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뷰티아카데미 학생들의 전공선택 및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뷰티아카데미를 중심으로 -

        김남연,김창숙 대한피부미용학회 2015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3 No.3

        Human beings have the aesthetic instinct to look beautiful. Beauty is under the spotlight as the new high value-added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the beauty academy that is one of the place for you to learn the beauty technique has been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is training and producing professionals. And than it’s operating more active. Beauty is a field that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so beauty academy is required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 who has a good grounding in aesthetic field, and curriculum of the beauty academy, which can lead professionals is very important Now, nail art national certification was introduced in 2014 after hair, skin national certifi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at qualitative improvement of beau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practical science that is training specialists with practical educ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help as a basis for future beauty education policy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Academy courses for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미용관련 고교의 교과과정 만족도 분석 -인천의 B학교를 중심으로

        김남연,김미현,김창숙,임미혜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The beauty high school is recognized with an important center of the manpower supply and actively operated as a beauty industry develops as a high-value added one. For this, an investigation on the satisfaction with a curriculum was conducted among 263 senior students in an beauty high school to know how well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the teaching cont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The beauty high school students mostly have chosen the hair field, and then skincare, make-up and lastly nailcare, etc as a detailed majors. They were not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vision of beauty-industry while they were choosing their own detailed major.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level of curriculum but they were not as satisfied as the curriculum level with on-the-job-training when asked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They wanted improvement on a training environment when asked about a course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a development and complement of curriculum about field adaptation ability.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was higher in the students who considered an attitude for beautycare and employment and then entered the school with their own decision than the ones who entered the school because of a middle school grad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needed to receive an academic aptitude test and a carrier educatio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urriculum. The researchers here tri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seek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educational policy of beauty high school which is an important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urns out beauty industry's talents. Detailed analysis of curriculum for beautycare high school will be necessary later. 뷰티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발전함에 따라 미용관련 고등학교는 중요한 인력공급의 중추 교육기관으로 인정받아 보다 많이 활성화 되어 운영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뷰티산업에서 요구하는 교과과정을 확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인천시내 미용관련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관련고교 학생들은 세부 전공으로 헤어분야를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피부, 메이크업 및 네일 순으로 선택하였고 이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산업의 전망에 대한 인식도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교과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교과목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적응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현장 적응 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과운영에서는 실습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 적응 교육 및 심화실기 교육 등 현장 실무에 관한 교과과정에 대한 보완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적성이나 취업을 고려하여 자의적으로 판단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중학교 성적 때문에 타의적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과과정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교입시를 위하여 적성검사 등 진로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는 뷰티산업의 인재를 배출해 내는 중요한 교육기관인 미용관련 고교가 현장의 요구에 부흥하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교육정책으로 수립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추후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남연,양난미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지방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4명(남학생 134명, 여학생 86명, 무응답 4명)이었고 부모애착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분노억제 척도와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변인간의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부모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및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와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 및 분노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애착과 모애착은 유의하지 않았고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의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가정하여 탐색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애착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4 college students(male 134, female, 86, non-response 4) enrolled in colleges in Seoul and the provinces. F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had been mad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arental attach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ized shame,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ed shame,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p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attachment were not significant, the relative impacts were high in the order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Thir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aternal attachment affects negatively internalized shame, internalized shame affects positively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the indirect effects of paternal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is significa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식물바이러스 면역반응 최신 연구 동향 및 전망

        김남연,홍진성,정래동 한국식물병리학회 2018 식물병연구 Vol.24 No.1

        Plant viruses cause significant yield losses and continuously threaten crop production, representing a serious threat to global food security. Studies on plant-virus interactions have contributed to increase our knowledge on plant immunity mechanism, providing new strategies for crop improvement. The prophylactic managements consist mainly following international legislations, eradication of infected plants, and application of pesticide to decrease the population of vectors. Hence, putting together the pieces of knowledge related to molecular plant immunity to viruses is critical for the control of virus disease in fields.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outstanding outcomes of extensive research have been achieved on comprehension of plant immunity to viruses. Although most dominant R genes have been used as natural resistance genes, recessive resistance genes have been deployed in several crops as another efficient strategy to control viruses. In addition, RNA interference also regulates plant immunity and contribute a very efficient antiviral system at the nucleic acid level. This review aims at describing virus disease on crops and summarizes current resistance mechanisms. Furthermore, we will discuss the current biotechnological approaches to contr 전 세계적으로 주요 작물에서 기후변화, 무역의 다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식물바이러스에 의한 작물 생산량 감소 등의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 이에 경제 작물에서 심각한 바이러스 병피해를 줄이기 위한 여러 바이러스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성 작물개발이 시급하다. 식물바이러스 병 예방 및 방제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해왔던 바이러스-식물간의 상호작용 기초 연구결과물 뿐만 아니라 식물면역 관련 과학적 방법 종합화를 통한응용화된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 본 리뷰에서는 바이러스 저항성 작물 도입을 위해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던 식물면역 기작을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작물 개발 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유전자교정기술과 같은 게놈 공학 기술을 활용한 바이러스 저항성 작물의 필요성과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리뷰를 통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바이러스 면역 기작에 대한 이해를돕고, 최신 바이러스 병방제 기술들을 소개함으로써 농민들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식물면역 연구가 작물 재배 중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병 농가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 방안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KCI등재

