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김경은(Kim KyoungEun),윤노아(Yoon NoAh)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의 인식이 통일과 다문화수용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다문화시대의 통일교육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소년들은 국민정체성의 종족적, 시민적 요인을 모두 중시하였으며 한국인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요인 중에서는 시민적 정체성의 요소에 해당되는 한국인임을 느끼는 것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통일의 의미를 단일 민족성의 회복으로 생각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에 해당하는 다문화수용성에서는 인종적·문화적 다양성 확대와 단일민족 혈통 유지에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국민정체성의 종족정체성은 단일 민족성 회복이라는 통일의 의미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통일에의 열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정체성은 통일의 의미와 열망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민정체성의 두 요인은 다문화수용성에서 자민족 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족 정체성은 자민족 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다문화 지향성에 대해서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기존의 단순히 민족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일교육을 재검토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다문화시대의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시민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모색할 것을 요청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consciousness for unification, multiculturalism.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urvey carried out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o analyze adolescent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we devide national identity into the ethnic factor and civic facto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Students considered the civic factor more important than the ethnic factor in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Students who hold the ethnic type of perceptions want to achieve the homogeneous nation again more, not the reunification itself. They also show exclus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Meanwhile, students who prefer the civic factor show tolerant attitudes toward reun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society. Thus we need to apply new curriculum that develope detailed plans based on civic identity of students, not based on ethnic factor.

      • KCI등재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 및 학습활동 유형 분석 : S대학교 WIU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은(Kim Kyoungeun),장윤호(Jang YunHo),류이슬(Ryu Yise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4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기반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 기반 학습카페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 및 구체적인 학습활동 유형 분석을 통해 온라인 기반 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S대학교에서 운영된 65개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효과에 대한 학생평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수업별 운영된 학습활동을 학습형태, 활동수준, 상호작용 방식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3.73점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차원의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이 3.8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활동의 유형은 개인기반/기억 및 이해 수준의 활동/간접적 상호작용 방식이 38.4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개인기반/적용 및 분석 수준의 활동/간접적 상호작용 방식이 26.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업에서 온라인 학습카페가 ‘개인의 학습활동 결과를 공유하는 장’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다 나은 수업효과를 위한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을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courses using a web-based bulletin board in college education from course evaluation of students and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types.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of cours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students in 65 courses which used a web-based bulletin board at S University in 2019. And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in these courses were analyzed by elements such as the type of learning(individual based/team based), the level of cognition(remember/understand/apply/analyze/evaluate/create) and the type of interaction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direct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tudent/indirec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s was showed 3.73 points and students’ awareness of cognitive effects was showed 3.84 points. Seco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asked that individuals usually carried out tasks for knowledge and comprehension without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was showed 38.46%. A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asked that individuals usually carried out tasks for application and analysis without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was showed 26.15%. These findings mean that a web-based bulletin board were mainly used as a venue for sharing the result of learning activities by individual rather than producing new knowledge based on cooperation in cours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창의적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은(KyoungEun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2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creativit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examined the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of 202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Creative Behavior Inventory (CBI), Teaching Efficacy Scale, and theCreativity-Fostering Teacher Behavior Index (CFTI) were used for the survey. A hypothesized model and alternative model were tested using structuralequation model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18.0 PSAW and AMO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associated with thei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 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direct effect on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also an indirect effect oncreativity-fostering teaching via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Implications to foster creativity in preschool andkindergarten a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promote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eacher’s creativity and creativity-relatedactivities.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활동을 활용한 교사교육 방안 연구

