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비스디자인 평가모델 SDES의 확장과 적용사례 연구

        김귀련(Kim, Kwiryun),김승인(Kim, Seoung In),방정혜(Bang, Joungha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가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에서도 점차 많아지고,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수요가 커짐에 따라 이에 대한 평가 및 진단 툴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었다. 이에 SDES (서비스디자인 평가 시스템)가 서비스디자인의 과정 및 결과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 개념적인 툴로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SDES의 평가단계 및 평가차원과 항목들을 좀 더 구체화하여 서울시 범죄예방 프로젝트인 염리동 소금길 사례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평가항목 및 차원의 수정이 이루어졌고, 서비스유형 분류를 통해 종합평가지수가중치 부여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평가기준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the number of service design project and the demand for service design methods have been increasing, the tools to evaluate and diagnose the service design projects are required. Therefore SDES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s) has been developed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applied this framework to the real case, Salt Way project, one of the CPTED projects by City of Seoul, by refining the evaluation dimensions and measurement items. As well, it propose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evaluation framework and provided the total evaluation score index. The index can be used as a consistent evaluation standard with the weights given through categorizing public service industry.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평가모델(SDES) 개발에 관한 연구

        김귀련(Kwi Ryun Kim),방정혜(Joung Hae B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들을 기점으로 실질적인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들이 민간사업분야 및 공공사업의 여러 가지 분야에서 실행되고 있다. 또한 학계에서는 서비스디자인 커리큘럼이 개발되고, 다학제적인 학회 및 협의회의 활동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서 주목할 만한 결과물들이 나오고 있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평가기준이 불분명한 상태이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물이 재무적 성과나 고객 만족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또한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이렇게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서비스디자인 전반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은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체로 서비스마케팅 분야의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들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 평가가 아닌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를 평가하는 모델은 유럽의 서비스디자인업체들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평가모델들은 사용자만족도 평가나, 예산대비 비용절감 등 한 가지 측면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때문에 서비스디자인 제공자들은 각각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평가 도구들을 조합해서 활용하고 있지만, 일관성 부족으로 그 평가 결과들은 비교하거나 분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의 전체적인 과정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방식의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들을 고려한 평가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영학에서 연구되어온 서비스품질관리 및 평가 방법론, 소비자 행동이론들을 연구하고, 디자인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디자인프로세스 방법론 등을 기존 서비스 품질 평가 모델에 적용시킴으로써 평가모델을 발전시켰다. 서비스디자인의 기본개념수립을 시작으로 하여 선행연구 및 서적, 기존의 서비스 평가방법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SERVQAUL, SERVPERF외에도 Value Opportunity Analysis, VALS Model등 다양한 측정방법들이 활용되었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디자인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연구는 서비스디자인 평가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단계로서 제공자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항목을 제시함으로써 평가시스템의 각 단계를 확인,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service design concept introduced, service design projects have been practiced lively in many different countries in Europe including England o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addition, service design curriculums are developed in the academic worlds, and multidisciplinary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are working actively. Various service design projects are producing noticeable results worldwide, but there is no valid standard to evaluate the results objectively so far. Therefore in order to make service design profitable and satisfying customers as well as to provide users the high-quality services consistently, the need for a valid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 has been increasing. In spite of the necessity, there has been few method available to evaluate overall service design process so far. Mostly used are thos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for service quality in the service marketing fields. Even though European service design agencies are developing those evaluation models for service design, not for service quality evaluation, those models are either only focused on user`s satisfaction or the cost reduction. Due to this reason, service design providers have used various combinations of different evaluation models for each service design project, but because of the lack of consistency, it is difficul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s that can systematically evaluate the process step by step with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This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systems regarding those issues. Service quality evaluation methods and consumer behavior models from marketing field is studied for this paper and various design process methods are applied to the existing service quality measuring models.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the next step is gathering the published books, articles, and papers regarding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cluding SERVQUAL, SERVPERF, VALS and Value Opportunity Analysis, various methods are used for this study and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e new service design evaluation system is developed. This model developed is a conceptual study, which will be evolved to develop the service design evaluation index providing the measurement items for both provider and the user`s perspective and evaluating each step and a whole service design process.

      • 다중 웨이블릿 변환과 이진영상을 이용한 Blind 워터마킹

        김태호,김귀련,최중경,박무훈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5 공업기술연구 Vol.5 No.-

        The field of medical images has been digitalized a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he digitalization of the medical instruments. As a result it causes a lot of problems such as an illegal copy related to medical images and property right of the medical images. Therefore, digital watermarking is used for discrimination whether the data are modified or not. It is also used to protect both the property right of medical images and the private life of many patients. The proposed theories, the Non-blind and the Blind method, have two problems, One is needed an original image and the other is using a gaussian watermarking. This paper proposes the new Blind Watermarking using binary images in order to easily recognize the results of watermark. This algorism is described that an watermark of a binary image is wavelet-transformed, and then a transformed watermark is inserted in medium-band of frequency domains of original image by the Circular Input method. The propose method presented the good performance of over 0.97 in NC.

