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소련 지역 고려인 독립운동가 유해 봉환의 의미와 과제

        김대용 역사와교육학회 2024 역사와 교육 Vol.38 No.-

        한국인들은 1860년대 이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지로의 이주를 필두로 유럽, 동남아시아, 남미지역 등 전세계로 이주가 이어져 현재 750만 명의 해외 동포들이 산재해 있다.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는 일찍이 해외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한인사회가 크게 팽창하였고, 시베리아와 러시아 각지로의 이주가 진행되어 20만 명에 달하는 한인들이 러시아 전역에 거주하게 되었다. 그러나 1937년 강제이주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구소련 지역에 거주한 한인들은 해방 이후에도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나 소련 국민으로의 법적 권리도 부여받지 못한 채 오랫동안 거주해야 했다. 구소련 지역의 한인들은 고려인으로 불리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해방된 조국이 있었으나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지역에서 귀환할 수 없었다. 1991년 구소련이 해체되면서 소련 연방을 구성하고 있던 공화국들이 독립국가가 되면서 대부분의 고려인은 해당 국민이 되었다. 국가보훈부에 의하면 독립유공자의 약 26%가 해외에서 활동하였으며, 구소련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유공자는 174명에 이른다. 이들 중에는 국내로 귀환하지 못하고 현지에서 타계하여 유해가 남아있다. 1946년 삼의사의 국내 봉환을 계기로 1993년 중국 상하이 만국공묘에 안치되어 있던 임시정부 요인 5인의 봉환 등 최근까지 148위의 유해가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묘지 등에 안장되었다. 현재 구소련 지역에는 12개의 묘지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외 추모 성격의 추념탑⋅비가 건립되어 있다2019년 카자흐스탄에 안장되어 있던 계봉우, 황운정은 공식 절차를 거쳐 모국으로 봉환한 경우로 현직 대통령이 국외 독립유공자의 유해 봉환식을 주관하고, 대통령 전용기를 이용해 국내로 유해를 옮겨온 이례적인 일이었다. 대한민국 정부가 국외 독립유공자를 국내로 봉환하여 국립묘지에 안장하는 일은 독립유공자에 대한 예우로 당연한 일이다. 국외에 안장된 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 노력과 함께 예우를 다하는 유해 봉환이 장기적인 과제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the 1860s, Koreans have 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Russi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Europe, Southeast Asia, and South America. Currently, 7.5 million overseas Koreans are scattered.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the Korean community expanded greatly as it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migration to Siberia and Russia proceeded, and 200,000 Koreans lived throughout Russia. However, due to forced migration in 1937, Koreans living in the former Soviet Union regions such as Uzbekistan and Kazakhstan, had to live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granted the right to move freely after liberation or legal rights as Soviet citizens. Koreans in the former Soviet Union were called Goryeo peoples and had a liberated country after World War II, but could not return from Central Asia and Russia. As the Soviet Union was dissolved in 1991, the republics that made up the Soviet Union became independent states, and most Goryeo peoples became citizen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bout 26% of the independence patriots were active overseas, and 174 of them were active in the former Soviet Union, among whom the remains were not returned to the country and died locally. In 1946, with the repatriation of three patriots to Korea, the remains of the 148th place were buried in the National Cemetery until recently, including the repatriation of five temporary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enshrined in the mankukgongmyo of Shanghai, China in 1993. Currently, 12 cemeteries are identified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other memorial towers and monuments are erected In 2019, Gye Bong-U and Hwang Un-jeong, who were buried in Kazakhstan, were repatriated to their home country through official procedures. This was an unusual case in which a sitting president hosted a ceremony to repatriate the remains of overseas independence patriots and transported the remains to the country using the presidential plane. It is natural fo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repatriate foreign independence patriots to Korea and to bury them in the National Cemetery as a courtesy to the independence patriots. Efforts to discover independence activists buried overseas and the respectful repatriation theremains should be pursued as a long-term task.

      • KCI등재
      • KCI등재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김대용,박재국,양한재,최진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ategorize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and to identify the local residents'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and the influenc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pproval of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Metho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168 residents in Seoul. The analyze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the recognition of special schools was classified into “Positive impact of special schools”, “Situation of Special Schools”,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existence measures with local”. According to the classified factors, 'the pursuit of practical benefit type' was 68, 'the local conditions type' was 50, and 'the educational right type' was 50.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school near the place of residence showed positive influences such as 'positive influence', 'special education', 'rights', 'self disability' and 'family disability'. [Conclus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near the place of residence, local residents need to be positively aware of the impac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and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are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 및 유형화하고,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요구사항과,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 찬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지역주민 총 168명이며, 자체 개발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빈도 분석, 요인 분석 및신뢰도 분석, 교차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군집 분석, 이분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특수학교 설립에대한 인식을 요인분석을 통해 ‘긍정적 영향’, ‘특수학교 실태’, ‘특수교육대상자의 권리’, ‘지역상생방안’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요인에 따라 실리추구형은 68명, 지역여건형은 50명, 교육권리형은 50명이 분류되었다.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은전체 변수 중 긍정적 영향, 특수교육 실태, 특수교육대상자의 권리, 본인의 장애 여부, 가족의 장애 여부, 공시지가 인지여부가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 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의 수월성을위해서는 장애학생 및 특수학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사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
      •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대용,정주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200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4 No.2

        Background: The diseases are getting increasingly chronic as the fast development of medical and scientific technical advances prolong the human life span. Among many chronic diseases, the apoplexy leads to partial paralysis, speech disorder, perception disorder and paresthesia and motor disturbance. It also causes mental disorder to patients. This research was aimed to check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apoplexy patient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factors and disease characteristics. Method: Applying the Beck's depression measurement, we surveyed the depression level of 150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have been currently taken care of by the departments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rehabili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Busan. Results: According to this survey, 84 out of 150 patients are estimated to be depressed, accounting 56% of the total samples. The depression level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factors is higher in patients who are older, separated from spouse and who have low education level and financial dependence on offsprings. The depression level related to th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is higher in patients who have multiple strokes, long term illness, bilateral paralysis, and other neurological sequelae (particularly gait disturbance).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 that poststroke patients are highly likely to suffer from depression by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and neurological manifestation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oststroke patients need not only medical treatments and rehabilitation procedures but also more proactive mental remedies and social supports considering patient's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