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복합과학으로서의 자연지리학, 진화생물학과의 만남, 생물지형학으로의 승화

        김대현,김혜진,박건우,고희종 대한지리학회 2025 대한지리학회지 Vol.60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리학계에 생물지형학을 정식으로 소개한 김대현(2021)의 내용을 확장하여, 생물지형학의 학문적 근원을 이해하고 향후 나아갈 바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세부 목적을 다루었다. 첫째, 자연지리학이가지는 ‘복합과학’으로서의 성격을 논의하였다. 토마스 쿤의 범례(範例) 개념을 바탕으로, 자연지리학이 기초과학에서 차용한 원리를 통해 발전해 온 역사를 조망하였다. 둘째, 지형학, 토양학, 생태학 등 자연지리학의 세부 혹은 연관 분야에서생물지형학의 태동에 영향을 준 인물들의 학문사적 발자취를 파악하였다. 이들의 주요 연구가 현재와 미래의 생물지형학에 제공하는 함의를 확인하였다. 셋째, 자연지리학자들이 진화생물학적 시각을 채택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생물지형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생물과 환경의 공진화 되먹임 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가설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자연지리학의 가치와 지평이 생물지형학적인 연구를 포용・확장함으로써 고양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we aimed to expand on the work of Kim (2021), who formally introduced biogeomorphology to the field of geography in Korea. Our goal wa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roots of biogeomorphology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the discipline. To this end, we addressed three specific objectives. First, we discussed the complex nature of physical geography as a multifaceted ‘composite science’. Drawing on Thomas Kuhn's concept of paradigms, we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hysical geography through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foundational sciences. Second, we identified the scholarly legacies of influential figures in related fields, such as geomorphology, soil science, and ecology, who have impacted the emergence of biogeomorphology. We examined how their major research contributed to the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for the discipline. Third, we explored the potential for biogeomorphological studies that can be conducted by physical geographers adopting an evolutionary bi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proposed three hypotheses for investigating the coevolutionary feedback mechanisms between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Ultimately, we emphasized that the value and horizons of physical geography of Korea can be enhanced by embracing and expanding biogeomorphological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인터액티브 펜-입력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특징점 추출법

        김대현,김명준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12

        인식 연구 분야에서 많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었지만, 태블릿 PC나 LCD 태블릿과 같은 펜-입력 디스플레이를 위한 인터액티브 애플리케이션들은 기존과는 다른 요구사항을 가진다. 사용자 마다 다른 다양한 스케치 스타일의 대해서 세그멘테이션 및 특징점 추출을 그림을 그리는 동안 실시간에 안정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본 논문은 사용자로부터 자유로이 입력된 펜 입력을 분할(segmentation)하기 위해 필수적인 곡률(curvature)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국소적인 모양 정보(shape descriptors)만을 사용하므로 펜 입력동안 곧바로(on-the-fly) 곡률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3차원 스케치 기반 모델링 애플리케이션에서 펜 마킹 인식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exist many feature point detection algorithms that developed in pattern recognition research. However, interactive applications for the pen-input displays such as Tablet PCs and LCD tablets have set different goals; reliable segmentation for different drawing styles and real-time on-the-fly feature point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a curvature estimation method crucial for segmenting freehand pen input. It considers only local shape descriptors, thus, performing a novel curvature estimation on-the-fly while drawing on a pen-input display. This has been used for pen marking recognition to build a 3D sketch-based modeling application.

