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봉합나사를 이용한 Bankart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

        김경택,김철홍,신상화,곽종일,Kim, Kyung-Taek,Kim, Chul-Hong,Shin, Sang-Howa,Kwak, Jong-Ill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Bankart병변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중에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0례를 대상으로 Rowe와 Zarins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관절경하에서 확인된 동반병변으로 Hill-Sachs병변이 46례에서, SLAP병변과 회전근개 파열병변은 각각 12례, 7례에서 관찰되었다. Rowe와 Zarin의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82례(91.1%)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합병증으로 재탈구가 3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불안정성 환자에서 Bankart병변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 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 중에 하나라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using suture anchors for treatment of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rthroscopic Bankart repair using suture anchor in 90 cases and evaluated the results with the functional grading system of Rows and Zarins after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4 months. Results: Combined pathologies identified under arthroscopy were Hill-sachs lesion in 46 cases, SLAP lesion in 12 cases, Rotate cuff lesion in 7 cases. The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82(91.1%) cases and redislocation was happened only 3 case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suture anchors is one of the reliable and effective method for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with Bankart lesion.

      • KCI등재후보

        부여 송국리 유적의 보존과 활용 방안 연구

        김경택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건지인문학 Vol.- No.36

        The Songgukri site in Buyeo, a large-scale Bronze Age settlement site representing South Korea, was recognized for its archaeological significance in 1976 due to the excavation of loquat-shaped bronze swords, copper chaks, and jade from the sarcophagus mausoleum that was recovered and examined by a resident in 1974, and was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249 in 1976. Songguk-ri site, which has been excavated a total of 25 times since the 1970s and has consistent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is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Bronze Age, ap- pearing in the prehistoric sec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devotes very little space. In this paper, I first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ca- demic issues of the Buyeo Songgukri site to date. First, I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Songgukri type, and then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 of the dwelling in the circular and square systems. I also pointed out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Bronze Age electricity to the Middle Period, represented by the Songguk Relics, now refers to the settlement and expansion of pottery and the con- sequent population growth and large-scale settlement formation, rather than a simple chang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dis- cussed whether the nature of Songgukri settlement can be defined as a "consumer settlement" or a "ceremonial center". Next, this paper examine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methods befitting the status of the Songgukri site. I examined the aspects of overseas heritage parks and museum management through the examples of Yoshinogari Heritage Park in Japan, the Çatalhuik site in Turkey, and the Hochdorf site in Germany. In addi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tentative name "Artifacts Preservation Management Center," which is being discussed recently, is certain to bring about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onggukri site, it was discussed how to preserve and utilize the Songgukri site centered on the role of the Songgukri Artifact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enter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Through this discussion, I comprehensively sought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Songgukri site. 남한을 대표하는 대규모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인 부여 송국리 유적은1974년 주민의 신고로 수습 조사된 석관묘에서 비파형동검, 동착, 관옥등이 출토되고, 발굴조사에서 고고학적 중요성이 인정되어 1976년 사적제249호로 지정되었다. 1970년대 이후 총 26차례 발굴이 이루어졌고 꾸준히 학계의 주목을 받아 온 부여 송국리 유적은 극히 적은 지면만이 할애되는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 편에도 등장할 만큼 청동기시대를 상징하는 유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부여 송국리 유적의 현재까지의 조사 성과와 학술적인 쟁점사항을 논의하였다. 먼저 송국리 유형의 출현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고, 원형계와 방형계의 주거지 형태의 차이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살펴보았다. 또한 송국리 유적으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로의 전환이 이제 단순한 기술적 발전에 따른 변화라기보다는 도작의 정착및 확대와 이에 따른 인구증가 및 대규모 취락 형성을 의미함을 지적하였으며, 청동기시대 송국리취락의 생업경제 연구는 작물조성 분석결과를 살펴보고 수도작의 개시 가능성에 대해 평가했다. 이 밖에 송국리 취락의성격을 ‘소비전문취락’ 또는 ‘의례중심지’로 규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송국리 유적의 위상에 걸맞는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해외의 유적공원이나 박물관 운영의 면모를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공원, 터키 차탈휘이크 유적, 그리고 독일 호크도르프(Hochdorf) 유적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논의되고있는 가칭 ‘유물보존관리센터’의 건립이 송국리 유적의 보존과 활용에 중대한 전환점을 가져다 줄 것이 확실하므로 앞으로 건립될 송국리 유물보존관리센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송국리 유적의 보존과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부여 송국리 유적의 위상에 걸맞는 보존 및활용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모색하였다.

      • Stimuli-responsive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for smart delivery systems

        김경택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Stimuli-responsive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change their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Of particular interest is to synthesize polymers that respond to biological stimuli in physiologically relevant conditions, which might enable to design and create new smart delivery vehicles and sensors. We have been studying organoboronic acid-containing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as glucose-responsive materials. We will discuss the synthesis and self-assembly of these block copolymers, and also suggest self-assembled nanostructures of boronic acid-containing block copolymers as self-regulating delivery vehicles and sensors.

      • 슬관절 후방십자인대를 침범한 국소적 건막 거대 세포종 - 1예 보고-

        김경택,강민수,최성종,박원로,이경신,Kim, Kyung Taek,Kang, Min Soo,Choi, Sung Jong,Park, Won Rho,Lee, Kyeong Shin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국소적 거대세포종의 보고는 드물며, 불완전한 절제 시 재발율이 매우 높다. 저자들은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국소적 거대 세포종 1예를 관절경하에서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통해 완전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였으며, 1년 추시에서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ports of localized giant cell tumor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re rare, and its recurrence rate after incomplete excision. We experienced a case of localized giant cell tumor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hat were excised arthroscopically with transseptal approach and pathologically confirmed. The patient showed good clinical result for one year after operation. So we report a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