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확장자료를 이용한 지역빈도분석 : II. 미계측 유역의 홍수빈도 추론

        김남원,이정은,이정우,정용,Kim, Nam Won,Lee, Jeong Eun,Lee, Jeongwoo,Jung, Yong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5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서의 빈도홍수량을 추정하기 위해 지역홍수빈도분석의 표준방법인 지수홍수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충주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공간확장한 22개 지점의 연최대홍수량 자료을 활용하였으며, 구축된 다지점의 자료계열을 이용하여 지수홍수법의 주요인자인 평균홍수량의 지역화 과정를 수행하였다. 지역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홍수량과 유역면적과의 관계가 멱함수 법칙(power law)를 따른다는 이론에 근거한 경험관계를 유도하였다. 충주댐 상류유역 전체를 하나의 그룹, 3개의 중권역을 각각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평균홍수량과 유역면적과의 관계를 멱함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미계측 지점의 홍수량 추정시에는 가까운 계측지점 즉, 직상하류 유역의 비유량의 관계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미계측 유역을 위한 지역빈도해석은 지역홍수빈도해석 절차 자체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세밀한 구분과 그에 따른 지역화 경험관계 개발과정도 중요한 절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infer regional flood frequency for ungauged watersheds, index flood method was applied for this study. To pursuit this given purpose, annual peak flood data for 22 watersheds located at the upstream of the Chungju Dam watershed were obtained from the spatial extension technique. The regionalization of mean annual flood was performed from extended flood data at 22 points. Based on the theory that flood discharge and watershed size follows the power law the regionalization generated the empirical relationship. These analyses were executed for the full size of the Chungju Dam watershed as one group and three different mid-size watersheds groups. From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nual flood and watershed sizes follow the power law. We demonstrated that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flood discharges from the upper and lower watersheds in terms of estimating the floods for the ungaged watersheds. Therefore, not only the procedure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but also regionalizaion analaysis using finer discretization of the regions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regional frequency analyisis for the ungauged watersheds is important.

      • 연초의 생육에 미치는 수분의 영향

        김남원,윤경은,Kim, Nam-Won,Yoon, Kyong-Eun 한국연초학회 1982 한국연초학회지 Vol.4 No.2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soil water potenial on the growth and internal changes of stressed plants. The experimental imposition of soil water potential ( $\Psi$soil) were -0.1 to -0.2, -0.2 to -0.5, -0.5 to -3.0, -3.0 to -10.0 bar respectively. During water stress all growth rates were depressed, and the most sensitive period to water stress was found to be 10 to 25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water potential of leaf was declined rapidly within 12 hours after with holding of water. 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decreased progressively as water deficit was built up in tobacco leaves, but the activity of alpha- amylase and super contents were increase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oxidase isozyme patterns between tile control and water stressed plant. New isozymes started to appear as tobacco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d.

      • KCI등재

        비닐하우스 지역의 지하수 양수에 따른 지하수-하천수 상호 유동 변화 분석

        김남원,이정우,정일문,창환,Kim, Nam Won,Lee, Jeong Woo,Chung, Il Moon,Kim, Chang Hwa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0

        겨울철 작물재배를 위해서 비닐하우스 보온을 위한 수막시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어 과다한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수막시설재배 지역에서의 지하수 양수가 지하수 대수층과 연결된 하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하리 일대 수막시설재배지역에 지하수위와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지하수 관측공을 제내지와 제외지에 설치하고 관측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지하수 상호유동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위와 수온 관측 결과, 수막시설재배기간 동안 지하수 양수의 영향으로 하천수가 지하수계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하천바닥층에 대해 침윤계 실험을 통해서 유도한 수두차와 침윤량간의 관계에 자동관측된 수위자료를 대입하여 하천과 지하수계 상호간 유동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산정한 결과 수막시설재배가 한창인 2월말에는 지하수 이용량의 약 16% 만큼의 하천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creased use of water curtain facilities to keep green house warm during winter cultivation has been known to cause excessive groundwater ion which might lead to decline of groundwater level, resulting in streamflow deple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effects of groundwater ion on the streamflow depletion such as magnitude and ext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nge of stream-aquifer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ion near stream. To this end, a green house cultivation land in Sooha-ri, Sindun-myun, Icheon-si, Gyonggi-do was selected as a field experimental site, and monitoring wells were established near and within stream to observe the water level and temperature chang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observed water level and temperature data, it was found that the river reach of interest changed to a losing stream pattern during the winter cultivation season due to groundwater level decline around pumping wells near the stream. The continuous exchange rates between stream and aquifer were estimated by plugging the observed water level data series into the experimental relation between head difference and exchange rate, showing the streamflow depletion by 16% of the groundwater pumping rate in Feb, 2011.