      • KCI등재

        달성군 60-64세 주민에서 흡연과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게

        이충원,이정림,김귀련,박종원,이미영,이정화,전종찬,백두현,서석권 대한보건협회 1997 대한보건연구 Vol.23 No.2

        흡연과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60-64세의 주민을 대상으로 달성군 보건소 보건요원들이 1996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대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수는 총 955명으로 남자 421명, 여자 534명이었다. 인지기능의 측정은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를 이용하였으며, 장애는 경한 점수인 23점 이하로 정의하였다. 남자에서 비흡연자에 비해 현재 하루에 11-20 및 21개피 이상 소비하는 사람은 각각 1.6l 및 2.99배(95% 신뢰구간 CI 1.29-6.92) 더 인지기능 장애일 확률이 높았다. 평생동안 1-29갑년과 30갑년 이상을 소비한 사람은 각각 1.14 및 1.76배(95% CI, 1.03-3.03) 더 장애일 확률이 높았다. 여자에서 흡연과 관련된 모든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모두에서 현재 하루 담배 소비량과 갑년은 인지기능 장애와 용량-반응 관계를 나타내었다. 교육, 연령, 음주, 죽상경화증을 시사하는 질병 및 고혈압을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통계를 하고서 흡연과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거의 모든 조비차비가 약간 감소하였으며 남자에서 유일하개 현재 하루에 21개피 이상 소비하는 사람의 비차비가 2.60(95% CI, 1.04-6.51)으로 약간 감소하였을 뿐 통계적인 유의성은 유지되었다. 이 연구에서 60-64세의 농촌 노인에서 흡연이 인지기능 장애의 상당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 개인에서 금연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흡연은 행동학적인 수정이 가능한 요인이므로 인지기능 장애 예방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Among risk factors, cigarette smoking may be negative or protective on cognitive function. Mechanism underlying long term negative effects may be through smoking-related biological effects while protective effects may be mediated via nonvascular biologic pathways. Several reports indicated that the vascular diseases are more prevalent as an etiology of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than Alzheimer's disease in Asian countries. Thus it is possible that negative effects of smoking on congnitive function is more likely in Asian countries. The target population was 1,329 elderly residents aged 60-64 in a rural community, Dalsung County with total population of 124,662. Number of residents actually used in this study was 955, comprising of 71.9% of the target population. The cognitive impairment was defined as a score below 24 (mild impair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which was administered face-to-face by interviewers of the local Community Health Center in 1996. In males, compared with non-smokers, those who consume 11-20 and more than 21 cigarettes per day had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cognitive imapairment (odds ratios(ORs), 1.61 and 2.99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6.92), respectively). Those with 1-29 and more than 30 pack-years had ORs 1.14 and 1.76 (95% CI 1.03-3.03) respectively. In females, all the smoking-related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Daily cigarette consumption and pack-years showe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in both sexe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including education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st of the crude ORs were slightly reduced in both sexes and the only significant OR maintained was daily consumption of cigarettes more than 21 in males with 2.60 (95% CI 1.04-6.5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moking, especially in males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rural residents aged 60-64.

      • KCI등재후보

        산업장 근로여성에서 빈혈증과 관련된 생활양식변수

        이충원,조원철,이미영,서석권,김귀련,신혜원 大韓産業醫學會 199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8 No.1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in 1995 to investigate lifestyle variables associated with anemia in some female workers of the six large plants in Taegu. Cases were selected by a doctor based on symptoms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controls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limits(±5) plant employed. The final subjects analyzed were 385 excluding 36 who had underlying diseases associated with anemia or many missing values. Anemia was defined by the blood hemoglobin level less than 12 g/dL. Anemic subjects were 190(49.4%) with nonsignificant age distribution between cases and controls.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variables. Number of pad used during menstruation(odds ratio, OR=1.03,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05) was the only significant among the menstruation-related variables. None of the lifestyle variables were significant but those who consume more than 4 cups of coffee a day vs. none and animal iron intake showed borderline statistical signficance with the ORs 2.60 and 0.99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marital status, native place and number of pad with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ose who consume more than 4cups of coffee a days vs. no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2.93(95% CI 1.01-8.49). Animal iron intake and diet to lose weight indicated borderline significance with ORs 0.99(p=0.06) and 1.47(p=0.0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anemia-associated lifestyle variables and these variables may be important for the behavior modification to prevent anemia in femal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