽기유창성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 individualized evidence-based reading fluency program to 3 middle-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ipant based on the three constituent concepts of reading fluency, phonological rules, and evidence-based practice. Total of 15 sessions were provided for each participant. Th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he change of reading fluency scores and error rates. The results showed the individualized evidence-based reading fluency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fluency of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varied by participa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n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for students at-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파닉스 교수법에 기초한 읽기·철자 통합 프로그램이 난독증 위험군 학생의 음운인식과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

        김동일 ( Kim Dongil ),김희은 ( Kim Heeeun ),조은정 ( Cho Eun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난독증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파닉스 교수법에 기초한 읽기·철자 통합 중재를 제공하고 음운인식과 읽기유창성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 교육청 S학습도움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난독증 위험군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파닉스 기반 읽기·철자 통합 중재이며, 개별화 교육으로 지도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25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매주 사례회의를 실시하였다.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초기문해와 읽기유창성 검사를 사전, 진전도, 사후검사로 사용하여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고 이들의 진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음운인식 능력의 사전 사후검사결과, 전체학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진전도는 대부분의 학생의 경우 상승을 나타냈다. 읽기유창성 능력의 사전 사후 결과 역시 전체학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12주 동안 진전도 역시 향상을 보였다. 다음의 연구에 기반하여 향후 난독증 위험군 학생을 위한 파닉스 교수법에 기초한 음운인식·철자 통합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tegrated reading and spelling interventions based on phonics teaching methods for dyslexia risk group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fluency. The study subjects were 18 students at risk of dyslexia who participated in the S Learning Help Center program of the S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 phonics-based integrated reading and spelling intervention and guided by individualized educa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25 sessions, and case meetings were held every week. We used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tests as pre-test, progress, and post-test to compare pre-post scores and analyze their progr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post examination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all grades. In addition, progress showed an increase in most students. The pre-post results of reading fluency ability also showed effective results in all grades, and progress also improved over 12 weeks. Based on the following studie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applying an integrated phonological awareness and spelling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 phonics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at risk of dyslexia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매개효과: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김동일(Dongil Kim),임진형(Jinhyung L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잠재평균과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4차년도(2016년) 데이터에서 1,126명의 학습부진 학생과 5,407명의 일반 학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SEM) 분석, 부트스트래핑, 다집단 잠재평균 차이 분석과 경로계수 차이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개념이 긍정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졌으며,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습부진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정신건강 문제 수준의 평균은 높고,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평균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으로부터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고,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으로부터 정신건강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problems on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nd test the differences of latent means and path coefficients between low achieving studen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data of 1,126 low achieving students and 5,407 students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were chosen from the fourth year survey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and SEM analysis, bootstrapping, latent mean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problems also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Comparison between a low achieving group and a group without disabilities indicated that low achieving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lower levels of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concept to school adjustment in a low achieving group was lower, while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concept to mental health problems in a low achieving group was higher, compared with path coefficients observed in a group without disabilities. From the results above, discuss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장애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연구

        김동일(Dongil Kim),홍성두(Sungdoo Hong),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장애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였다. 장애예술영재의 추정비율, 선별시기, 교육시작시기, 교육범주, 교육지원체제의 필요성, 핵심과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34명과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학생 중 장애예술영재의 비율은 약 1-5% 사이로 추정하고 있었고, 음악과 미술을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주요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개인사사제도를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핵심과제와 교육체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교원 양성이 필요하고 교사 연수시 장애영재에 대한 이해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The responses of 334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100 parent were analyzed for crosstab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teacher and parent estimated the rate of disabled arts talented were 1-5%; (2) They recognized music and fine arts were major educational subjects; (3) adaptive curriculum and individual tutor were core task and system of education for disabled arts talented; (4) we needed to train teachers for disabled arts talented and to teach the trait of disabled gifted to teachers.

      • KCI등재

        개별건물 에너지소비량 보정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

        김동일(Kim Dongil),이병호(Lee Byeong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2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40 No.1

        Building energy consumption generally depends on living patterns of residents and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Although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effect o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re is no calibration method for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Green Remodeling or BEMS installation etc., Big data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re collected and managed by 『Nation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uilding Energy』 in Korea, and they ar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libration method for individual buildings as shown as the calibration method for small-area building stocks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ims to develope a calibration method using big data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of individual buildings and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and to propose application of appropriate calibration methods for individual buildings or small-area building stocks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purpose and conditions.

      • KCI등재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중독이 있는 젊은 남자 성인에서의 공존 정신병리

        김동일(Dongill Kim),이덕종(Deokjong Lee),김진경(Jin Kyoung Kim),성고은(Goeun Seong),정영철(Young-Chul Jung)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7 중독정신의학 Vol.21 No.2

        Objectives : Young adults wi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a high preval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 however, the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digital devices-desktop PC vs. smartphone-are still under debate. Methods : Participants were 148 young male adults (mean age=23.8±2.3 years). They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General user group, Internet addiction group,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Dual addiction group. In order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devices, internet addiction severity was evaluated only based on the activity using desktop personal computers. The comorbid psychopathology-depression, anxiety, alcohol use-related symptoms, adult ADHD symtpoms (i.e., inattent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childhood ADHD symptoms -was assessed by using self-report scales. Results : On comparing the prevalence of comorbid psychopathology among the four groups, 66.9% of patients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41.7% of patients in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and 59.6% of patients in the Dual addiction group had at least one comorbid psychopathology. Compared to the smartphone addiction group,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comorbid depression and adult ADHD psychopathology. Internet addiction severity correlated with childhood ADHD, depression and anxiety. In contrast, smartphone addiction severity correlated with childhood ADHD and anxiety. Conclusion : Our results showed tha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different comorbid psychopath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