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제6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김대형,유정 한국자원공학회 202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7 No.4

        In May 2020,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6th National Program for Overseas Resources Development (2020 - 2029) corresponding wi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resources market environment and domestic industrial conditions. The policy goal of the plan is to “realize strong resources security.” The main driving strategy for its realization also specifies a “policy shift from resource development-centric to resource security.” In this study, the main directions and tasks of the basic plan were examined and differentiation and problems were derived from the existing basic plans. 정부는 국제 자원시장 환경과 국내 산업여건의 변화에 맞추어 2020년 5월 “제6차 해외자원개발 기본계획(2020~2029)”을확정 발표하였다. 금번 계획의 특징은 자원안보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본 계획의 정책목표가 “굳건한 자원안보의 실현”으로 설정된 점 그리고 이의 실현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에서도 “자원개발 중심에서 자원안보로의 정책 전환”을 명시한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계획의 주요 방향과 추진과제를 살펴보고 기존 기본계획과의 차별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석재·골재 자원정보관리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김대형,유정,최용근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4 자원환경지질 Vol.57 No.2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석재·골재를 광물자원 중의 하나로 취급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의 주정부 단위에서 광물자원 및 지질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 석재와 광물자원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광물 및 석재·골재 자원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정보는 인터랙티브 맵, 지질도, 탐사 데이터 셋, 3차원 지질모델, 광업권리, 광산 및 광산관련 보고서 또는 요약자료 등으로 지방정부 및 지질조사기관의 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국내 법률에 따라 석재·골재는 광물자원과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되며, 이에 따라 관련 정보도 한국광해광업공단, 국토교통부, 산림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통합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석재·골재 자원의 확보와 효과적 활용을 위한 종합정보관리체제의 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개편과 정보체계화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In Australia & Canada, architectural rock and aggregate are one of the mineral resources, and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provided integrated with them. In these countries, the provided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 of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geological survey organizations, are interactive maps, geological and thematic maps, exploration data set, 3 dimension geological models, minning rights status, survey reports and related papers etc. However, in case of Korea, aggregate and architectural rock are not assigned as the kind of mineral resources in accordance to domestic mining law, and related geological data and information are not provided from comprehensive mineral information system established in public geoscience organiz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and informative management are conducted separately through the different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Ministry of construction, Korea forest service, geoscience institute & Korea Mine & Reclamation Corporation. For securing the supply of architectural rock and aggregate resources,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ir development & utilization,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and governance reform for the related industry is needed.

      • Stretchable Conductive Nanocomposite for Implantable and Wearable Electronics

        김대형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Intrinsically stretchable conductors form a vital component of advanced soft bioelectronics including implantable and wearable bioelectronics. Among many nanomaterials for the composites, silver nanowires (Ag NWs) have been popular. However, achieving highly conductive and soft composites simultaneously is challenging. Furthermore, because bioelectronics is necessarily exposed to bio-fluids, preventing Ag NW oxidation and Ag ion leaching is a significant challenge. Here we have achieved a highly conductive, biocompatible, and soft nanocomposite by using silver-gold (Ag-Au) core-sheath NWs and polystyrene-butadiene-styrene (SBS) elastomer. We used the nanocomposite to fabricate a customized multi-channel soft cardiac mesh for the diseased swine heart. The mesh could be also fabricated as a wearable device which monitored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and applied electrical and thermal stimulations on the human skin.

      • 처음 발견된 "요략(要略)"에 대한 의사학적 고찰

        김대형,안상우,Kim, Dae-Hyeng,Ahn, Sang-Woo 한국한의학연구원 2004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0 No.2

