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開化における金玉均と福沢諭吉の相互認識

        김남은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7 No.-

        19世紀中葉以来、西洋列強の動向と深く関わりながら近代日韓の相互 認識が形成されることとなる。これは西洋化․近代化の達成度から評価されるものであって、それまでのあり方とは決定的に異なるものであった。それゆえ、本稿は西洋文明の導入による自国の近代化を目指していた金玉均と福沢諭吉を考察の対象とすることで、彼らは「伝統から近代への転換という潮流にどのように対応しようとしたか」という問いに答え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具体的には、19世紀後半における朝鮮をめぐる国際情勢に着目しながら、日本を利用しつつ日本をも乗り越える「力強い現代的国家」を目指し朝鮮近代を主導した金玉均と、「援助」というきわめて具体的な対朝鮮政策をもって「朝鮮の近代=日本化」をはかった福沢の相互認識を明らかにしている。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분석 : 가정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김남은,허영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를 분석하여 초등 학교 실과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현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의 내용을 비교하고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의 타당도는 CVR 지수 0.93으로 충분히 타당하다고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 내용과 관련된 SDGs 목표는 17개 목표 중 11개, 169개 세부목 표 중 23개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에서 SDGs 주제별 관련된 가정생활 영역은 환경적 관점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적 관점이 14개, 빈곤과 기아종식이 3개, 경제적 관점이 3개였다. 셋째, SDGs 세부목표 중 양성평등은 5학년, 6학년 모든 실과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깨끗한 물과 위생,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경우도 대부분 제시되어 있다. 반면, 불평등 감소, 기후변화와 대응, 산업·혁신·사회기반 시설,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목표의 경우 지속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함 에도 불구하고 5학년에만 제시되고, 6학년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in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basic data so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realized in pract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a total of 10 people was constituted, and the CVR result after analysis was verified to be sufficiently valid as 0.9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11 out of 17 goals and 23 out of 169 specific goals were related to the SDGs goal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Second, in practical art textbooks, the number of contents in the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SDGs subject classification was 22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14 from the socio-cultural point of view, 3 from the eradication of poverty and hunger, and 3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ird, gender equality among the SDGs targets was presented in all subjects and textbooks in grades 5 and 6, and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also presented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equality reduction, climate change and response, industry, innovation, social infrastructure, decent jobs, and economic growth goals, they are presented in the 5th grade and not in the 6th grade textbooks, despite the need for continuou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eal with them for next curriculum.

      • KCI등재

        모바일 앱 업데이트에 따른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 모바일거래시스템 리뷰 분석을 중심으로

        김남은,노미진,한무명초,김양석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6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증권, 교육,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앱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사용자의 신규 요구사항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데, 업데이트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것은 성공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리뷰에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는 모바일거래시스템 (Mobile Trading System; MTS)의 사용자 리뷰를 수집ㆍ분석하여 앱의 업데이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Google Play Store에서 제공하는 MTS 앱 중에서 리뷰 개수가 가장 많은 ‘키움증권 영웅문S’을 선정하여 리뷰 데이터를 수집한 후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토픽을 추출한 뒤 앱 업데이트 전, 후 토픽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앱 업데이트 후 리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접속 오류 토픽은 점점 안정화된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토픽은 앱 업데이트 후 다양한 불만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취할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MTS 앱의 경우 화면 구성 방식이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이 초기화가 되었을 때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일관되게 유지할 방안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rapid adoption of smart devices inrecent times, the mobile internet-based app market has witnessed significantgrowth across various sectors such as securities, education, and manufacturing.Generally, providers of mobile app services strive to address users' new demandsand challenges by updating their software. Analyzing user responses to updatesis crucial for successful maintenan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analyze user reaction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pplied to user reviews.To achieve this, from the Mobile Trading Systems (MTS) available on the Google Play Store, we selected "Kiwoom Securities Hero Moon S" due to itshighest number of reviews to gather review data. We employed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technique to extract topics from thereviews and analyzed the trend of topic changes before and after app updates.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pic of connection errors, which dominated post-update reviews, showed a gradually stabilizing trend. However, the user authentication topic indicated an increase in diverse complaints after the app update, highlighting the need to actively address these issues. Additionally,in the case of MTS, the screen layout is very crucial to users, and numerous complaints arose when users' configured screens were reset.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maintaining a consistent user interface is essential for usersatisfaction.

