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청영일기」 에 나타난 자연묘사의 특질 : 그 수법을 중심으로 そのを手法中心に

        김난영 한국일어일문학회 1979 日語日文學硏究 Vol.1 No.1

        平安時代에 發生한 日記文學의 嚆矢라 일컬어지고 있는 청령일기(kagerou)는 「赤裸裸한 事實의 記錄」이란 点과 一夫多妻制이며 別居制였던 當時의 社會制度的 矛盾을 時代的 常識으로 納得하지 못하고 끝내「이것은 sein의 世界이긴 하지만 sollen의 世界일 수는 없다」고 主張하여 마지않는 道綱母(Michizuna)의 强力한 近代的인 自己主張이 存在한다는 点에 文學으로서의 새로움과 劃期的인 意味가 있다고 보겠으나 이 作品에서 볼 수 있는「自然描寫」에 있어서도 先行文學에서는 볼 수 없는 作家 道綱母의 獨自的인 手法을 엿볼 수 있다. 上卷은 和歌(waka)와 詞書(kotobagaki)로 構成되어 있는데 本稿에서 問題로 삼고 있는 自然描寫는 和歌의 詞書 속에서만 볼 수 있으며 自然그自體를 描寫의 對象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니고 後述의 和歌를 說明하기 위한 或은 좀 더 效果的인 것으로 하기 위한 附隨的인 것에 不過하며 이러한 手法은 先行文學인 「伊勢物語」(Ise-mono-gatari)의 手法의 踏襲이라 볼 수 있으며 作者 道綱母의 獨自的인 것이라고는 할 수가 없을 것 같다. 中卷은 主로 散文으로 되어 있으나 文章의 種類에 따라 그 構成을 본다면 「日常生活의 記錄」과「外出의 記錄」卽「日記的인 記事」와「紀行文」으로 構成되어 있는데, 自然描寫는 主로 「紀行文」에 있어서만 볼 수가 있다. 中卷에서는 「당기볼い」,「石山詣で」,「鳴瀧參籠」, 「初瀨詣で」등 4個의 紀行文이 있으며, 各各 特徵的인 것을 볼 수 있으나 共通的인 特色은 自然 그 自體를 描寫의 對象으로 삼고 있으며 그 自然描寫는 單純한 自然 描寫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항상 作家 道綱母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感慨가 附記되어 있다는 点이다. 換言하면 中卷에 있어서의 自然描寫는 作者 道綱母의 視賞을 通한 狀況뿐만 아니라 聽覺을 通한 周圍의 소리까지 詳細하게 아름답게 描寫되어 있으며, 거기에다 作者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苦惱가 스며 있는 深刻한 心情吐露를 附記하고 있으며, 그 心情吐露의 말은 매우 直觀的이며 過激하다. 下卷에 있어서도 中卷 以來의 手法이 踏襲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나 附記되는 心情表現의 말들이 直觀的인 것에서 淡淡한 表現으로 變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卽, 主觀的인 自然描寫에서 客觀的인 것으로의 移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自身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苦惱, 或은 人事를 直接的으로 表現하지 않고 自然現象에 비유한 含蓄性있는 象徵的인 表現으로서 昇華된 進一步한 手法 또한 볼 수 있으며, 作者 道綱母의 文學家로서의 円 熟한 片貌를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청령일기 中·下卷에서 볼 수 있는 自然描寫는 作者가 처하고 있는 現實生活의 色彩로 물들여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作者 道綱母는 自然描寫에 있어서도 그 時代를 살아가는 女子의 슬픔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手法은 先行文學에서도 볼 수 없는 作者 道綱母 獨自的인 手法이며, 道網母는 前述한 바와 같이 文學으로서의 새로움과 劃期的인 意味를 가진 作品을 썼을 뿐 아니라 自然描寫에 있어서도 새로운 境地를 열고있다고 본다.

