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성교육 담론의 재구성

        김대현 ( Kim¸ Daehyun ) 연세사학연구회 2021 學林 Vol.48 No.-

        1950~60년대 성교육은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은 생활지도의 지식과 교도교사 제도를 통해 교육 현장에 부분적으로 시행되었다. 더불어 성교육의 내용은 ‘성을 말하지 않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것과 강하게 연결된 이성애 결혼 위주의 섹슈얼리티 수행, 여성의 ‘순결’ 강조 등 성차별적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우생학의 영향을 받은 ‘우생결혼’에 대한 내용이 성교육 책자에 잔존하였다. 또한 정상가족의 구성을 위한 모범사례와 더불어 기피와 금지의 대상이 되는 성적 실천의 사례 또한 동시에 소개되었다. 먼저 성매개감염병은 치료 약제가 개발·보급된 후에도 그 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성교육의 논리 속에 지속적으로 노정되었다. 더불어 ‘동성애’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 기대어 ‘성적으로 미숙한’ 형태로 인지되었고, ‘성을 가급적 말하지 않는’ 관습이 한국의 바람직한 전통으로 본질화되는 과정에서 비규범적 성애·성별 실천은 정신의학계를 넘어 교육계에도 애초에 드문 것으로 주변화되었다. 이처럼 당대 성교육 논리 속 규범적·비규범적 성적 실천과 양자에 대한 해석은, 이전 시기의 우생학의 잔영과 더불어 1950~60년대에 본격적으로 수입된 정신분석학의 느슨한 틀 속에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In the 1950-60s, sex education in South Korea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ens of “guidance” and the system of “school counselors,” based on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In accordance with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which involved a “Don’t talk about sex as much as possible” attitude,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revolved around heterosexual marriage, and especially women’s chastity. Moreover, sex education imparted the idea of the “eugenic marriage,” as influenced by pre-war eugenics. Besides such exemplary cases, taboo sexual topics such as STD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or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were also introduced. Despite the invention and prevalence of STD treatments, the social stigma around STDs remained strong. Furthermore, “homosexuality” was treated as an immature stage according to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Don’t talk about sex as much as possible” attitude was essentialized as a good Korean tradition. Thus, non-normative sexual and gender practices were marginalized from the educational field as well as by psychiatrists. In conclusion, normative and non-normative sexual practices were reconstructed in the contemporary sex education in both the shadow of eugenics from earlier times and the careless form of psychoanalysis broadly accepted in the 1950-60s.

      • KCI등재

        열처리와 Shoot-Tip Grafting에 의한 감귤 바이러스 무독묘 생산

        김대현,심혜경,권혁모,현재욱,김광식,이진경,이석찬,Kim Daehyun,Shim Hyekyung,Kwon Hyeogmo,Hyun Jaewook,Kim Kwangsik,Lee Jinkyung,Lee Sukcha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2 No.1

        바이러스에 감염된 감귤나무를 생육상에서 주간 $40^{\circ}C$, 야간 $30^{\circ}C$로 열처리한 후 발생한 신초를 $0.3\~0.7\;\cal{mm}$ 로 잘라내어 기내에서 치상한 탱자 (P. trifoliata) 대목에 접목하는 열처리와 경정접목 (shoot-tip grafting)을 병행한 방법으로 무독묘 생산에 성공하였다. 감글 바이러스 즉, citrus tristeza virus (CTV), satsuma dwarf virus (SDV) and citrus tatter leaf virus (CTLV) 에 대한 무독화율은 각각 $75.7\%,\;100.0,\%\;82.6\%$ 였다. 경정접목 시 접수크기는 $0.3\;\cal{mm}$ 이하 일때 바이러스 무독화율이 높았으나 절목 후 활착율은 저하되었다. 열처리 후 경정배양 (shoot-tip culture)을 하여 1 개월 후에 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Yuzu (C. junos)는 $74.6\%$, 그리고 early satsuma mandarin (Iwasagi)은 $13.3\%$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인 rivabirin을 첨가한 후 무독효과를 보기 위하여 후대배양 중에 온주밀감의 특성상 갈변되어 고사함으로서 무독묘를 생산하지 못했다. Virus-free stocks was produced by the combination of the heat treatment of virus infected plant and shoot-tip grafting (STS). To produce virus-free stocks, the plants infected with citrus viruses were used for virus-free stock production using the modified method of STG in thermotherapy at $40^{\circ}C$ for 16 hours in the light, and at $30^{\circ}C$ for 8 hours of darkness for 4 weeks. Trifoliate orange (P. trifoliata) were used as rootstock seedling for STG. Percentages of virus-free stocks against citrus tristeza virus (CTV), satsuma dwarf virus (SDV) and citrus tatter leaf virus (CTLV) were $75.7\%,\;100.0,\%\;82.6\%$ respectively. Shoot tip size for successful STG were as small as possible. Less than $0.3\;\cal{mm}$ of shoot tips gave the hight efficiency of virus free plants but survival rates were low. And, survival rate after shoot-tip culture was analyzed and the rates were dependant on the cultivars; Yuzu cultivar showed the hight survival rate ($74.6\%$) and early satsuma mandarin (Iwasagi) was $13.3\%$ as the lowest cultivar. But citrus trees were not succeed to grown, turned brown, and died.

