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술중계-정밀공업의 오늘과 내일

        김광식,Kim, Gwang-Sik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86 과학과 기술 Vol.19 No.10

        이 글은 지난 8월 26일부터 27일 2일간 한국기술사회가 실시한 기술사 보수교육에서 김광식 교수가 강의한 내용이다. <편집자 주>

      • KCI등재
      • KCI등재

        최상수의 한국전설집 재검토

        김광식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4 No.-

        본고에서는 나카무라 료헤이 전설집을 중심으로 최상수의 영향관계를 명확히 하 였다. 최상수는 해방 전후에 간행한 전설집을 추려서 한국민간전설집(1958)을 간행하였다. 최상수의 전설집은 채집력을 명기한 전설집으로 높이 평가되었지만, 그 내용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먼저 최상수의 첫 전설집 1944년 판(조선의 전설(朝鮮の傳說))을 분석하였다. 1944년판에는 민담을 포함해 61 종의 설화가 수록되었는데, 그 중 1편은 이마무라 도모의 것을, 34편은 나카무라 의 지나․조선․대만 신화 전설집(1929)에서 전재했음을 확인하였다. 최상수는 나카무라 전설집을 활용해 16편의 신라 관련전설을 포함해, 총 46편 의 전설을 나카무라 전설집에서 활용하였다. 그러나 최상수는 이 사실을 밝히지 않고, 채집력을 의도적으로 가공하면서까지 나카무라 전설집의 일부를 자신의 자 료에 포함시켰다. 본고에서는 나카무라 전설집과 최상수의 1944년판 및 1957년 판을 철저하게 대조 검토하여 그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본고에서는 일본 어의 문제와 식민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번역 상 문제가 발생한 <어씨의 시조> 등과 나카무라의 개악을 바로 잡은 <용정(龍井)>, 그리고 임진왜란 관련설화를 검토하여 나카무라 전설집을 개작하면서 발생한 관련설화의 변용양상을 명확히 하였다. 최상수의 전설집은 문제를 내포한 텍스트로, 이번에 출전을 밝힌 자료에 대해서는 신중한 해석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최상수를 포함한 전설집의 영향 관계에 대한 보다 치밀한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concerning with Ryohei Nakamura's legend collection and Choi Sang-soo's legend collection. Choi Sang-soo collected the legend collections issued in about 1945 and issued the Korean legend collection (1958). Choi Sang-soo’s legend collection is estimated highly as the legend collection which wrote a speaker clearly. But it isn't analyzed about its reality. The first legend collection of Choi Sang-soo (Korean legend 1944) was analyzed. 61 accounts are recorded in 1944 year edition including a folk tale. 34 accounts which are soon found out that the legend collection of Nakamura (1929) was reprinted. But Choi Sang-soo doesn't make this fact clear and is recording in the legend collection. The influence wa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legend collection of Nakamura and Choi Sang-soo’s legend collection (1944 year version and 1957 year version) contrastively by this study. A study about influence of the legend collection including Choi Sang-soo will be desired from now on.