        김경은(Kim, K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학교폭력이 교육적 차원을 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방 중심의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교사의 실천적 역량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프로젝트 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활동을 핵심으로 하는 예비교사 대상의 교사교육 방안을 개발하고, 2018년 2학기 S대학교 교직 소양 과목인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강좌를 활용하여 이를 운영, 결과 분석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해당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학교폭력에 대한 종합적, 맥락적 이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학교폭력 예방에서의 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더불어 프로젝트 기반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 예방과 관련한 실천적 지식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폭력 감지역량, 비폭력적 학급풍토 조성 역량, 전문성 개발 역량 등과 같은 교사역량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에 학교폭력에 관한 예비교사 대상의 교육과정 및 운영방식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School violence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beyond the educational level. And in order to solving it, prevention programs based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teachers’ practical ability have been emphasized. So this study suggested a plan of teacher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explored its possibility. For study, teaching course was developed composed of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of project-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y small group, conversation with middle school teacher,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s and ran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in the second semester of 2018.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Students’ understand of school violence has increased. Second,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ole and professionalism i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ird, it was found that students generated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roject-bas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is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 foster practical competence of teachers such as sense of school violence, building of non-violent climate,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김경은(Kim, K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2015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생 참여가 전제된 학습자중심 수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습자중심 수업 구현을 위한 전문성 함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2016년 2학기 S대 학교 사범대학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특정 강좌를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으로 구성, 1학기 동안 운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중심 수업전략에 기반한 모의수업을 핵심활동으로 수업대화, 저널쓰기 를 활용하여 수업전문성의 제 요소(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기획 능력, 수업실행 능력, 전문성 제고 노력)를 반영하는 강좌를 구성하였다. 해당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경제과목 및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유의미한 학생 활동 구성, 수업전략, 상호작용 활성화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인식에서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수업전 문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learner-centered teaching professionalism program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 the teaching course for economics education of S University was selected and organized several activities such as teaching demonstration based on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y, conversation on less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23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ttended this course. They experienced planning the lesson, teaching, learning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course. All outputs of this course were analyzed such as journals, lesson plans, work sheets for conversation on lesson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Students were found to establish more and specific perspectives on economic subjects, teaching methods, role of teacher, and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they were found to make practical knowledge about meaningful activity composition for learners, teaching strategy, and how to activate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se results shows necessity to discuss on how to operate and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메타버스 리터러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경은(Kyoungeun Kim),이승연(Seung-Yun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최근 우리의 삶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메타버스를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필요한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이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대학교육에서 메타버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으로 실재하는 메타버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메타버스를‘형상화된 세계’로 규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관련 역량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메타버스 리터러시는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세계로 메타버스를 이해하고, 공유된 규범 및 역할에 따라 상호작용하며 정체성을 구축하고, 새로운 규범 및 문화를 창출하는 것으로 메타버스의 양식과 가치 및 규범 이해, 캐릭터로서의 지위와 역할 수행, 일상 언어와 컴퓨터 언어 및 데이터를 활용한 상호작용 능력, 캐릭터로서의 정체성과 주체성 형성의 4개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이를 위한 관련 역량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 및 메타버스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가치 및 규범 생성 역량, 다중 정체성에 대한 이해 및 성찰 역량, 데이터 및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에 기반한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역량이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변화에 결부된 도구가 아닌 삶의 공간이라는 실재로서의 메타버스의 특성을 반영한 리터러시 개념을 제안하여 메타버스를 접하는 교수자 및 학습자가 교수-학습과정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는 기준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와 생산자로서의 위상 및 다중 정체성의 중요성, 상호작용 강화와 같은 메타버스 활용시 제기되는 쟁점들을 해결하는데 유용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foundational information of metaverse literacy education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by theoretically exploring that literacy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and utilize them in various way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metaverse is defined as a figured world to explore concepts, components and capabilities of metaverse literacy based on discussions on figured worl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verse literacy consists of the four areas, such as metaverse' sociocultural practices, values and cultural environments, the abilities to interact by everyday language, computer language and data, and characters' identities and independence. As competencies, we suggest the abilities to understand metaverse, and the abilities to develop new values and norms based on metaverse environments, the abilities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diverse identities placed in the metaverse, and the abilities to cooperate among agents in metaverse by using data and digital tools. We expect to solve these following issues by using the metaverse literacy driven from this study: first, the literacy can be used as components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onsider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can explore the new status of producers and users in the metaverse; third, they can solve problems when using metaverse, such as interactions in metaverse and understanding multiple identities responsive to diverse types of metaverse.

      • KCI등재

        코퍼스 분석을 이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연구 : 한국과 미국 조지아주를 중심으로

        김경은 ( Kim Kyoungeun ),이승연 ( Lee Seung-yun ),정영선 ( Jung Young S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urriculum standards us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Sou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SKNCS) and the Georgia Standards of Excellence(GSE), which were reformed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They are analyzed by a corpus-based method, an inductive text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irst, compared with the GSE, the SKNCS contained an excessive number of verbs that instruct the same performances. Second, the SKN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include verbs that require them to use high-order thinking abilities exceeding their academic knowledge and abilities. Third, the verbs used in the elementary and the middle school South Korean standards were mostly the same.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suggest that future SKNCS should balance the number of verbs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 skill-, and attitude-oriented performances; include succinct and goal-oriented verbs; and reflect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and the sequences of content taught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