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자료의 분광 특징 분리에 의한 감독 분류 성능 향상

        김광은 ( Kwang Eun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공간 영상 자료의 감독 분류에 있어, 분석자에 의하여 선정된 분류 항목별 교사 자료를 분광 특징별로 다수의 군집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군집을 새로운 분류 항목의 교사 자료로서 설정함으로써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정 분리를 통하여 생성된 교사 자료는 비교적 작은 값의 밴드별 분산값을 가질 뿐 아니라 정규분포 형태의 자료 분포를 보이게 되어 통계적 감독 분류 기법의 적용에 적합한 교사 자료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제안된 기법은 부산 지역에 대한 Landsat TM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그 적용성이 시험되었으며, 기존의 통계적 분류 기법들에 의한 결과와 그 성능이 정성적으로 비교되었다. 시험 적용 결과, 본 기법은 분석자가 선정한 교사 자료의 분광적인 분포 형태에 관계없이 우수한 분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분류 항목의 설정 및 항목별 교사 자료의 선정에 있어 교사 자료의 분광적 특정에 대한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by separating the spectral signature of the training data sets for each class. Using clustering technique, a training data set is divided into several subsets which show a pattern of the normal distribution with small value of spectral variances. Then a supervised classification is applied with the divided training data set as training data for the temporary subclasses of the original clas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a Landsat TM image of Busan area for the applicability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better classified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method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reduce the effort and expense for selecting the training data set for each class in an area which has spectrally homogeneous signa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초분광 영상자료의 Endmember 추출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김광은 ( Kwang Eu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MNF 변환 후 각 밴드별 최소, 최대값을 가지는 화소들을 추출하고, 이 후보 화소들만을 대상으로 endmemeber를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영상자료의 크기와 관계없이 밴드수×2개에 해당하는 화소들만을 대상으로 endmember를 추출하므로 전체 화소를 대상으로 endmember 여부를 계산하는 기존의 기법들보다 계산시간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모의 초분광 영상자료 및 미국 네바다 Cuprite 지역의 AVIRIS 초분광 영상자료에 N-FINDR 기법을 적용하여 endmember를 추출함에 있어 본 기법을 적용해본 결과, 전체 화소를 대상으로 처리한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잡음에 의한 영항과 후보 화소 추출기준 등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대용량 초분광 영상자료의 처리 및 분석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fast algorithm for endmember extraction is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extracts min. and max. pixels from each band after MNF transform as candidate pixels for endmember. This method finds endmembers not from the entire image pixels but only from the previously extracted candidate pixels. The experimental results by N-FINDR using a simulated hyperspectral image data and AVIRIS Cuprite image data showed that the proposed fast algorithm extracts the same endmember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More studies on the effect of noise and more adaptive criteria in extracting candidate pixel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is method for more fast and efficient analysis of hyperspectral image data.

      • IoT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절약형 보이는 초인종 설계

        예은(Ye-Eun Kim),희정(Hee-Jeong Kim),장우희(Woo-Hee Jang),유호균(Ho-Gyun You),최지원(Jiwon Choi),이광재(Kwang-Jae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This paper is a system that visually informs the hearing impaired to visit other people by blinking the light of a room using the IoT technology. The system combines the power of home-use lights with low-power IoT devices to provide visual notifications. Using a current sensor, this system can track user location and then turns on and off the light in that room only to save energy. The proposed idea can create a society that is equal to everyone and can live more conveniently.

      • KCI등재

        초분광 영상의 endmember 자동 추출을 위한 수정된 Iterative N-FINDR 기법 개발

        김광은 ( Kwang Eu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영상의 분광혼합분석을 위한 endmember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기법은 N-FINDR기법의 장점과 IEA기법의 장점을 혼합한 형태로서, 추출하고자 하는 endmemebr의 개수 등 사전 입력변수를 전혀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반복계산 과정에서 단계별로 spectral unmixing을 수행하므로 endmember별 abundance fraction을 최종 결과물로 생성한다. USGS의 분광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생성한 모의 초분광 영상자료에의 시험적용 결과, endmember의 개수와 반사특성, abundance fraction이 매우 정확하게 추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영상 영역내에 단일 물질로 순수하게 100% 피복된 pure pixel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는 실제 초분광영상자료에의 적용성 시험을 위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A modified iterative N-FINDR algorithm is developed for fully automatic extraction of endmembers from hyperspectral image data. This algorithm exploits the advantages of iterative N-FINDR technique and Iterative Error analysis technique. The experiments using a simulated hyperspectral image data shows that the optimum number of endmembers can be automatically decided. The extracted endmembers and finally generated abundance fraction maps show the potentialities of the proposed algorithm. More studies are needed for verific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algorithm to the real hyperspectral image data where the absence of pure pixels is common.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혈청 CA 125 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