      • KCI등재

        식민지기 재조일본인의 구연동화 활용과 전개양상

        김광식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8 No.-

        본고에서는 근대 일본을 대표하는 구연동화가 이와야 사자나미와 구루시마 다케히코의 활동을 조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개략하고, 그 영향을 받은 재조일본인의 움직임을 고찰하였다. 재조일본인 구연동화가는 경성일보를 통해 활동했는데, 구루시마의 인맥(오토기구락부와 회자회)이 활용되었다. 1918년에 다쓰야마 루이코는 재조일본인 소학교를 중심으로 오토기 강연회를 실시했지만 단기간의 활동에 그쳤다. 매일신보 및 경성일보는 1921년 말부터 소아회를 발족시켜 그 대상을 조선아동으로까지 확대시켜 구연동화를 보급시키려고 노력했고, 1923년 조선동화보급회를 통해 구체화 된다. 소아회와 조선동화보급회는 시모노세키 오토기구락부의 야시마 류도와 회자회(回字會)의 사다 시코가 동시에 참여했는데, 야시마는 전자를, 사다는 후자를 주도했다. 사다는 계속해서 1925년 말부터 1931년까지 조선아동협회를 이끌며 스승 구루시마를 비롯해 회자회 회원을 다수 조선에 초청해 구연 순례회를 개최했다. 영미권(英美圈)에서는 도서관원이 원화(原話)에 중점을 두고 소규모로 스토리텔링하는 방식으로 발달․보급된데 반해, 일본에서는 구연동화가, 교육자, 종교 관계자가 큰 장소에서 웅변술과 같은 화술과 제스처를 중시하고, 대중적 성격을 지니고 독특한 발전을 이루었다. 구연동화의 보급자 구루시마는 근세적 일본 전통과 개인적 전쟁체험(청일전쟁, 러일전쟁 참전), 군인, 기독교 신자, 당대 내셔널리즘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정신 및 인격 수양을 목표로 구연동화를 보급하였다. 사다는 아동애호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1923년 조선동화보급회, 경성소년의용단, 1924년 내선(內鮮)아동애호연맹, 1925년 경성소년단, 조선아동연맹(조선아동협회로 개칭) 등 여러 단체명을 수시로 바꾸면서 아동애호를 위한 교화활동, 잡지 발행, 강연회, 모성존중, 모체보호사업 장려, 일본에서의 조선 소개 구연활동 등을 전개했다. 1928년 당시 사다의 구연활동은 대중구연동화, 교실동화, 종교동화를 전부 포괄하며 조선아동협회 주간, 경성사범학교 내 순광(醇光)동화연구회 고문, 종교동화일본연맹 간사 등을 역임하며 전방향적으로 활동했지만, 그 주요 활동의 대상과 목적은 일본아동과 ‘내선융화’에 있었다. 읽기용 일본어 조선동화집에 비해, 일본어 구연동화는 조선아동에게 더 높은 일본어 능력을 요구했다. 일본어 구연동화의 활용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취학률과 일본어 식자율의 저조로 인해 조선아동으로까지 대상을 확장하는 데 한계로 작용하였다. 이를 민감하게 인식한 고이케 다케루는 의태어 등을 생략한 구연을 제안했지만, 이 또한 대안이 될 수는 없었고 식민지 언어 문제는 심각한 균열을 야기했다. 본고는 일본어를 중심으로 다루었지만, 조선어와 일본어를 통한 읽고 쓰기용 조선동화집, 듣기용 구연동화, 말하기용 구연동화집의 수용과 확산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 검토는 앞으로의 과제다. Activity of Fairy tale storytelling writer who represents Japan (Sazanami Iwaya and Takehiko Kurushima) was considered in concerning with Chosun by this paper. And the movement of the Japanese Settlers in Chosun under Japanese Rule who underwent influence of Takehiko Kurushima was considered. The Japanese Settlers in Chosun Fairy tale storytelling writer came into action through the Gyeongseongilbo mainly. And That concerned connections of Kurushima (Otogi-club and Kaijikai). The Maeil-sinbo and the Gyeongseong-ilbo made the children’s committee start from the end of 1921, and even made them expand to a Chosun child, and tried to make a Fairy tale spread. It was embodied through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in 1923 actually. Yashima of Shimonoseki Otogi-club, Sada of Kaijikai participated with the children’s committee and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Yashima took the lead in the children’s committee and Sada took the lead in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Sada led a Chosun child society from the end of 1925 to 1931 continuously. Sada asked a member of Kurushima and Kaijikai to Chosun and held a Fairy tale storytelling meeting. A library clerk put emphasis on field talk in the area of England and America, and it developed by the system which does small-scale storytelling. But an art of conversation like an oratory and a gesture are emphasized at a big place in Japan, and, it's popula. Kurushima is the spread person of a Fairy tale storytelling in Japan. Kurushima utilized Japanese tradition and nationalism and made a Fairy tale storytelling spread, targeting the training of spirit and the character. Sada had the interest in child's kind movement and established various child groups. Sada organized the Chosun Fairy tale spread Group (1923), child love union of Japan and the Chosun (1924) and Chosun child society (1925) etc. But Sada had the interest in Japanese child and was aiming at goodwill of Japan and Chosun. Japanese Fairy tale storytelling requested the high Japanese ability of a Chosun child compared with the Japanese Fairy tale collection for reading.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in the colony Chosun and the expert rate of Japanese were low in 1920's. Chosun child couldn't understand Japanese Fairy tale storytelling with that. For example, Takeru Koike understood such situation and proposed Fairy tale storytelling from which an imitative word was omitted. But this couldn't be also an alternative. Language problem in a colony has caused a serious crack.

