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빌리티 노동의 정동-도시 모빌리티와 1970~80년대 ‘버스 안내양’의 정동-

        김나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3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ffect from urban mobility in the 1970s and 1980s, focusing on the female bus attendants. I review some articles, labor memoirs, poems, and novels related to the female bus attendants at the time. So with this, I conceptualize the labor of bus attendants as the ‘mobility affect.’ They show the new social structure at the time of reorganization around urban mob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y need attention in that they symbolize the affect atmosphere of the industrialization era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experienced becoming laborers. The female bus attendant was the body that was unexpectedly monitored and searched while in an intense working environment, and had no space to occupy rightfully. In that sense, they were the beings filling the insufficient holes in the urban circulation infra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they symbolized one hole in themselves. They had to deal with irregular conflicts with bus drivers and supervisors as well as unspecified passengers, and internalize the pressure of governance of themselves imposed by the cultural discourse. This reality illustrates the politics of the affect that their bodies had to go through. Since the labor of bus attendant was performed for the operation of urban mobility, it was labor placed outside of urban mobility. And it was a kind of shadow labor because it was labor to protect other people’s ‘time.’ This is because their mobility was out-of-time mobility, which was only superficially moving in the immobility state. Therefore, they were the weakest figures that operate mobility outside the time infrastructure, a hole that reveals that mobility is the dispositif, and the mobility affect figures that form itself by bumping into the mobility and temporality of others. Some labor poems written by poet Choi Myung-ja from the female bus attendant, and Hong Sung-won’s novel Shaking Land illustrated this point well. The affect is, above all, the forces of encounter and the flux. In this regard, the texts related to urban mobility in the 1970s and 1980s reviewed in this paper could show the disturbances of social mobility as well as physical mobility well. The female bus attendants were the affect aliens. They were excluded from laborers as labor subjects in that the figure of industrial laborers, called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development, was a strong male worker, and from citizens with singular rights in that they had no choice but to get a job while disguising their status. Nor could they become cultured female students, beloved housewives, or intellectual writers. This is because the female bus attendant was in the form of a ‘becoming’ that established herself through the fact that it was impossible to establish herself. They were always thrown in the meantime. 본 논문은 1970~80년대 도시 모빌리티가 빚어내는 정동을 ‘버스 안내양’에 초점 맞추어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이 시기 버스 안내양과 관련된 기사, 수기, 시, 소설을 두루 검토함으로써 정동 소외자로서 안내양이 경험한 노동을 모빌리티 정동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재편된 당대의 사회 구조를 보여주는 동시에 다수의 인구가 노동자-되기를 경험했던 산업화시대의 정동적 분위기를 상징하는 형상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안내양은 강도 높은 노동 환경에 놓인 상태에서 불시에 감시받고 수색당하는 신체였고 정당하게 점유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신체였다는 점에서, 도시 순환 인프라의 부족한 구멍을 메우는 존재인 동시에 그 자체로 하나의 구멍을 상징하는 형상이었다. 불특정 다수의 승객은 물론이고 운전수 및 감독관과의 불규칙한 갈등에 대처해야 했고 당대 사회의 교양담론이 부과하는 자기 통치의 압력도 내면화해야 했던 현실은 안내양의 신체가 겪어야 했던 정동 정치를 잘 보여준다. 안내양이 경험하는 노동은 도시 모빌리티의 작동을 위해 수행되는 노동이므로 도시 모빌리티 바깥에 놓인 노동이고, 다른 사람의 ‘제시간’을 지켜주기 위한 노동이므로 일종의 그림자 노동이다. 임모빌리티 상태에서 피상적으로만 이동하고 있는 시간 바깥에서의 이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내양은 시간 인프라 바깥에서 모빌리티를 작동시키는 가장 허약한 형상으로서 모빌리티가 장치임을 드러내주는 구멍이며 정동 소외자이며, 무수한 타인의 모빌리티와 시간성을 몸으로 부딪쳐내며 자기를 구성하는 모빌리티 정동 형상이다. 안내양 출신 시인 최명자가 쓴 일련의 노동시와 홍성원의 소설 「흔들리는 땅」은 이 점을 잘 보여준다. 물리적 모빌리티는 물론 사회적 모빌리티의 동요와 부딪침을 가장 잘 보여주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안내양은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일컬어지던 산업역군의 형상이 건장한 남성 노동자였다는 점에서 노동 주체로서의 노동자로부터도 배제되고, 어린 동생의 주민등록등본으로 신분을 위장하면서 취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고유한 이름으로 상징되는 권리를 갖는 시민으로부터 배제되고, 교양있는 여학생, 사랑받는 가정주부, 학식 있는 문필가가 될 수도 없었던 정동 소외자다. 자기 정립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통해서 자기를 정립하는, 완료되지 않은 채 틈새시간에 놓인 ‘-되기’의 형상이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Effect of acute mid-intensity treadmill exercise on the androgen hormone level and uncoupling protein-1 expression in brown fat tissue of mouse