        In the existing Medical Literatures in Korea and China, there is neither the same book name nor same contents of the Medical Book named ${\ulcorner}$Yoryak(要略)${\lrcorner}$, but in viewing of the different name as written as ${\ulcorner}$GyoinYoryak(敎人要略)${\lrcorner}$, it is considered that written as an unpublished manuscript-book for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hile the author, Songgyesanin(松溪散人) is even anonymous as yet, it is regarded that he was much familiar with medical science as a secluded ascetic aiming for Taoism-like Life In ${\ulcorner}$Yoryak${\lrcorner}$, the contents of Taoism Literature named as ${\ulcorner}$OjangYukbudo(五臟六腑圖)${\lrcorner}$ which was regarded that had been actually initiated since ${\ulcorner}$Euibangyoochui(醫方類聚)${\lrcorner}$ is being quoted thereat, also it attempts to combine with ${\ulcorner}$DonguiBogam(東醫寶鑑)${\lrcorner}$, the typical Medical Literature of Chosun Dynasty. With reference to Cause of Disease, since Chin Moo-Taek(陳無擇) asserted 'Theory of Three-Causes(三因說)' in his Book ${\ulcorner}$Samin Keukilbyungjeung Bangron(三因極一病證方論)${\lrcorner}$, it effects many influences to the coming generation, However, on coming up to ${\ulcorner}$Yoryak${\lrcorner}$, the medical science book of Chosun Dynasty, the 'Theory of Two-Causes(二因說)' which consisted of 'Internal Causes by Seven Emotions' and 'Exterior Causes by Six Harmful Surroundings' is also being asserted. In accordance with this Theory, it refers to the 'Seven Emotions(七情)' as the fundamental factor to possibly weaken the viscera and entrails, and also regards that the Exterior Harmful Surroundings invade to body when the viscera and entrails are under weakened condition. Therefore, since Cause of Disease naming as 'Cause Theory at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is not tolerable in such Diagnostic System, it is daringly advocating the 'Two Causes Theory', getting free from the viewpoint of 'Three Causes Theory' that Chin Moo-Taek has ever maintained.

      • "의방유취(醫方類聚)"에 인용된 "오장육부도(五臟六腑圖)"의 저자(著者)와 편제(編制)에 대한 고찰

        김대형,안상우,Kim, Dae-Hyung,Ahn, Sang-Woo 한국한의학연구원 2003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9 No.2

        ${\ulcorner}$Ohjangyukbudo(五臟六腑圖)${\lrcorner}$ is the Book Name which was recorded in ${\ulcorner}$Euibangyoochui(醫方類聚)${\lrcorner}$, and the Author had been clarified as 'Hoeum(胡?)' in accordance with those books likely as ${\ulcorner}$New Records of Tang Dynasty(新唐書)${\lrcorner}$, ${\ulcorner}$History of Song Dynasty(宋史)${\lrcorner}$ The said 'Hoeum' had displayed her activity at the Age of Tang Dynasty, as a Female Physician also a Female taoist, who retired to hermitage in Mount Taebaek. As being perceived the abstruse reasons in those scriptures named. ${\ulcorner}$Hwangjungkyung(黃庭經)${\lrcorner}$ and ${\ulcorner}$Koodo(舊圖)${\lrcorner}$, she composed the book at Daejung 4th Year of King Sun, namely AD 848 named. ${\ulcorner}$Hwangjungnaekyungohjangyukbubosado(黃庭內景五臟六腑補瀉圖)${\lrcorner}$.

      • KCI등재

        지질정보 공급자를 대상으로 한 AHP 분석을 통한 지질주제도 및 지질정보 가치평가 연구

        김대형,진수,허은녕,지환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1

        지질도 및 지질정보의 확보 및 공급은 자원개발정책과 지역개발계획의 의사결정, 지하자원 탐사, 폐기물 관리, 환경영향평가 및 연구, 교육, 관광, 국방 등의 부분에서 경제적·사회적 편익을 유발한다. 이렇듯 지질도 및 지질정보가 다양한 편익을 유발하며 활용 범위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지질도 및 지질정보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지질도 및 지질정보는 ‘정보’라는 무형자산이기 때문에 가치를 도출해 내기 어렵고, 지질도 및 지질정보가 갖는 공공성으로 인하여 편익을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질도 및 지질정보의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를 검토,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통해 지질도 및 지질정보의 경제적 가치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질도 및 지질정보의 총 가치는 4조1,286억원~5조9,105억원으로 분석되었다. Geological map and information makes various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at many sectors. Recently, developing of information managing technology such as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larges the usage of geological map and informa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economic valuation of geological map and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e analyzed the weight of attributes which compose value of geological map and information. As the result, the total value of geological map and information was estimated by 4,128.6~5,910.5 billion won.