      • KCI등재

        백용성 萬日參禪結社會의 전개와 성격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7 大覺思想 Vol.27 No.-

        본 고찰은 근대기 고승인 백용성이 1925년 10월, 망월사에서 禪律兼行을 표방하면서 시작한 萬日參禪結社會의 전모를 정리한 논고이다. 결사회에는 午後不食, 平時默言, 洞口不出이라는 규칙이 관철되었고, 30여명의 수좌들이 동참하여 간화선 수행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결사회는 1926년 4월 통도사 내원암으로 이전되었고 1927년 8월 경 자진 해소되었다. 결사회는 근대기 최고의 선지식인 백용성 주도, 결사의 내용, 결사에 참여한 일부 수좌의 명단은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접근은 미약하였다. 이는 결사회의 참가자를 전하는 기록이 없었던 것에서 연유한다. 그런데 최근 발간된 『백용성대종사 총서』의 신발굴자료에 결사회의 방함록이 수록되어, 결사회를 연구할 수 있는 단초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필자는 그간 백용성 연구를 하면서 수행하지 못한 결사회의 개요, 성격을 분석할 수 있었다. 결사회는 일제하 불교공간에서 대두된 점, 결사회의 사상적인 지향, 결사회를 주도한 백용성의 위상, 결사회에 참가한 수좌들의 전모를 볼 때 다양한 역사성, 성격을 들추어 낼 수 있다. 이 고찰에서는 필자는 결사회의 개요, 역사적 추이, 백용성과 관련된 내용 등을 중심으로 개괄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추후에는 결사회의 사상, 계승, 간화선, 참가자의 분석 등이 더욱 요청된다. 이 고찰이 일제하의 선불교, 근대기 결사의 성격, 백용성 연구 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the assembled society for the ten-thousand day meditation which was started by the modern high priest, Baek, Yongseong who insisted on Seonyul Gyeomhaeng 禪律兼行(carrying out the dynaya and the vinaya at the same time) at the Mangwol monastery in Oct, 1925. The assembled monastery set up the rules, 午後不食(do not eat after the lunch), 平時默言(be silent if not an important matter), and 洞口不出(do not go out of the temple) and about 30 persons buddhist practitioners joined together and practiced the Ganhwa Seon there. However, the society moved to the Naewon hermitage of the Tongdo monastery in April, 1926 and was dismantled naturally in Aug, 1927. Actually, this assembly was led by the high intelligent priest Baek, Yongseong and there has been som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of the society and the list of some buddhist monks who took part in, though related few researches have been made so far. Because there was no any log which tells enough the participants of the society. Fortunately, I could find out that the list of participants of the society was in the newly excavated sources of the great master Baek, Yongseong's collections which were recently published. Based on it, I analyzed the assembled society with the purpose and its activities which I could not carry out exactly while doing researches for the reverend Baek, Yongseong. Through the facts that the society was establishe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had its unique ideological direction with the high priest Baek, Yongseong and other monks who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it is likely to discover various historical issues. In this paper, I tried to do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content of the society, its historical meaning,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Baek, Yongseong. As it requires more study on the ideology of the society, its succession, Ganhwa Seon, and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I look forward to having this research be helpful to the studies for the Seon Buddhism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society in the modern time, and the reverend Baek, Yongseong.

      • KCI등재후보

        한용운의 불교 근대화 기획과 승려결혼 자유론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08 大覺思想 Vol.11 No.-