      • KCI등재

        양식 넙치에서 Parvicapsula anisocaudata의 감염 사례에 대한 보고

        김남은,김아란,노형진,강경식,김도형,Kim, Nam Eun,Kim, Ahran,Roh, Heyong Jin,Gang, Kyoung Sik,Kim, Do-Hyung 한국어병학회 2018 한국어병학회지 Vol.31 No.2

        Parvicapsula anisocaudata, a myxosporean parasite, is presumably one of causative agents of emaci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unusual abdominal distension due to exceptionally enlarged liver in farmed olive flounder.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causative agent, bacteria and nucleic acids of virus that are possibly present were attempted to isolate from internal organs of five fish sampled from a fish farm in Jeju. Although a few bacterial colonies were isolated from some samples, there was no evidence that fish were primarily affected by virus and/or bacteria. From histopathological analysis, myxosporean were found in almost all internal organs, particularly in the stomach. The causative agent was identified as P. anisocaudata by sequencing a part of small subunit rRNA. This study contains a very unusual case of olive flounder heavily and systemically infected with P. anisocaudata, showing excessively enlarged liver with a small amount of ascitic flui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 영역 내용의 세계시민교육 연관성과 초등 실과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김남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UNESCO의 교육 2030에서 공동 지표로 채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이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실과 교과서에 어떻게 내용으로 제시되 고 있는지 알아보고 실과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요소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를 분석 준거로 하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성 분석법으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30개의 성취기준 중 10개의 성취기준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요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관련 내용요소는 다양성, 정체성, 환경에 대한 관심, 차이와 다양성 존중, 협력과 문제 해결, 적극적 참여와 실천이다. 분석한 2015 개정 실과 교과서는 5학년 6권, 6학년 6권으로 총 12권이다. 나의 성장과 발달 단원은 다양성, 자아정체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인간과 공동체의 영향과 가정생활문화와 안전 단 원은 다양성, 차이와 다양성 존중, 환경에 대한 관심, 인간과 공동체와의 연결과 영향, 적극적 참 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다. 자립과 생활관리 단원은 지속가능발전, 환경에 대한 관심, 비판적 사고, 윤리적 책임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협력과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 탐구성 분석 결과 2015 개정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영역은 0.23으로 나타나 비 탐구적인 성 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판적 사고, 윤리적 행동, 적극적 참여와 실천 등의 역량을 함 양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교과서 서술 방식이기에 차기 교과서 개발에는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가 실과교과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이 되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실천적 교육 방법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adopted as a joint indicator in UNESCO's Education 2030, i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extbooks. To this end,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and 2015 textbooks were analyzed by Romey's Inquiry Analysis Method. As a result, 10 out of 30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lated content elements were diversity, ident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e research subjects are 12 textbooks in 5th grade in 6 volumes and 6th grade in 6 volumes. Growth and development unit was related to diversity, self-ident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the influence of people and communities. Family life culture and safety unit was associated with diversity,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onnections and impacts between humans and communities,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The self-reliance and life management units were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rn for the environment,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the family life field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0.23 as a whole, showing a non-exploratory tendency. Since this is a textbook narrative method that is not suitable for cultivating competency such as critical thinking, ethical responsibilit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practice. because the next textbook narrative development will require a discussion on th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nstruc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subsequent studies on education methods that can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ractical subjects will continue.

      • KCI등재

        근대 일본과 아시아주의 - 탈아(脫亞)와 입아(入亞)를 중심으로 -

        김남은 일본사학회 2016 일본역사연구 Vol.44 No.-

        Asianism that appeared in Japa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was the means to yield ‘power’ in the process to contest the West, for integration of Asia, and to establish self-identity. The justification of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 superpowers was also the Asianism,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sianism were in double-sidedness that Japan was regarded as a member of the West or a member of Asia. Namely, Japan was showing twofold features to vent ‘contempt’ for and ‘solidarity’ with Asia at the same time shuttling between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Beyond Asia’ meant that Japan needed to get out of the influence of the uncivilized Asian countries that affected Japan and it wanted to be in the same boat with the Western civilized country, and it was so called ‘Beyond Asia and Entry to Europe’. On the other hand, ‘Entry to Asia’ meant while leaving the identity of Japan in Asia, the Asian countries should have cooperated and banded together with each other under the leadership of Japan in order to resist the Western Powers. However, in spite of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e point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y started from the common motives to resist and overcome the West. Second,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looking for the spatial oneness of the region in the elements of civiliz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were in the spaces of the different civilizations. Third,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cognizing that hierarchical order with Japan at the top was the alternative regional order in Asia. In this aspect, ‘Beyond Asia’ and ‘Entry to Asia’ were the space that constituted the two sides of the same action which are complementary and not opposite to each other, and it was packed with the name of Asianism. Like the above, the modern Japan was shuttling between the spaces where it could selectively take ‘Beyond Japan’ and ‘Entry to Asia’ that were Asianism and while granting motives to their foreign actions they were getting soaked with the blind idea that they were a superior nation born with the destiny to govern Asia.