        세광(Sei Kwang Kim),정재은(Jae Eun Chung),재욱(Jae Wook Kim),영태(Young Tae Kim),동규(Dong Kyu Kim),노성일(Sung Il Roh),조정현(Jung Hyun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0

        N/A Objective : The prognostic value of serum CA 125 sampled before the staging operation and the right CA 125 cut-off level in endometrial cancer was evaluated. Methods : Medical charts of 119 endometrial cancer patients diagnosed and surgically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March 1995 to March 2001 were reviewed. The prognostic value of CA 125 was evaluated by comparing it to other established prognostic factors of endometrial cancer such as myometrial invasion, cervix extension, tumor size, and grossly invasive disease. Enzyme immunoassay (Elecsys 2010; Roche Ltd., Basel, Switzerland)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serum CA 125. Results : The level of presurgically taken serum CA 125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established prognostic factors of endometrial cancer. CA 125 was one of the information that could be obtained prior to the surgical staging for predicting extensive endometrial cancer, and it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5 year survival. CA 125≥20 U/ml had a higher sensitivity and lower false negative rate in predicting extensive endometrial canc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used level of CA 125≥35 U/ml. Conclusion : CA 125 has a prognostic value in predicting the extensive endometrial cancer needing lymphadenectomy, therefore it might be included in the baseline study of endometrial cancer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and individualizing the treatment modality. CA 125≥20 U/ml might be considered as the cut-off level in endometrial cancer for a better sensitivity and false negative rate.

      • 고령층 근감소증 환자의 운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분석

        수림(Kim Soo Rim),도윤(Kim Do Yun),오지수(Oh Ji Su),정인(Kim Jeong In),은진(Kim Eun Jin),하광수(Ha Kwang Soo)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인구 고령화와 함께 다양한 노인 질환의 극복은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한 관심 사항이 되고 있다. 다양한 노인 질환 중 근 감소증의 경우 근육량, 근력, 근육 기능 등이 감소하는 질환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고 당뇨나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심각도가 높은 질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감소증 증상을 겪고 있는 노인을 위한 재활 운동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를 디지털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재활 App. UX 전략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근 감소증 증상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 부족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원형레일 기반 지상 SAR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위치 정밀 제어 기술 개발

        김광은 ( Kwang Eun Kim ),조성준 ( Seong Jun Cho ),성낙훈 ( Nak Hoon Sung ),이재희 ( Jae Hee Lee ),강문경 ( Moon Kyung Kang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7 No.1

        원형레일을 기반으로 하는 지상 SAR 시스템인 ArcSAR 시스템에서 간섭(interferometry)기법의 적용이 가능한 정밀한 지상 SAR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위치의 정밀한 제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력 선형 스케일(Magnetic Linear Scale)을 이용하여 기존 ArcSAR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위치 값의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자력 엔코더(Encoder) 값을 이용하여 안테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ArcSAR 시스템의 제어 체계에서는 안테나 회전 각도에 대한 평균 RMS 오차가 0.043°였으나, 본 기술을 통해 0.006°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는 3미터 길이의 arm을 기준으로 할 때, 안테나 위치 정확도에 대한 평균 RMS 오차가 2.262mm에서 0.324mm로 감소된 것에 해당한다. 본 기술을 통해 매우 정밀한 지상 SAR 영상자료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향후 간섭기법의 적용을 통해 지반 및 대형 구조물의 미세변위에 대한 초정밀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cise control of antenna position is very critical in ArcSAR system which uses an arcrail as a platform for the antenna movement instead of linear rail. In order to minimize the antenna positional error, we improved the motion driving system and applied a newly developed motion control S/W which utilizes the real time antenna position information from magnetic linear scale and encod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otational RMS error was reduced to 0.0062˚ from 0.0432˚. In terms of antenna positional RMS error for the arm length of 3m, it was reduced to 0.324mm from 2.262mm. It is expected that the ArcSAR system can be used to monitor the sub-millimetric displacement of terrain and structural tar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