      • KCI등재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 및 평가

        김남원(Kim Nam Won),이정은(Lee Jeong Eun),이병주(Lee Byong Jo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1B

        국내의 경우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운영을 위하여 많은 댐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한강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대규모 다목적댐은 경기, 강원, 서울 등 수도권의 용수를 공급하는 귀중한 용수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용수의 주요 취수원인 팔당댐을 중심으로 소양강 및 충주 다목적댐의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한 SWAT-K모형은 기존 SWAT모형의 저수지 모듈을 수정, 보완한 개선된 모형으로 팔당댐 상류 유역의 유출을 성공적으로 모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출 모의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소양강, 충주댐의 방류량과 화천 댐의 방류량을 입력하였으며, 모의한 유출결과를 팔딩댐의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소양강, 충주댐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유출거동을 모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댐운영 유무에 따른 유황변동 분석 결과, 팔당댐 지점에서 소양강, 충주 다목적댐의 영향은 홍수시에 약 21.6 억㎥/년의 물을 54일간 저장하였다가 나머지 기간에 유황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강댐의 경우에는 연간 약 63일간에 걸쳐 9.1 억㎥/년의 물을 저장하고, 충주댐의 경우에는 약 28일간에 걸쳐 12.5 억㎥의 물을 저장하여 나머지 기간에 유황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댐운영에 따른 모의유량을 이용하여 유황변동 특성을 평가한 첫 번째 시도이다. 향후 좀더 정교한 분석으로 우리나라 대규모 댐의 저수지 운영상황이 재평가되기를 기대한다. Many dams were constructed for the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Especially multi-purpose dams located in Han-river basin that provide capital region (Gyeonggi, Gangwon, Seoul etc.) with valuable water sour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aldang Dam basin due to operations of the Soyang and Chungju multipurpose dams. A semi-distributed watershed model, SWAT-K, was used in order to generate regulated and unregulated daily stream flows upstream of Paldang Dam. The reservoir operation module in SWAT-K was modified from original module in SWAT for modelling parallel multi-reservoir operations appropriately. Simulated flow regulated by the Soyang, Chungju, and Hwacheon dams was calibrated by comparison with the observed inflow data at Paldang reservoir. The flow pattern analyses by using this calibrated system show the entire effect of Soyang and Chungju multipurpose reservoirs is the storage capacity of 21.6 billion cubic meters/year for 54 days during flood season. For Soyang reservoir, the stored quantity is approximately 9.1 billion cubic meters/year which was stored for 64 days. For Chungju reservoir, the stored quantity is approximately 12.5 billion cubic meters/year which was stored for 28 day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valuate the flow pattern characteristics by using simulated flow according to dam operation. More accurate analysis is expected to reevaluate the operating status of multipurpose reservoirs in Korea.

      • KCI등재

        공간모의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김남원(Kim Nam Won),이병주(Lee Byong Ju),이정은(Lee Jeong Eu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4B

        국내 중소하천의 경우 갈수기 관측유량의 부재로 인해 관측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분석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공간 모의유량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갈수량 산정 및 갈수량의 공간적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WAT 모형을 충주댐 유역에 구축하여 충주댐 지점과 상류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해 모의된 일유량과 유황을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모의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평균 갈수량의 비유량을 분석한 결과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비유량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소유역의 경사 및 포화수리전도도와 연계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관측유량을 이용할 경우 갈수량이 과대 산정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은 미계측 지점의 갈수량 산정시 과거 면적 비유량법으로부터 산정한 갈수량에 비해 합리적인 결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갈수량의 특성을 물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rought flow analysis for small and medium sized river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scarcity of drought flow observation data. This study concerns the generation of areal simulated flow from SWAT-the semi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he estimation of drought flow and the analysis of its areal characteristics. The SWAT model is set up for the Chungju Dam basin and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observation-simulation daily flow of Dam site with upper stream station. The specific flow rate of mean drought flow is increased with the area, which is identified from the slope of each subbasin and the areal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t is also proved that the drought flow can be overestimated using observed flow data by comparing with previous results. This method can represent more reasonable drought flow than thereby areal-specific flow rate metho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flow also can be evaluated by these results.

      • KCI등재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김남원,윤정,정일문,Kim, Nam Won,Kim, Youn Jung,Chung, Il-Moon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5

        지하수위 변동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의 대수층 수리지질 매개변수인 반응계수와 배수가능공극을 추정하고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 및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수층 매질의 특성치인 배수가능공극은 고도에 대해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며 지하수의 흐름 특성치인 반응계수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다. 매개변수들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 매개변수의 평균 및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전 유역(강정천, 외도천, 천미천, 한천)에 대한 매개변수 관계식을 적용하여도 미계측 유역내 매개변수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수리지질 매개변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미계측지역에서 매개변수를 추정함으로써 지하수모델링의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work, we have carried out a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such as reaction factor and drainable pore space in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and have found characteristics of paramet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ltitude. We found that drainable pore space which is hydrogeologic parameter of aquifer didn't show any trend with altitude while reaction factor which is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 showed clear trend with altitude. To find a sensitivity of parameters, we compared RMSE of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s by using the mean value and linear relationship of parameters. As results, the linear equation derived for entire watersheds could be applied to estimate parameters for ungauged watershed. Furthermore, the features of parameter distribution can be used to predict hydrogeologic parameter in ungauged watersheds and it is expected that those features could be used for a basic data for groundwater mod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