      • KCI등재

        만성질환 어머니 돌봄 주체자로서의 딸들에 대한 사례 연구

        김난영,신정옥,도광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Cases Study on Daughters as the Main Care Provider ofMothers with Chronic DiseasesNanyoung Kim, Jeangok Shin, & Kwangjo Do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ring experience of the mother who i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and to study the caring experience dedicated to the daughter’s position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approached phenomenological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4 married women as significant (intentional)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procedures and methods suggested by Colaizzi.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4 top categories, 12 middle categories and 21 sub categories were derived. The four top categories derived were ‘understanding of mothers’ illness’, ‘disappointment about unjust family about mothers’ care’, ‘difficulty in overcoming reality experienced by taking care of mothers’, ‘expectation for unreliable care system service and care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hat can help more concretely and realistically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direct the main care provider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Key Words: Chronic Disease, Care Experience, Main Care Provider, Qualitative Case Study, Phenomenological Study 만성질환 어머니 돌봄 주체자로서의 딸들에 대한 사례 연구김 난 영*ㆍ신 정 옥**ㆍ도 광 조*** 요약: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어머니에 대한 돌봄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한 질적 사례 연구로 딸의 입장에서 전담한 돌봄 경험에 대해 연구하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기혼여성 4명을 유의적(의도적) 표집과 편의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가 제시한 절차와 방법에 의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중위범주, 2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상위범주는 ‘어머니의 병에 대한 이해’, ‘어머니의 돌봄에 대한 공정하지 않은 가족에 대한 실망’, ‘어머니를 돌보면서 경험한 현실극복의 어려움’, ‘신뢰하기 힘든 요양제도 서비스와 돌봄 정책에 대한 기대’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 노인을 직접 돌보는 돌봄 주체자의 부담을 줄이면서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만성질환, 돌봄 경험, 돌봄 주체자, 질적 사례 연구, 현상학적 연구 □ 접수일: 2022년 1월 14일, 수정일: 2022년 2월 3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동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Dongyang Univ., Email: siwoo7272@naver.com)** 공동저자, 동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Dongyang Univ., Email: shin2606@hanmail.net)*** 교신저자,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yang Univ., Email: kwangjo@dyu.ac.kr)

      • KCI등재

        충남 지역 발전을 위한 MICE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김난영,석용현 한국무역전시학회 2017 무역전시연구 Vol.12 No.2

        MICE 산업은 국내외적으로 성장 추세에 있으며,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MICE 산업은 점차 우리나라 주요 시도를 중심으로 다자간 경쟁구도를 형성하며, 지역별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충남은 충분한 발전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산업계나 학계에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의 MICE 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보았다. 또한, 충남의 MICE 산업 및 기반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사항을 비교분석하여,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충남의 MICE 전담조직 구성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충남의 MICE 산업의 핵심 기반시설이 될 수 있는 전문 전시 컨벤션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충남의 유니크 베뉴 발굴 및 육성이 필요하다. 넷째, 충청권 MICE와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이 필요하다. 다섯째, 충남의 주요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MICE 수요 창출이 필요하다. 여섯째, 충남의 MICE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목 받지 못했던 충남의 MICE 산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MICE 산업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ICE industry is growing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s a strategic means of balanced local developments, it attracts public attention. In Korea, the MICE industry is gradually building a multilateral competition structure focusing on main cities, and competition between regions is getting more fierce. As Chungnam has sufficient potential of development, however, the MICE industry has failed to attract attention from the industrial or academic circles. Thu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lans to activate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mai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MICE industry in different regions by analyzing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even analyzed the present states of the MICE industry and its infrastructure in Chungnam.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actors extracted,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activate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organization in full charge of MICE in Chungnam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easures. Secondly, it is needed to establish MICE-specialized exhibition convention facilities that can be the key infrastructure of the MICE industry. Thirdly, Chungnam’s own unique venues should be discovered and cultivated. Fourthly, synergy effect should be created in association with MICE firms in the Chungcheong region. Fifthly, demands for MICE should be created focusing on the main strategic industries of Chungnam. Sixth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MICE-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 Chungna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the MICE industry in Chungnam will be more emphasized, and more practical guidelines will be provided for the promotion of MICE industry.

      • KCI등재

        도재 수리용 레진의 색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난영,진태호,Kim Nan-Young,Jin Tai-H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2 No.2

        Statement of problem : Porcelain restorations are widely used in restorative dentistry with a high degree of general success. However, porcelain is brittle and may fracture intraorally. Sometimes a repair may be attempted using composite resin and bonding system available. Color stability of porcelain repair resins affects esthetics and prognosis of prosthesis, so that provides important criteria for the choice of porcelain repair resin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stability of composite resins used widely as porcelain repair system. Materials and method : Composite resin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isma(Kulzer, Germany), Tetric ceram(Ivoclar, Liechtenstein), Filtek Z250(3M, USA), and Arabesk Top(VOCO, Germany). Thirty disc-shaped specimens($10{\times}2mm$) were fabricated from each composite resin. Color changes of specimens after treatment using thermocycling system(KD-TCS30, Kwang-duk F.A. Korea) and after immersion in methylene blue(0.05% by Wt) were measured with colorimeter(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and obtain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11ows. 1. The color change of Filtek Z250 was lesser than those of Tetric ceram and Arabesk Top after thermocycling (12000 times). 2. All of the composite resins in this study showed increase of color change according to increase of thermocycling frequency. 3. After 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the color change of Arabesk Top was greater than those of Carisma and Tetric ceram, and Tetric ceram was more stable than others.

