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현실을 활용한 교통 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김강호,이대웅,Kim, Kang-Ho,Rhee, Dae-Wo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12

        본 연구에서 우리는 혼합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교통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사고의 위험에서 스스로 방어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Zetton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어린이 교통사고 중 사망률이 높은 사고 유형을 분석해 학습 목표를 정하였고, 목표 달성을 재미있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플레이어는 여러 교통상황을 정해진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신호체계와 교통정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 콘텐츠가 되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교육 효과성 검증을 위해 방과 후 교육 활동으로 어린이들에게 교통안전교육을 했다. 그 결과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과 학습 목표와 관련된 질문에 올바른 대답 빈도가 높아졌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Zetton Children's Traffic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using mixed reality to help children experience a variety of traffic situations indirectly and to help them defend themselves from accidents. We analyze the types of high mortality child traffic accidents to set learning goal. And we developed the experience-oriented contents that players could acquire signal systems and traffic information naturally and funny in the course of playing scenarios according to designed various traffic situations. In order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pplication, children were given traffic safety education through after-school education activit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frequency of right answers to questions related to traffic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objectives is increased.

      • KCI등재

        사무직 근로자의 근로능력과 연령의 관계

        김강호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연령과 근로능력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작업능력지표(WAI)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무직 근로자 1,216명의 응답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세 개의 근로능력(직무수행능력, 직업기초능력, 작업능력) 모두 역 U자의 변화패턴을 나타냈다. 다만, 세 개의 근로능력별로 능력수준이 감소하는 연령은 차이가 있었는데, 직무수행능력은 40세, 직업기초능력은 42세, 작업능력은 35세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45세부터 능력저하가 발생한다는 선행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무직이라는 직무형태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세 개 근로능력별로 연령에 따른 능력수준의 변화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차이는 각각의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job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age in clerical workers. To achieve of the purpos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clerical workers and WAI(Work Ability Index) were employed for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were conducted 1,216 workers who sampled by age groups and subcategories of clerical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ll of three job competencies were showed inverted U-shape by age, and inflection age was different among three job competencies. which key competency was 40, basic competency was 42, and work ability was 35.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was owing to job differences. In addition, the different shapes of change in competency level were found,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components of job competencies.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활동이 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김강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학교 진로지도 경험 및 개인․가정 변인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전문계 고교생 2-3학년 자료(2006-2007년)를 활용하여 무선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계 고등학교의 진로지도는 학생의 진로성숙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진로지도 참여와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이로 인해 고등학교 3학년까지도 자신의 적성이나 미래의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았다. 오히려 학교에서의 진로지도보다는 가정에서의 진로관련 대화나 활동, 그리고 개인적 성향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쳐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가 진로선택이나 준비를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진학 중심의 진로지도로 인해 학생들이 졸업직후 혹은 장래 직업을 획득하기에 필요한 단계적인 발달과업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있어 학교 진로지도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아울러 학생들이 주로 대학진학을 우선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성적으로 인한 진학 외의 진로결정 대안을 탐색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 활동에 대한 개선점과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and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and family on student's career maturity in vocational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wo years of the KEEP data(2006-2007) were analyzed by random effect model was conducted.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 did not suffici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on career guidance activities was low, which causes students not to recognize aptitude and decide their career. Conversation related to career in home affected to career maturity rather than career guidance in school, which implied that career guidance in school did not support student to recognize development tasks required to prepare for future occupation. This problem resulted from career guidance in school based on college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that vocation high school students could hardly search a reasonable alternative for career decision except for college entrance because they firstly consider college prepar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of career guida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