      • KCI등재후보

        사이비역사학자들의 이상한 민족주의 -상고사(上古史)에 숨은 군부독재의 유산-

        김대현 ( Kim Daehyun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8 學林 Vol.41 No.-

        박창암, 임승국, 이유립 등 사이비역사학자들은, 1968년대 창간된 『자유』지를 중심으로 1970~1980년대에 위서를 기반으로 한 상고사를 대중 보급하는 데 힘썼다. 그들은 반공 냉전 질서를 적극적으로 내면화하였고, 혈연적 민족주의를 종교적 숭배로 끌어올린 형태의 “민족정교(民族正敎)”를 부르짖었으며, 군부독재에서의 군의 입지와 영향력을 옹호하였다. 그들이 주장했던 “민족사관”이란 위 세 가지 요소들이 뒤섞인 역사적 구성물이었다. 이러한 사이비역사학자들의 민족주의는, 군부독재 세력이 위로부터 제작하여 주입하고자 한 ‘교도민족주의(Guided Nationalism)’의 성격을 띠었다. Throughout 1970-80s, pseudo-historians including Park Chang-am(朴蒼巖), Yim Seungkuk(林承國) and Lee Yurip(李裕?), plied their own vers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based on forged materials, establishing around the journal Jayu(自由), first published in 1968. They internalized anti-communism and the cold war order actively, urged for “national theocracy(民族正敎)” as the form of consanguineous nationalism elevated as religious worship, and defended the position and leverage of the military in the time of military dictatorship. Their so-called “Nationalistic Historiography” was a historic composition of aforesaid three factors. Therefore, the nationalism of pseudo-historians was tinted with “Guided Nationalism”, which the militants endeavored to construct and inject to people.

      • KCI우수등재

        한국 지리학에서 생물지형학적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대현(Daehyun Kim)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리학계에 생물지형학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며, 향후 한국에서 시도할 수 있는 생물지형학 연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생물지형학의 주요 용어인 ecosystem engineering과 niche construction의 의미를 논의한 후, 중국과 일본 학계에서 이들을 어떻게 번역하는지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각각 ‘생태계 공학’과 ‘지위 건설’로 번역함을 제안하였다. 한편, 우리나라 지리학계의 주요 학술지(대한지리학회지, 한국지리학회지,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국토지리학회지)에서 생물지형학적 연구 성과를 조사하였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통해 검색 가능한 총 3,383개의 논문 중 생물지형학적인 성격을 띤다고 판단되는 것은 8개로서 0.2%의 출현 확률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직 우리나라에서 생물지형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지만, 향후 한반도 지형발달사와 해안사구, 해안습지, 4대강 정비 사업 이후 하천의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서 큰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음을 논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troduce biogeomorphology to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and propose future research agendas. First, I explained two important biogeomorphic concepts, namely, ecosystem engineering and niche construction, and discussed how these terminologies have been interpreted in Chinese and Japanese. Based on this information, I suggested that each be interpreted as ‘생태계 공학’ and ‘지위 건설’ in Korean, respectively. Within the Korea Citation Index system, five major geographical journals-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and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were examined to identify how many publications could be considered biogeomorphological. I found only 8 out of the total of 3,383 articles (i.e., 0.2% occurrence probability). Finally, I proposed that, although still being in its infancy in Korea, biogeomorphology has a potential to thrive in the studies of long-term morphogenetic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hort-term changes of dunes and wetlands along the Yellow Sea, and fluvial dynamics after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 인공지능 모델과 공공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깊이별 밭 토양온도 및 토양수분함량의 예측 및 정확도 평가

        김대현 ( Daehyun Kim ),유정상 ( Jungsang Yoo ),이중용 ( Joong Yong Rh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토양은 농작물 생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작물을 효과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깊이에 따른 토양환경을 계측하고 관리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고가의 계측장비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요인과 기상환경의 불확실성 때문에 국내 농업생산량의 90%이상 차지하는 노지에서는 그러한 작업의 빈도가 낮다. 따라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면서 깊이에 따른 토양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안을 세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측장치 없이 농업에 활용할 수 있는 토양환경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기상 인자 데이터와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깊이별 밭 토양의 온도와 수분햠량을 예측하고 실측값과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평가한다. 시계열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인공지능 모델과 RNN모델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그것을 기반으로 개발된 LSTM(Long Short Term Memory)모델을 활용하였다. 공공기상대에서 취득한 기온, 습도, 일사량, 강수량, 풍속 다섯 종류의 기상 인자 데이터와 10cm, 20cm, 30cm 깊이에서의 토양온도와 토양수분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모델을 만들었으며 실제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특정 밭 지역에서 해당지역의 기상데이터를 대입하여 깊이 별 토양환경 예측값을 추출하고 실측값 간의 RMSE값을 산출하여 예측값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RNN모델을 사용했을 시 토양온도는 예측값과 실측값 간의 RMSE 값은 각각 10cm 3.21℃, 20cm 3.37℃, 30cm 3.41℃가 산출되었으며, 토양수분함량은 10cm 8.89%, 20cm 9.78%, 30cm 9.21%가 산출되었다. LSTM모델을 사용했을 시 토양온도는 예측값과 실측값 간의 RMSE 값은 각각 10cm 2.51℃, 20cm 2.77℃, 30cm 3.01℃가 산출되었으며, 토양수분함량은 10cm 4.67%, 20cm 6.45%, 30츠 5.88%가 산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기상환경 이외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더욱 최적화된 모델을 설계하여 더욱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연구가 진행 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