      • 「청령日記」に現われた自然描寫の特質 : その手法を中心に

        金蘭英 배화여자대학 1979 培花論叢 Vol.1 No.-

        平安時代에 發生한 日記文學의 嚆失라 일컬어지고 있는 「청령日記」(Kagerou)는 「赤裸裸한 事實의 記錄」이란 點과, 一夫多妻制이며 別居制였던 當時의 社會制度的 矛曆을 時代的常識으로 納得하지 못하고 끝내 「이것은 Sein의 世界이긴하나 Sollen의 世界일 수는 없다」고 主張하여 마지않는 作者 道綱母(Michizuna)의 强力한 自己主張이 存在한다는 點에 文學으로서의 새로움과 劃期的인 意味가 있다고 보겠으나, 이 作品에서 볼 수 있는 「自然描寫」에 있어서도 先行文學에서는 볼 수 없는 作者 獨自的인 手法을 엿볼 수 있다. 上卷은 主로「和歌」(Waka)와 「詞書」(Kotobagaki)로 構成되어 있는데, 本稿에서 問題로 삼고 있는 「自然措寫」는 「和歌」가 없는 段에서는 볼 수 없으며, 「和歌」가 있는 段의 「詞書」속에서만 볼 수 있는 自然 그 自體를 描寫의 對象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니라, 後記의 和歌틀 說明하기 위한 或은 좀 더 效果的인 것으로 하기 위한 附隨的인 것에 不過하다. 이러한 手法은 先行文學인 「伊勢物語」(Ise-monogatari)의 手法의 踏襲이라 볼 수 있으며 作者 道綱母의 獨自的인 것이라고는 할 순 없을 것 같다. 中卷은 主로 散文으로 되어 있으나, 文章의 種類에 따라 그 構成을 본다면「日常生活의 記錄」과 「外出의 記錄」卽「日記的인 記事」와 「紀行文」으로 構成되어 있는데 「自然措寫」는 主로 「紀行文」에 있어서만 볼 수 있다. 中卷에는 「당기불い」, 「石山詣て」 「嗚瀧參龍」ㆍ「初瀨詣て」等 4個의 紀行文이 있으며, 各各 特微的인 것을 볼 수 있으나 共通的인 特色은 自然 그 自體를 措寫의 對象으로 삼고 있으며, 그 自然措寫는 單純한 自然措寫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恒常 作家 道綱母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感慨가 付記되어 있다는 點이다. 換言하면 中卷에 있어서의 自然描寫는 作者 道綱母의 視覺을 通한 狀況 뿐만 아니라 聽覺을 通한 周團의 소리까지 詳細하게 아름답게 描寫되어 있으며 거기에다 作者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苦惱가 스며있는 深刻한 心情 吐露를 付記하고 있으며 그 心情 吐露의 말은 매우 直觀的이며 過激하다. 下卷에 있어서들 中卷 以來의 手法이 踏襲피어 있음을 볼 수 있으나, 付記되는 心情表現의 말들이 直觀的인 것에서 淡淡한 表現으로 變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卽 主觀的인 自然描寫에서 客觀的인 것으로의 移行을 볼 수 있다. 또한 自身의 現實生活에 있어서의 苦惱 或은 人事를 直接的으로 表現하지 않고, 自然現象에 비유한 含蓄性있는 象徵的인 表現으로 昇華된 進一步한 手法 또한 볼 수 있으며 作者 道綱母의 文學家로서의 圖熟한 片貌틀 엿볼 수도 있다. 이와같이 「청령日記」中, 下卷에서 볼 수 있는 自然措寫는 作者 道綱母가 處하고 있는 現實生活의 色彩로 물들여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作者 道綱母는 自然措寫에 있어서도 그 時代를 살아가는 女子의 슬픔을 담고있는 것이다. 이러한 手法은 先行文學에서도 볼 수 없는 作者道網母 獨自的인 것이며, 道綱母는 前述한 바와 같이 文擧으로서의 새로움과 劃期的인 意味를 가진 作品을 썼을뿐 아니라 自然措寫에 있어서도 새로운 境地틀 열었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책임운영기관의 계약요소와 성과에 관한 연구: 계약요소가 성과를 향상시켰는가?