      • KCI등재

        대순사상의 궁극적 실재론 연구 : 인격성과 이법성의 변증법적 지양과 종합을 중심으로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5 대순사상논총 Vol.24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operty of Daesoon thought in theory of God. The difference with precedent research is that this study catch the point in which theism as theology conflicts ontology as philosophy. It is elusive without philosophical analysis to detect this point for reasons of religious expression on scriptures. To find this point is beginning of academic communication at religious position. So I tried to draw boundary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in Daesoon thought so as to apprehend Daesoon thought treats the contradiction of that. The contradiction is found that hierarchy between Sangje and taegeuk reverses on Daesoon thought. Fundamentally two substance can’t be arranged to ontology but only one can be. It seems that Daesoon thought has got antinomy. However superiority of Daesoon thought is appeared at this point. The antinomy is just the process to absolute truth of Tao. That is a progressive system of thought in both 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organized with five items. First is to get new direction to study of Daesoon thought to catch the clash between theology and ontology. Second is that Daesoon thought can communicate the mainstream philosophy like Hegel’s while the argumentation makes progress with Hegel’s thought. Third is that Daesoon thought has originality in ontology of tao, mugeuk, tageuk as compared with neo-Confucianism. Forth is that theology of Daesoon thought has the possibility to peace among religions. Fifth is that Daesoon thought transcends religion and philosophy to absolute truth. Particularly, the noteworthy item is about peace among religions as theme of religious practice as the needs of times. The conflict of religion is very serious impact to historic future. So Daesoon thought suggests that all the religions harmonize with each other in universality and respect each other in distinctiveness. It makes it possible to aims for world peace beyond theory to practical orientation on religious creed. In history of philosophy the dialetic of Hegel is the very adequate to explain that principle. Hegel argued that human mind can reach to the absolute knowledge at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e elucidates the process that mind attain the absolute knowledge through movement of negation at 『Phänomenologie des Geistes』. The dialetics leads all the process of mind to finality of the absolute spirit.

      • KCI등재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간 주체(主體)에 관한 연구 : 인존(人尊) 개념을 중심으로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6 대순사상논총 Vol.26 No.-

        ‘In-Jon(人尊)’ is one of a concept which constitute the mainstay of Daesoon thought. To be superficial, the concept is appeared to be limited at a area of anthropology, but In-Jon is a large concept which includes ontology and epistemology. Because the essence of human being is connected with God and the such possibility is related to the mission of human being’s subject who exists in world. Advanced researches to analysis of in-jon tend to focus on rise of human status but this study do on universal subject not particular subject. This is to elaborate the point of issue. The point of view as rise of human status overlooks problem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entities. who ingenerate hierarchy. In-jon is the universal subject of philosophical subject concepts which western philosophy have taken as main problem since Descartes. So we have to consider In-jon to be conceptual continuity concerning stream of history of ideas and communicate with ideas. A precedent study on ‘injon’ concept has weak conceptual analysis, which only emphasizes the greatness of mankind as compared with others. But that can’t reveal In-jon based on the Daesoon thought. So I try to engraft the concept on development of subject ideas to get academic objectivity. In-jon is great in having universal subject to expand the authority of God to all creation. That is the last goal which subject can reaches through the development. Considering this regard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is very encouraging and significant. Western philosophy has important philosopher of the three, Descartes, Kant, Hegel. Those are a spectrum who show an aspect of subject ideas. The subject idea has become the middle of philosophical system since Descartes in modern. It is the right and necessary process to philosophy because human being has spirit or reason connected with God. So In-jon in Daesoon thought is academic concept comprising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roperties. So I try to analyse In-jon through that and have In-jon join the ranks of mainstream academics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과 하이데거의 ‘양심’ 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 근원을 향한 ‘양심’의 회귀적 특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8 No.-

        본고는 대순사상의 ‘양심(良心)’ 개념을 ‘근원을 향한 회귀적 특성’이라고 정의한다. 양심이라는 한 개념의 지평은 인간 존재자의 근원에 대한 이탈과 회귀라는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인간 완성이라는 수도의 목적으로 이어진다. 달리 말해 양심은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늠하게 하고 그 잠재적 가능성의 발현을 근원으로의 회귀라는 개념으로 이끌어간다. 근원을 사이에 둔 이탈과 회귀 가운데서 양심은 인존적 인간의 주체적 힘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대순사상의 ‘양심’ 개념은 대순사상의 주체 개념인 ‘인존’과 ‘자유의사, 성사재인’과 체계적 구도 속에서 연결되며 이러한 주체의 특성이 하이데거 실존주의 체계의 주체가 가진 현대적 특성과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피투의 사실성과 기투의 실존성이라는 인간 현존재를 하이데거는 인간의 숙명이라고 보고 자기 자신의 고독한 실존적 구축 속에서 자신을 회복하는 것으로 인간 실존을 규명하였다. 이에 대해 대순사상은 하이데거의 실존적 인간의 내던져짐과는 달리 그 궁극적 실재의 근원을 가지면서 그 근원 자체를 주체 내부와 합일된 상태의 인간을 이야기한다. 이를 인존의 신명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독자적 주체도 아니며 그렇다고 근원에 종속된 주체도 아니다. 근원을 제시하지만 합일되어 있으므로 그것은 종속이 아닌 자유의사이다. 하이데거의 실존적 주체가 가진 자율성과 독자성을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근원을 제시하는 중층적 체계는 대순사상이 가진 독특한 현대적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In this research, I define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as the ‘Restorative capability of returning to one’s roots.’ The notion of conscience forms a structure of separation and return, and it is connected to the ascetic aim of realizing human perfection. The conscience opens up potential possibilities and leads realization of potential possibilities by returning to the the point of origin. In the middle of separation and return, the conscience acts as the power of subjectivity possessed by human beings which is known as ‘In jon (Human Nobility)’ in Daesoon thought.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is connected with the subjectivity of In jon and free will as well as the character of subjectivity. This shares commonalities with critical thinking, modern characteristics, and the subjectivity of Heidegger’s existentialism. Heidegger describes human fate from an existentialist vantage point using terms such as dasein, Geworfenheit, and Entwurf, and establishes human existence as an act of self-recovery from within in a lonely existential establishment. Daesoon thought implies that humanity is the root of ultimate reality, and this description is in sharp contrast with the thrownness (Geworfenheit) of Heidegger’s subjectivity. Therefore, Daesoon thought can be seen as unique in its characterization of humanity as being connected to the root of ultimate reality, autonomy, and independent existence.