      • KCI등재

        『국내광업발전기본계획(2007-2016)』의 추진과주요 내용

        김대형,이경한,이현복,지환 한국자원공학회 2007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4 No.6

        Recently, world’s mineral market and mining environment is faced with sudden changes. Since 2003, the world demand for minerals have increased due to world economy, especially in China, most of mineral prices rose suddenly. As environmental issue is more critical in these days, mining activity has got harder. In 2007, Korea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 Energy (MOCIE) established ‘Korea National Mining Industry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ed several mining policy priorities for advancing the korea mining industry and securing the domestic mineral supply and rational mining pollution control. 최근 국내외 광업환경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2003년 이후 중국 및 세계 경제의 활황으로 광물자원 수요가 급증하며, 공급부족 및 가격폭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광업활동에 어려움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2007년 <국내광업발전기본계획(2007-2016)>을 수립하여 국내외 광업환경의 변화와 국내 광업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원료자원의 안정 확보와 광해방지의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타이트오일 생산과 세계 석유시장의 영향

        김대형 한국자원공학회 2015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2 No.3

        ’72년 9.37백만b/d를 정점으로 석유생산이 감소하던 미국은 ’08년 6.78백만b/d로 최저점을 기록한 후, ’14년 11.64백만b/d로 생산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미국의 석유증산은 셰일자원 개발 기술 혁신에 따른 타이트오일의 생산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타이트오일은 풍부한 부존량과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비용의 감소로 생산 증가세가 유지되어 ’13년 350만b/d였던 생산량은 미국, 캐나다 등 북미지역 이외에 러시아, 아르헨티나, 중국 등상업적 생산국이 확대되며, ’20년 500만만b/d, ’30년에는 약 800만b/d 까지 생산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이러한 타이트오일의 공급 증가는 현재의 낮은 유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도 석유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The crude oil production in U.S. has decreased down to 6.78mil.b/d in 2008 after reaching the peak of 9.37mil.b/d in 1972. However, it's production has increased again to 11.64mil.b/d in 2014 due to the resilient tight oil production. For the abundant resources potential and phenomenal technological advance related to shale resources, the world tight oil production would be continued increasing from 3.5mil.b/d in 2013 to 8mil.b/d in 2030, and producing countries also be extended from U.S. & Canada, to the outside of North American countries. This growth of the global tight oil production works as the main cause to lower the current oil price, and can be the main factor also, to stabilize the price in long term bases.

      • KCI등재

        2012년 국내 광업활동과 광산물 수급구조 분석

        김대형,유정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2

        This study analyzed the supply-demand structure of mineral commodities and activities of mining in Korea, based on ‘Minerals production reporting statistics’. Production, imports, exports and domestic demand were each 7.6trillion, 24. 3trillion, 6.77 trillion and 25trillion won in 2012. Comparing pre-year, the production and exports were increased and domestic demand was decreased in 2012. Iron ore, cooper ore, zinc ore, lead ore and limestone were main commodities in domestic demand. Self-sufficiency rate of metallic mineral commodities and non-metallic mineral commodities was each 0.9% and 75% in 2012. But self-sufficiency rate of metallic mineral commodities has increasing trend. Total domestic operating mines in 2012 was 411, it also decreased 6% compare to 2011. Most of domestic mines were operated in small scale, except some limestone mines for cement manufacturing. 본 연구에서는 ‘광산물 생산보고 통계’를 기반으로 국내 광산물 수급 구조와 광업활동 현황을 살펴보았다. 2012년 국내 광산물 수급은 생산 7조 6630억, 수입 24조 2673억원, 수출 6조 7622억원, 내수 25조 227억으로 년대비 생산과 수출은 증가한데 반해 수입과 내수는 감소하였다. 내수는 동광, 철광, 아연광, 연광, 석회석등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비금속광의 자급율은 75%, 금속광의 자급률은 0.9%이며 금속광의 자급률은 전년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2012년 국내 가행광산은 총 411개로 전년과 비교하여 6% 감소하였다. 시멘트용 석회석광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내 가행광산은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