        김나현,김지수,유충성,임기원,Takayuki Akimoto,박종훈 한국운동영양학회 2018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22 No.1

        [Purpose] Brown adipose tissue (B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tabolizing different substances, including androge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single bout of aerobic exercise would increase the androgen hormone concentration in mouse BAT and whether its increase was associated with uncoupling protein-1 (UCP-1), protein kinase A (PKA)-related mechanism in BAT. [Methods] Twenty, 9-week-old ICR adult male mice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n=6, CON), Exercise (n=7, EX), and Exercise + SRD5A1A2 inhibitor (n=7, EXIN). SRD5A1A2 is an enzyme needed when free testosterone is metabolized to dihydrotestosterone (DHT). SRD5A1A2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 the EXIN group, while the CON and EX groups were treated with the vehicle only. One hour later, exercise was performed at 60–70%V3O2max for 30minutes. The levels of testosterone and DHT in BAT were determined by ELISA, and UCP-1 mRNA level was examined by RT-PCR. UCP-1 and PKA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After a single period of exercise, testosterone and DHT concentrations in B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 than those in CON, and lower in EXIN than those in EX. The ratio of phosphorylated PKA to total PKA in B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 than that in CON, and lower in EXIN than that in EX. UCP-1 levels in BAT were not different i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Aerobic exercise increased bioactive androgen hormone levels in BAT in association with the increase in phosphorylated PKA levels. In contrast, 30minutes of treadmill exercise did not affect UCP-1 expression.

      • KCI등재후보

        시험스트레스에 따른 심박동변이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나현,김명애,권영숙,이경희,박선영,정기삼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1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s is a non-invasive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assess autonomic function, especially the balance between sympathetic and vagal 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utility of heart-rate variability (HRV) analyses as a means of quantifying autonomic regulation related to academic examination stres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HRV with anxiety in nursing students.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heart rate variability and examination stress was assessed by Test Anxiety Inventory. There were three HRV data collections: baseline, during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examination period. Analysis showed that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iming (RMSSD, p<.05), high frequency (HF, p<.05), and normalized HF (norm HF, p<.05) of the HRV was observed, and a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heart rate (p<.05), normalized low frequency (norm LF, p<.05), and the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ratio (LF/HF %). Majority of the changes continued after the examination perio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HRV indices and Test Anxiety Inventory scores only during examination period. HRV can be a useful tool in assessing the rol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fluctuations in healthy individual under stressful situations. (Korean J Str Res 2010;18:11∼17) 본 연구는 시험 스트레스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동 정도를 심박동변이를 측정함으로써 파악하고, 심박동변이의 각 지표와 시험에 대한 불안과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시험 스트레스와 자율신경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자율신경계 활동은 심박동변이로 측정하고, 시험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은 시험불안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평소 안정 상태, 시험기간 중, 시험종료 직후의 세 시점에서 심박동변이를 측정하였고, 시험불안정도는 평소 안정상태에서 평소 시험불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점 별로 심박동변이 지표를 비교하고, 시험불안정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심박동수, LF norm, LF/HF ratio는 시험 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험 종료 후에도 높은 상태가 계속되었다. RMSSD, HF, HF norm은 시험기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시험 종료 후에도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시험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박동변이의 각 지표들은 시험불안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여 심박동변이는 시험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한 기억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발견된 대상 피질 종괴

        김나현,이재헌,임세원,Kim, Na-Hyun,Lee, Jae-Hun,Lim, Se-W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6 생물정신의학 Vol.13 No.2

        Localized amnesia is characterized by a failure to recall events that occurred during a circumscribed period of time. Localized amnesia is the most common type of dissociative amnesia. It is assumed that this is a disorder of memory retrieval. Recent neuroimaing studies reported that posterior cingulate cortex may play a important role in memory(autobiographical) retrieval. The authors reported a case of localized amnesia with mass on left posterior cingulate cortex.

      • KCI등재

        소셜 로봇의 인간-로봇 인터랙션 사례 연구 -소셜 로봇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김나현,박기철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2 No.-