        김난영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4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의 계약요소(contractual factors)가 성과(performance)를 향상시켰는지, 책임운영기관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계약관점(contractual perspective)에 기초하여 계약요소의 성과에 대한 영향에 관한 가설을 제시한다. 다음 우리나라 44개 책임운영기관의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계약요소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계약 요소의 성과에 대한 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통제변수로 ``소속중앙행정기관의 특성 및 책임운영기관과의 관계`` 그리고 ``책임운영기관의 특성``과 관련된 변수들을 사용한다. 이단계최소제곱법(two-stage least-squares method: 2SLS)을 사용한 회귀분석 결과 계약요소 중 성과평가만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기관운영자율성과 성과보상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중앙행정기관의 특성 및 책임운영기관과의 관계와 관련된 변수들은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책임운영기관의 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 「あはれ」考 : 「枕草子」を中心に

        金蘭英 釜山大學校 1994 人文論叢 Vol.44 No.1

        「記紀」의 古代歌謠에서 볼 수 있는 「あはれ」가 奈良時代를 지나 平安時代에 이르는 그리고 謙倉時代를 向하는 過程에서 形態的으로나 意味內容에 있어서 轉化·擴大·深化되어가는 樣相을 後續文學인 万葉集, 古今集, 字津保物語, 錡鈴日記, 源氏物語 등 多樣한 文學形態속에서 그 用例를 찾아 提示하고 있으며, 또한 本質的으로 「あはれ」에 內在하고 있는 一見 相反된 것으로 보여지는 두 가지 意味內容의 共存 間題에 對한 解明으로 「あはれ」가 지니고 있는 意味 內容의 纖細함과 微妙함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あはれ」를 「をかし」의 文學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는 「枕草子」에서 그 用例를 찾아 「亮性」에 內在하고 있는 意味內容을 追究하여 그 時代的 一般性과 特異性을 解明하고 있다.

      •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김난영,신유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연세교육과학 Vol.49 No.-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temperament and adjustment to preschool. The subjects were 150 three-to-five-old children from two preschools in Seoul. The TTQ developed by Thomas, Chess and Korn(1977)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temperament. To examine a pre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PAQ developed by Jewsuwan and Kostelink(1993)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Th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activity level and threshold of responsiveness among 8 subcategories of children's temperament. Activity level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2.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adjustment to preschool. However, among subcategories, scores of prosocial behaviors and adjustment to daily schedule of preschool were higher in girls than boys. 3. Adjustment to preschool was correlated with approach,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and persistence but not with activity and intensity of reception. Among 8 subcategories of children's temperament, quality of mood, threshold of responsiveness, and approach-withdrawal explained adjustment to preschool best in order.

      • KCI등재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활용한 정부 사업 평가: 마이스터고지원사업 효과를 중심으로

        김난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3

        In 2008,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Meister High School Support Program in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cri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 the lack of excellent production technology manpower required in the labor market, and the un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Since 21 Meister High Schools opened in 2010, 28 more have been opened, with 49 in operation as of 2019. Meister High school has received ful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the budget and the school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nd it has been known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employment rate and decreasing school dropout rate since the first graduates in 2013. However,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whether this effect is the resul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vocational education by the Meister High School Support Program, or whether students who were superior to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entered Meister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national upbringing polic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Meister High School Support Program applying Difference-in-Differences which is used as a useful metho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ies or projects and the effects by using school dropout data ('09 -'19) and educational statistic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Meister High School Support Program on increased employment rate and decreased school dropout rat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008년 정부는 학교직업교육의 위기, 노동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생산기술인력 부족, 대졸 청년실업 등이 심각하다는 인식 하에 마이스터고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2010년 21개 마이스터고가 개교한 이후 28개가 추가적으로 개교하여 2019년 현재 49개가 운영되고 있다. 마이스터고는 정부로부터 예산, 학교직업교육체제 개편 등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고 2013년 첫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 취업률과 학업중단율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가 마이스터고에 대한 지원과 이를 통한 학교직업교육의 질을 향상시킨 결과인지, 아니면 국가의 육성정책에 따라 특성화고 학생에 비해 우수한 학생들이 입학하여 나타난 현상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어 왔다. 이에 이 연구는 학교알리미데이터(’09년~’19년)와 교육통계조사데이터(’09년~’17년)를 활용하여 정책 및 사업과 효과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적용하여 마이스터고지원사업의 취업률과 학업중단율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지원사업의 취업률 증가와 학업중단율 감소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관광지 이미지, 관광자 만족, 관광지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아산시를 중심으로

        김난영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1

        아산시의 관광산업 발전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 보다 높은 시점에서 아산시의 관광지 이미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아산시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 구축을 통해 아산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아산시 이미지가 어떠한지 조사하고, 아산시 이미지와 이로 인해 영향 받는 관광자 만족과 관광지 충성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아산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총187개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반적 사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변수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광지 이미지, 관광자 만족, 관광지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산시의 인지적 이미지는 6개 유형, 정서적 이미지는 1개 유형으로 구분 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는 관광객 만족과 관광지 충성도간에 부분적인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