        본고찰은 한국 근현대 불교의 가장 뜨거운 담론의 하나인 한용운의 승 려 결혼에 대한 제반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이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찬반 양론의 감성적인 접근이 주된 정서였다. 이에 필자는 그 같은 접근을 참고하면서도 한용운이 승려결혼을 자유스럽게, 선택케 하자는 주장을 한 고뇌, 이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한용운을 승려결혼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선 근현대 승려 결혼 에 뒤엉킨 제반 문제를 냉정하게 바라보아야 한다. 즉 승려결혼의 도입 배경, 수용 과정, 결과, 문제점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야 한다. 그리고 해 방직후 불교개혁, 1950년대 비구승, 대처승의 정화운동, 정화운동 이후 의 변화, 현재 불교계 내부에서의 변질 등도 간과할 수 없다. 필자는 이 같은 근현대 불교계의 승려결혼의 문제, 흐름, 정서를 바라 보고, 한용운의 주장, 논리, 이념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한용 운의 불교근대화 기획의 핵심이 승려결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한용운의 그 논리는 조선불교유신론, 조선불교 개혁안, 한용운의 개혁론인 대중 불교론에 관철되었다. 한용운의 승려결혼 자유론에는 승려의 인권론과 불교사회화론이 강하게 개재되었다고 필자는 본다. 추후에는 한용운의 주장이 어떤 과정을 거쳐 불교계에 수용되었는가를 살펴야 된다고 본다. 그리고 현재 불교계에서 아직도 생명력을 갖고 있 는 한용운의 논리 중에서 한용운의 강조한 불교사회화론의 수용, 변질, 영향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reviews the general discussion about Han Yong Woon's advocacy of clerical marriage of monks, which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modern Korean Buddhism. The emotional approach to this issue, where only the pros and cons are weighed, has been the major focus on this.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analyse Han's thinking process and reasoning behind his opinion about free marrage of monks as well as the general discussion related to this topic. In order to understand Yong-Woon's opinion about clerical marriage, we need to understand overall patterns of monk's free marriage in modern era. The first thing that needs contemplating is the circumstances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he process, results and problems from its acceptance in Korean monasticism. It should be followed by contemplation of the Buddhist movement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rification movement in the 1950s, the changes made from it, degeneration inside the Buddhist society. I made an attempt to contemplate the current concerns about free marriage of Buddhist monks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general responses to it, and to analyze Han's opinion, reasoning, and ideology behind it. As a result of this attempt, I confirm that the essence of Han Yong Woon's claim about Buddhist socialization is free marriage of Buddhist monks. His reasoning is consistent throughout his writings such as [Choseon Buddhist Yusinlon(朝鮮佛敎維新論)], Choseon Buddhist plans for reform, and Buddhism for the general public. I also suggest that Han Yong-Woon's advocacy of clerical marriage of monks strongly presents his passion about human rights for monks and Buddhist socialization. The process in which Han's opinion about marriage of monks were accepted to the Buddhist society need to follow all the discussions regarding to this issue.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can further look into Han's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changes, and influences of Buddhist socialization, which still has its vial influence in the Korean Buddhist society.

      • KCI우수등재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간의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영국의 PPG 13과 LTP 사례를 중심으로)

        김광식 대한교통학회 2001 대한교통학회지 Vol.19 No.1

        이 논문은 도시계획이나 교통계획과정에서 교통과 토지이용을 서로 연계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통합계획 체계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영국의 1994년 도시계획 정책지침 제13호와 1999년의 도시계획 정책지침 제13호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교통과 토지이용의 정책적 통합과정을 파악하고, 또한 개발계획과 지방교통계획의 내용과 절차를 분석하여 교통계획과 토지이용계획의 제도적 통합체계를 모색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카디프시의 단일개발계획과 지방교통계획의 실제 수립사례를 통하여 계획 상호간의 연계체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통과 토지이용을 계획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도시 및 농촌계획법, 환경법, 도로교통저감법 등의 법과 도시계획 정책지침 제11호, 제12호, 제13호와 지방교통계획 지침을 서로 연계시키고 있고, 둘째 개발계획과 교통계획의 목표설정, 전략개발, 계획추진 과정에서 교통과 토지이용부문간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중앙정부로부터 교통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셋째 카디프시는 계획수립의 초기단계부터 관련 기관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자문과 의견청취를 시행하며, 특히 주민의 참여를 적극 유도함으로써 사전에 이해 당사자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있고, 또한 계획안 작성에 있어서도 간결하고 명확한 정책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있고, 복잡하고 난해한 수식, 도표나 도면 제시는 되도록 지양함으로써 정책결정자나 주민이 계획안을 쉽게 이해하도록 서술하고 있다는 점등이 특이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ursue a case study of urba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linkage policies based on a British city of Cardiff, Wales. To this end, the paper combines a review and synthesis of available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sources, an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planners and a extensive survey of planning policy document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in the city context. Considerable emphasis is placed on the analysis of the British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in terms of the Policy guidance notes 11, 12 and 13 as well as the local transport policy guidance. The paper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Cardiff unit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ocal transport plan form a policy framework of integrating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employing travel demand management schemes and implementing the various strategy components on the overall aim of achieving and maintaining a sustainabl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