        언어와 이미지 : 말하는 교수, 보는 학생

        김남연 국제언어인문학회 2012 인문언어 Vol.14 No.1

        Letters and Images: The Professor who Talks and the Student who Sees Kim Nam You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r an efficient clas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 who is adapted to images and the professor who delivers the message through letters to understand each other. To communicate better it is imperative that the professor expand the knowledge on images. There is a certain bias that professors who are more apt at writings tends to be hostile to images. The world we live in is made up of images. It is also true that images show qualities that the language lacks and that they have been incorporated in lectures already. Using letters and images together has already demonstrated its value. In today’s classrooms, creativity has become the main subject with image being used as the main tool. Images may be considered as an element which helps with communication, but since images themselves are a type of language they should be used as such. And finally, Images helps to broaden ones perspectives: “I see” denotes ‘to see’ but also ‘to perceive.’ In Conclus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letters from the images they have to be used in conjunction. As Davinci, once stated, the drawing is the product of thoughts, while the picture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world. Analysing images as language will lead to better communications in classrooms since Images which relates to language is the very definition of communication today.

      • 『춘향전』번역과 CD-ROM 제작 - 불어

        김남연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번역문학 Vol.4 No.-

        2000년 5월 『Cyber춘향전』이라는 제목으로 CD-ROM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는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 연구소가 정보통신부의 프로젝트를 완성한 결과물로서 웹에서 구현이 가능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CD에 수록된 것은 춘향가의 일부분을 성창순 명창이 노래한 판소리의 동영상을 바탕으로 독일어, 불어, 영어, 일본어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텍스트를 수록하였고 춘향전 원문의 해설을 해주신 설선경 선생님의 설명이 동영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참고가 될만한 용어들의 해설을 곁들였습니다. 그리고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그림과 그림에 대한 찾아보기 등은 클릭 한번으로 해결되게끔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춘향가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단순히 인쇄매체만 접하는 것보다 다양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명창의 소리를 들려줄 수 있으므로 작품의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하는 이방인들에게도 우리 문화를 친밀하게 알리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KCI등재

        Effects of probiotics on the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김남연,지근억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5 No.6

        Atopic dermatitis (AD) is an immune disorder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prevalent throughout the world. The exact etiology of AD remains unknown, and a cure for AD is not currently available. The hypothesis that appropriate early microbial stimulation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balanced immune system in terms of T helper type Th1, Th2, and regulatory T cell (Treg) responses has led to the use of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 in light of various human clinical studies and animal experiments. Meta-analysis data suggests that probiotics can alleviate the symptoms of AD in infants. The effects of balancing Th1/Th2 immunity and enhancing Treg activity via the interaction of probiotics with dendritic cells have been described in vitro and in animal models, although such an effect has not been demonstrated in human studies. In this review, we present some highlights of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robiotics in humans and animal studies with regard to their effects on the prevention of AD.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변화궤적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김남연,김재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in adolescence and analyzed the effect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the potential class type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In the data of the Daegu Institute of Future Education's Daegu Education Longitudinary Study, some of the data tracked every year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2017 to 2020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types of potential classes. Results As a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rajectory types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ow-level radical upward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upward type’. Academic self-efficac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potential class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self-recognition among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ctors, and the better the challenge, the more likely it was to be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or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the bette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parent's suppor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ing included in the ‘High-level gradual increase type’. In terms of school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etter the friend relationship and the higher the teacher's support, the more it was included in the ‘low-level radical rise typ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average change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for four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was significant. In addition, predictors that are included in each type of ‘Low-level radical rising type’, ‘Medium-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level gradual rising 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s of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on adolescents were explored.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을 분류하여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대구미래교육연구원의 대구교육종단연구(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데이터에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2017년에서 2020년까지 4년간 매년 추적한 데이터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의 잠재계층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궤적 유형은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3개의 유형으로분류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개인별 잠재계층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개인심리특성요인 중에서는 자기인정, 도전을 잘할수록‘중수준 유지형’이나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가정요인은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자녀 관계가 좋을수록, 부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고수준 점진상승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친구 관계가 좋고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저수준 급진상승형’에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이 될 때까지 4년간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적 변화가 존재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인 간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저수준 급진상승형’, ‘중수준 유지형’, ‘고수준 점진상승형’ 각 유형에 포함되도록 하는 예측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개인심리 특성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여,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이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및 교사의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