      • KCI등재

        헤겔의 노동(勞動, Arbeit) 개념을 통해 본 천지공사(天地公事) 연구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2 No.-

        본 논문은 헤겔이 말한 노동(勞動, Arbeit)의 개념이 인간 실존에 내재한 무한성 구현의 근본 기재라는 이론에 착안하여 삼계를 상생(相生)으로 소통시킨 증산(甑山)의 천지공사(天地公事)를 노동의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헤겔이 주체의 자유와 해방의 가능성을 노동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몸으로 강세한 절대자 증산이 지향한 음양합덕(陰陽合德)ㆍ신인조화(神人調化)ㆍ해원상생(解冤相生)ㆍ도통진경(道通眞境)의 사상을 근거로 하여 천지공사를 노동의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목할 점은 절대자(絶對者)에게 노동이 발생하는 사태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노동은 실존계의 인간에게 발생하는 개념이다. 이념계와 자연계 사이 즉 천지 사이에 있는 인간이 무한(無限)과 유한(有限)을 이어 구체적인 산물(産物)을 만들어내는 일이 노동이다. 근대적 의미의 노동은 수동적 활동이 아닌 주체적 활동이며 주체가 자신을 무한성을 향해 확장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노동이 절대자에게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실존에 대한 무한성 구현을 향한 형이상학적 패러다임의 변혁이 시작된다. 절대자의 노동 발생의 시점이 곧 우주 변혁의 시점인 것이다. 이러한 절대자의 노동 발생은 분열에서 통합이라는 천지인(天地人) 삼계(三界)의 상생적 소통을 통한 삼계의 질적 균등성을 형성한다. 부동의 원동자로서 초월적 세계에서 현상 세계를 수직적으로 조화(造化)한 구천대원조화주신(九天大元造化主神)에게 노동이 발생하는 것은 그가 실존(實存)의 위치로 하강하여 삼계에 절대성을 전이(轉移)하여 통일(統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절대자로서의 상제에게 노동은 곧 실존의 자격으로 인세에 행한 직접적 소통이자 그들과의 합일(合一)이며 천지공사가 바로 절대자의 그러한 실존적 노동에 해당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Kang Jeungsan’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Hegelian concept of ‘labor (arbeit),’ which is the fundamental medium in which humans substantialize their own absoluteness in an existentialist context.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performed by Jeungsan enabled Heaven, Earth, and Huma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armony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As Hegel found the possibility of freedom and emancipation of human subjects through labor and Jeungsan exercised His will to free and emancipate human beings, comparative thinkers are led to recognize a relationship between Hi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Hegelian concept of labor. The key point of this paper centers around articulating the meaning of the precise situation wherein labor occurs for the Supreme Being. Labor is a concept that occurs for real-live humans. Human beings can be said to exist between the ideological world and the natural world, or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this dichotomy creates a specific product given the interplay of infinitude and finitude that it entails. In other words, labor is not a passive deployment but is instead a subjective development. From the point wherein this labor occurs for the Supreme Being, a paradigm shift towards unity begins throughout the universe. The occurrence of God’s labor happens at a time of great transformation. These occurrences of God’s labor form the communication among Heaven, Earth and Humanity and form a qualitative equality.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God is far from the world of ideology and has come into the world of finitude means that God conveys His absoluteness to the world of finitude. Therefore, the work of God on Earth builds the world of Heaven on Earth. This can also be seen as the Sangsaeng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 KCI등재