      • KCI등재

        일본이 바라보는 한반도 평화: 대북인식과 정책을 중심으로

        김남은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공간 Vol.32 No.-

        The perception that Japan is alienated from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can serve as a major obstacle since it limits the role and consensus formation capability that Japan can contribute to. This paper focused on the essential problem that Japan’s role in the peace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is limited or marginalized while it is a major partner of the process. In addition, the paper tried to answer the puzzle through analyzing Japan’s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mitations and dilemmas of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Japan’s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ed on its maximal pressure strategy, has been a stumbling block to its flexibility in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lso used a parallel strategy of dialogue and pressure, but superficial measures such as easing the terms of the talks without changing the policy have failed to make the North Korea back to the table. 본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과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인식은 일본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공헌할 수 있는 역할 및 공감대 형성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본이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력대상국임에도 불구하고 실현과정에 있어 그 역할이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에 주목했다. 그리고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른 일본의 대한반도 인식과 대북정책의 한계와 딜레마를 통해 문제의 답을 제시하고 있다. 강경한 최대압박을 기조로 내세운 일본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서 유연한 정책으로 대처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으 며, 또한 일본은 대화와 압박의 병행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지만 정책변화 없이 회담 조건의 완화와 같은 피상적 조치로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 수 없었다.

      • KCI등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영역』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김남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and improving the safety education contents which help practically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ʻfield of home lifeʼ of 2009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12 types of middle school textbooks: in total 24 books written by 12 publishers in term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analysis criteria i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referring to preceding studies regarding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seventh safety education standard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With such analysis criteria, all word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safety education of analysis criteria were extracted from each textbook, such as words directly mentioned as ʻsafetyʼ, words mean as ʻpsychological safetyʼ and ʻhappy lifeʼ, words related to ʻattentionʼ, ʻnoteʼ, ʻstabilityʼ etc. Under the analytic frame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a 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producing the frequency and percent of those words. The textbook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pages regarding safety education is 336.3 pages, as 9.8% in total 3,412 pages of 12 type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s following the analysis of each textbook volume of the proportion in the content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224.9 pages are on the first volume and 111.9 pages are on the second volume. As grades increase from year one to year three, the proportion of safety education in homeeconomics textbooks is decreased. The highest number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unit is ʻSelf-management of youthʼ which includes three parts of safety education. In the case of a unit for emphasizing practice, experience and practical exercise such as ʻLife of youthʼ and ʻPractice of eco-livingʼ, safety education content in the area of ʻlife safetyʼ are mostly contained. Safety accidents related to the most student experienced, Household accidents (1.4%) and experiment or practice accidents (0.3%) are presented in a low figure. The contents of universal housing and school violence are duplicated on first and second volume of text. The most presented safety education content in the 12 types of textbooks are proper sexual attitude, dietary problems, family conflict and food choice. The least common contents are dangerous drugs, family welfare, internet addiction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s this study is to analyze 12 textbooks developed in 2009 revis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compare it with the textbook written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and to clarify the contents system of safety education and to avoid duplication of cont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support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ʻ가정생활 영역ʼ에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중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안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9개정 교육과정으로 12개 출판사에서 각각 집필된 중학교 교과서 12종 총 24권이다. 분석기준은 교육부(2015)에서 제시한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바탕으로 안전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학자들의 검토를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으로 각 교과서를 읽고 ʻ안전ʼ이라고 직접 언급한 단어, ʻ심리적 안전ʼ과 ʻ행복한 삶ʼ을 의미하는 단어, ʻ주의ʼ, ʻ유의ʼ, ʻ안정ʼ과 관련된 단어 등 안전교육 분석기준의 내용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을 모두 추출한 후 가정교과서 단원에 따른 안전교육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빈도와 퍼센트를 내는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교과서 분석결과, 안전교육 내용 쪽수는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의 총 쪽수 3412쪽 중 336.3쪽으로 9.8%로 나타났고 권별로 안전교육 관련 내용의 비중을 분석하여 보면, 1권의 경우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224.9쪽, 2권의 안전교육 내용 비중이 총 111.9쪽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정 교과서의 안전교육 비중이 낮아졌다. 안전교육 내용 가장 많은 단원은 ʻ청소년의 자기관리ʼ 단원으로 3개의 안전교육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고 ʻ청소년의 생활ʼ, ʻ녹색생활의 실천ʼ 단원 등과 같이 주로 실천과 체험, 실습이 강조되는 단원의 경우 ʻ생활안전ʼ영역의 안전교육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당하는 안전사고와 관련 있는 가정 내 사고(1.4%), 실험・실습사고(0.3%)등에 대한 내용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유니버설주거와 학교폭력 내용은 교과서 1권과 2권에 중복해서 제시되었다. 12종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른 안전교육 내용은 바람직한 성태도, 식생활문제, 가족 갈등, 식품의 선택이며, 가장 적게 다룬 안전교육 내용은 유해약물, 가정 복지, 인터넷 중독,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이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발된 교과서 12종을 분석하였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안전교육의 내용 체계를 분명히 하고 내용의 중복을 피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를 보조할 수 있는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