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규석(Kyu-Seok Jung),정강호(Kang-Ho Jung),박우균(Woo-Kyun Park),송요성(Yo-Sung Song),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3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level for oriental melon at Seong-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with a fertigation system. Four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fertigation were applied to oriental melon and growth of the plant was analyzed.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8 times and were analyzed by the standard methods. The first fertigation was applied at 10 days after transplanting for the oriental melon based on the growth rates of the plants. For oriental melon, 10 day interval fertigation and 8 time split application of fertilizer could be recommended. The amounts of N, P, and K fertilizer recommended by soil testing was 249-408-315 (kg ha<SUP>-1</SUP>). Treatment levels were 0, 0.5, 1.0, and 1.5 times of soil testing nitrogen with P and K level fixed. The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dried leaf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ntil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n decreased. T-N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fertigation rates. T-N content in dried fruit decreased slightly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Fresh weight and nitrogen uptak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fertigation rates. Total yield and marketable yield, 44,550 kg ha<SUP>-1</SUP> and 42,880 kg ha-1<SUP></SUP>, were maximized at 0.5 times of soil test nitrogen. Ratio of marketable fruit, 95%, was the highest at 0.5 times of soil test nitrogen. The optimum level of nitrogen for fertigation system was 0.5 times soil test nitrogen judging from total yield, commodity yield and commodity fruit.
퇴비에서 온도조건에 따른 Salmonella enterica와 Staphylococcus aureus의 내열성 변화
정규석(Kyu-Seok Jung),허성기(Sung-Gi Heu),노은정(Eun-Jung Roh),장미나(Mee-Na Jang),이동환(Dong-Hwan Lee),최재혁(Jae-Hyuk Choi),이선영(Sun-Young Lee),윤종철(Jong-Chul Yun),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를 대상으로 온도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 ( S. enterica, S. aureus)의 생존능 및 생존기간을 조사하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한 가축분 퇴비의 생산과 이용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에 S. enterica를 접종하여 온도에 따른 생존 변화양상을 조사한 결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10℃에서 가장 오래 생존하였고, 55℃에서는 하루 만에 사멸하였다. 처리온도 10℃에서 초기농도 7.58 log CFU g?¹이었고 그 이후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140일에는 4.90 log CFU g?¹였는데 감소폭이 낮았다. 처리온도 25℃에서 초기농도는 7.83 log CFU g?¹이었고 0~60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140일에는 모두 사멸하였다. 35℃에서는 0~2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60일 까지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70일에 전부 사멸하였다. 55℃에서는 접종 1일경과 후에 모두 사멸하였다. 생존기간은 처리온도 10, 25, 35, 55℃ 순이었는데 고온일수록 빨리 사멸하는 결과를 보였다. 가축분 퇴비 내 S. aureus의 생존변화를 실험한 결과, 처리온도 10℃에서 초기농도 7.87 log CFU g?¹이었고 그 이후 점점 감소하기 시작하여 90일에는 전부 사멸하였다. 처리온도 25℃에서 초기농도는 7.70 log CFU g?¹이었고 0~15일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70일에는 모두 사멸하였다. 35℃에서는 0~7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35일까지는 약간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일 정도에 전부 사멸하였다. 55℃에서는 접종 1일 경과 후에 모두 사멸하였다. 생존기간은 처리온도 10, 25, 35, 55℃ 순이었는데 S. enterica와 비슷하게 온도가 높아질수록 사멸속도가 빨라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오염퇴비를 통해서 신선상태의 채소류 등에 전이가 될 경우는 식중독 사고의 잠정적인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므로 퇴비제조 시 병원성 미생물이 사멸할 수 있는 부숙과정을 거치거나 부숙 후 퇴비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anures contain a variet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that pose a risk to human or animal. On-farm contaminations through contaminated manure were considered likely sources of the pathogen for several outbreak. Pathogenic microorganisms may survive in low numbers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and subsequently regrow to high levels under favorable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emperature on survival of Salmonella enterica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livestock manure compost. Commercial livestock manure compost (manure 60%, sawdust 40%) was inoculated with S. enterica and S. aureus. Compost was incubat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35, and 55℃) for 20 weeks. Samples were taken every week during incubation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S. enterica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 over 140 days at 10℃, 140 days at 25℃, and 70 days at 35℃, respectively. S. aureus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 and 90 days at 10℃, 70 days at 25℃, and 40 days at 35℃,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S. enterica and S. aureus persisted long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S. enterica survived longer than S. aureu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and 35℃).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guidelines to applicators of soil in deciding appropriate handling and time frames for land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Results from these studi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identifying manure handling practices to reduce the risk of S. enterica and S. aureus transmission to fresh produce.