        The robot market is expanding through software technologies such as AI and machine learning and hardware technologies such as sensors and motors. Among them, home social robots require various social and emotional exchanges with users such as entertainment and companion beyond the function of life assistance. Since this exchange with users is grea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uman-robot interaction,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method of social interaction. A total of 25 cases of home social robots released or disclosed were analyzed, and for the analysis, the design elements of social robots were set up and the robot interaction analysis framework was set accordingly. The methods of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robots are classified into sound, vision, and others, respectively, and in particular, the robot's expression method was divided into human-like and robot-like methods. In this study, the cases of human-robot interaction were analyzed and will provide as basic research data for a smoother and more efficient way of interaction design in the future. AI, 머신러닝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과 센서, 모터 등 하드웨어의 기술을 통해 로봇 시장은 넓어지고 있다. 그중가정용 소셜 로봇은 생활 보조의 기능을 넘어서 엔터테인먼트, 컴패니언 등 사용자와 다양한 사회적이고 감정적인교류가 요구된다. 사용자와의 이러한 교류는 인간-로봇 인터랙션의 발전과 크게 연관되어 있기에 사회적인 인터랙션의 방식 연구의 기초 연구로 본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출시되거나 공개된 총 25종의 가정용 소셜 로봇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소셜 로봇의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로봇 인터랙션 분석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였다. 로봇의 인지와 표현의 방식은 각각 청각, 시각, 기타로 분류되고 특히 로봇의 표현 방식에있어 인간같은(human-like) 방식과 로봇적(robot-like) 방식으로 구분해 분석하고 그 결과로 향후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로봇 인터랙션의 사례 연구를 통해 향후 원활하고 효율적인 방식의 인터랙션 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이해와 비약물적 중재 및 측정지표에 대한 문헌분석

        김나현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2

        비만은 건강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각종 질병을 유발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건강문제가 되고 있다. 과체중과 비만은 대사증후군, 심혈관계 질환, 암,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과 같은 간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NAFLD는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간내 대사증후군이 발현한 상태로(Cho, 2010), 음주경력이 없거나 주 40 g 미만의 알코올섭취에도 불구하고 알코올성 간염과 유사하게 간세포내 중성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Adams, Sanderson, Lindor, & Angulo, 2005). 여기에는 간세포에 지방의 과도한 축적만 있는 단순 지방간(simple steatosis) 간세포 괴사와 염증 및 섬유화를 동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및 이것이 진행되어 간경변증이 초래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된다. 심할 경우에는 간세포암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어(Sohn & Kim, 2010) 만성 간질환 분야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NAFLD는 심혈관질환 및 대사성질환의 발생 및 진행과정과 관련이 있는 주요 선행 위험지표이기도 하다(Reynoso & Lavine, 2012).

      • KCI등재

        유행각결막염 후 재발되는 상피하 침윤에서 점안 사이클로스포린과 타크로리무스 사용

        김나현,전루민,한경은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4

        목적: 유행각결막염 이후 반복되는 상피하 침윤을 사이클로스포린 안약과 타크로리무스 연고를 사용하여 조절한 1예를 보고하고자한다. 증례요약: 33세 여자가 양안 유행각결막염으로 점안 항생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던 중 3주 후 좌안에서 더 심한 양상의 다발성의상피하 침윤이 양안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0.5% loteprednol etabonate를 하루 8회로 시작하여 하루 1회까지 줄이면서 0.1% 사이클로스포린을 하루 1회 병용하였으나, 상피하 침윤이 재발하여 이후 2회에 걸쳐 스테로이드 점안제를 증량했다가 줄였으며, 0.1% 사이클로스포린은 하루 2회씩 점안하였다. 우안은 0.1% 사이클로스포린만으로 조절되었고, 좌안은 스테로이드를 줄일 때마다 상피하 침윤이재발하여 0.02% 타크로리무스 연고를 추가하였다. 좌안의 상피하 침윤은 타크로리무스 점안 2주 만에 호전되어, 이후 환자는 우안은0.1% 사이클로스포린 하루 1‐2회, 좌안은 0.02% 타크로리무스 연고를 3일마다 6개월간 상피하 침윤을 조절하였다. 결론: 유행각결막염 후 발생한 만성적인 상피하 침윤이 지속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점안 사이클로스포린과 타크로리무스 사용해 볼수 있겠다.

      • KCI등재

        Antiobesity Effect of Fermented Chokeberry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김나현,제갈종환,김윤나,정동민,허정두,노정래,양민혜,정은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21 No.11

        Black-fruited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growing mainly in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ve health benefits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However, a strong bitter taste of chokeberries limits its usage as functional food. We hypothesized that the fermented A. melanocarpa with a reduced bitter taste would improve insulin sensitivity and/or ameliorate weight gain induced by high-fat diet (HFD) in male C57BL/6J mice. The mice were administered with HFD together with the 100 mg/kg of natural A. melanocarpa (T1) or the fermented A. melanocarpa (T2) for 8 weeks. The treatment with T2 (100 mg/kg body weight, p.o.) markedly attenuated the weight gain and the increase in serum triglyceride level induced by HFD. The T2-treated group had better glucose tolerance and higher insulin sensitivity as measured by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intraperitoneal insulin tolerance test in comparison to the T1-treated group. Phy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stituents of T2 were cyanidin-3-xyloside and 1-(3',4'- dihydroxycinnamoyl)cyclopenta-2,3-diol, and the content of cyanidin glycosides (3-glucoside, 3-xyloside) was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From the above results, we postulated that antiobesity effect of black chokeberry was no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yanidin content. Fermented chokeberry might be a viable dietary supplement rich in bioactive compounds useful in preventing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