        들뢰즈 체계의 형성 배경에 대한 연구 : 칸트 선험철학 체계 그 심연으로부터의 역류

        김대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7 No.-

        본 논문은 들뢰즈 체계의 형성이 칸트 체계의 ‘순수이성의 이상’이 역류한 결과임을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의 주저인 『차이와 반복』 내에서 그의 체계를 해석하는 주요 키워드를 포착하고 이것을 통해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주의 체계와 칸트의 선험철학 체계 사이의 상호 변양의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들뢰즈 체계를 해석하는 선행연구 가운데 반헤겔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경향이 있는데 들뢰즈가 구축하고 있는 사유의 전개 방식을 직접적으로 추적하기 위해서는 그 출발점을 칸트로 삼아야 함이 타당하다. 근본적으로 들뢰즈는 사유의 전체 지반을 두고 볼 때 헤겔과 출발점에 있어 다르다. 물론 헤겔의 정신철학 내부에 담겨 있는 변증법적 생성의 힘을 들뢰즈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이 적용되는 체계적 환경이 이미 다른 것이다. 헤겔은 의식과 세계의 선행된 기원으로부터 출발하는 원본과 복사본의 체계라면 들뢰즈는 선행된 기원으로부터 출발하지 않고 오직 복사본으로부터 출발한다. 들뢰즈 체계의 이러한 특성은 경험주의의 관념적 유희의 권리에 있다. 그의 저서에서 그가 경험주의를 언급하고 경험주의의 전통을 수용한 칸트를 언급하고 자신의 철학을 초월적 경험주의라고 명명하는 것을 보면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칸트 선험철학 체계의 역류 결과로서의 들뢰즈 체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그 역류 과정을 조감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흐름이다. 칸트 체계를 역류하는 과정에서 칸트가 조율해 놓은 경험주의와 합리주의의 절묘한 동거와 그로부터 얻어지는 현실적 인식의 적확성은 들뢰즈에 의해 파괴되고 뒤섞이면서 경험 세계의 풍요의 환영으로 변양된다. 인식의 과학적 적확성으로부터 풍요의 환영, 들뢰즈의 입장에서 인식 체계를 조율하는 두 방식에 대해서 철학자는 선택의 권리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정당성의 문제이기보다 의식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를 기준으로 스스로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의 문제인 것이다. 들뢰즈의 선택은 결국 칸트가 숨겨둔 심연의 판도라 상자를 열고 현실의 표층으로 상승시킨 결과를 낳는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formation of Deleuze’s system is a result of a back flow of the ‘ideal of pure reason’ in Kant’s system. I will try to seize upon the keyword in his main book,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examine the aspect of mutual transformation between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and Kant’s transcendentalism. When analyzing Deleuze’s system, most researchers tend to focus on anti-Hegelianism, but it is proper that Kant be adopted as the start when tracing the way of deployment directly. Fundamentally, Deleuze is different from Hegel in his approach to observing entire ground of thought. Even if Deleuze surely has the capability of becoming in the dialectical context, his systemic environment wherein dialectics is applied is different even at the onset. While Hegel follows the way of origin and copy or a system that begins from a preceding point of origin, Deleuze follows a way of copy and recopy or a system that begins without a point of origin. This characteristic of Deleuze’s system originates directly from idealistic play. In fact, we can anticipate and identify in his book that he refers to Kant who accepted the tradition of empiricism. Therefore,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Kant’s influence on Deleuze’s system. While tracing ideas back to Kant’s system, the cohabitation of empiricism and rationalism, which Kant felicitously revoiced, there emerges a definitude of world recognition. This occurs through cohabitation, and this is both deconstructed and integrated by Deleuze, and therein definitude is turned into a vision of prosperity. To the vision of prosperity that spans definitude to recognition, a philosopher has the right to select a philosophical system because selection methodology in philosophy is not a problem of legitimacy so much as the needs of the times. Deleuze’s choice resulted in the opening of pandora’s box in an abyss and secret contents have in turn risen shar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