정규석(Kyu-Seok Jung),노은정(Eun-Jung Roh),류경열(Kyung-Yeol Ryu),김원일(Won-Il Kim),박경훈(Kyeong-Hun Park),이동환(Dong-Hwan Lee),김계훈(Kye-Hoon Kim),윤종철(Jong-Chul Yun),허성기(Sung-Gi Heu)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고 유기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4종의 일반 세균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이의 일반 세균수 수준이 가장 높았고, 토마토의 일반 세균수는 가장 낮았다. 유기농 채소 중 깻잎의 일반 세균수는 4.2~7.7 log CFU g?¹, 상추는 5.0~8.0 log CFU g?¹, 토마토는 4.0~7.5 log CFU g?¹, 오이는 6.6~8.6 log CFU g?¹ 범위였다. 유기농 채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세균수는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중독균 오염수준은 극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산, 유통 단계에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pathogens in organic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A total of 189 organically grown vegetable samples (perilla leaf 50, lettuce 50, tomato 39, cucumber 50)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aerobic plate coun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Yersinia enterocolitica. The total aerobic plate counts were in the range of 4.2 to 7.7 log CFU g?¹ for perilla leaf, 5.0 to 8.0 log CFU g?¹ for lettuce, 4.0 to 7.5 log CFU g?¹ for tomato, and 6.6 to 8.6 log CFU g?¹ for cucumber. The highest counts were found in cucumb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 aureus, L. monocytogenes, and Y. enterocolitica were not detected from any organically grown vegetable sampl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tinuous monitoring in organic vegetables is required to improve fresh produce safety.
시설상추 생산체계에 대한 top-down 방식 전과정평가
유종희(Jong-Hee Ryu),김계훈(Kye-Hoon Kim),소규호(Kyu-ho So),이길재(Gil-Zae Lee),김건엽(Gun-Yeob Kim),이덕배(Deog-Bae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시설재배 상추생산체계에 대한 LCI DB를 구축하고 상추의 탄소성적산정과 전과정 영향평가를 위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추재배에 관련된 농작업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GTG 목록작성결과 시설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가 각각 7.85E-01 kg kg<SUP>-1</SUP> lettuce, 4.42E-02 kg kg<SUP>-1</SUP> lettuce로 비료의 투입량이 가장 높았다. 비료와 에너지의 투입이 시설상추 생산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물질이었다. 영농단계에서 발생하는 직접 대기배출물 CO₂, CH₄, N₂O 배출량의 합은 3.23E-02 kg kg<SUP>-1</SUP> lettuce이었다. 시설 상추 1 kg을 생산 전과정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LCI 분석한 결과 시설상추 생산체계 전과정을 통하여 상추 1kg 생산에 발생하는 온난화 가스는 CO₂가 8.65E-01 kg CO₂ kg<SUP>-1</SUP>로 가장 많았고, CH₄와 N₂O가 각각 8.59E-03 kg CH₄ kg<SUP>-1</SUP>, 2.90E-04 kg N₂O kg<SUP>-1</SUP>이었다. 전체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공정은 비료생산으로 나타났고, 특히 아산화질소 발생에서 상추재배단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질소 비료 시용에 의한 아산화질소의 대기배출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각 온난화 가스들의 발생량을 CO₂-eq.로 환산하여 시설 상추 생산체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 성적값으로 산정하였다. 시설상추 생산체계의 탄소 성적값은 1.14E+00 kg CO₂-eq. kg<SUP>-1</SUP>였다. CO₂-eq.로 환산된 탄소 성적에 CO₂ 발생 비중이 총 온실가스 배출량에 약 76%, CH₄는 16%, N₂O는 8%를 차지하였다. LCI 분석결과 영농작업 단계에서 배출되는 온난화 가스의 주요원인은 농기계사용으로 인한 화석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 질소와 질소비료 시용에 기인한 아산화질소의 대기 발생이었다. 전과정 영향평가 영향범주 중 포장에서 배출되는 CO₂, CH₄, N₂O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영향범주는 지구온난화 영향범주와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범주 이며, 평가결과 지구온난화 영향범주의 특성화 값은 1.14E+00 kg CO₂-eq. kg<SUP>-1</SUP> 이었고,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범주 특성화 값은 9.45E-05kg C₂H₄-eq. kg<SUP>-1</SUP>이었다. 대부분 영향범주에서 비료생산에 의한 환경영향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농자재생산 공정과 에너지생산 공정이 환경영향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emission using LCA (Life Cycle Assessment) and to establish LCI (Life Cycle inventory) DB for lettuce production system in protected cultivation. The results of data collection for establishing LCI DB showed that the amount of fertilizer input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as the highest. The amounts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 input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ere 7.85E-01 kg and 4.42E-02 kg, respectively. Both inputs of fertilizer and energy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The amount of field emission for CO2, CH4 and N2O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as 3.23E-02 kg. The result of LCI analysis focused on GHG (Greenhouse gas) showed that the emission value to produce 1 kg of lettuce was 8.65E-01 kg CO2. The emission values of CH4 and N2O to produce 1 kg of lettuce were 8.59E-03 kg CH4 and 2.90E-04 kg N2O, respectively. Fertilizer production process contributed most to GHG emission. Whereas, the amount of emitted nitrous oxide was the most during lettuce cropping stage due to nitrogen fertilization. When GHG was calculated in CO2-equivalents, the carbon footprint from GHG was 1.14E-+00 kg CO2-eq. kg<SUP>-1</SUP>. Here, CO2 accounted for 76% of the total GHG emissions from lettuce production system. Methane and nitrous oxide held 16%, 8% of i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showed that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POCP (Photochemical Ozon Creation Potential) were 1.14E+00 kg CO2-eq. kg<SUP>-1</SUP> and 9.45E-05 kg C2H4-eq. kg<SUP>-1</SUP>, respectively. Fertilizer production is the greatest contributor to the environmental impact, followed by energy production and agricultural material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