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김미나(Kim, Mi-Na),장수(Su-Kil Jang),기억(Ki-Oug Yoo)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8 No.2

        덩굴딸기의 종내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꽃의 형질에 의해 유형화 한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분석, 주성분분석. 화분학적형질 분석, RAPD 및 PCR-RFLP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에서는 꽃잎과 꽃받침의 크기. 정소엽과 소엽의 크기 등이 3개의 유형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이었지만 줄기, 화경의 길이, 잎의 거치형태, 엽축의 길이, 잎에 털의 분포양상 등은 변이가 없었다. 14가지의 외부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에서 3가지 변이형태는 유형별로 구별이 가능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화분입상,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 등에 있어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RAPD분석에서는 20개의 primer 중 8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33개(60%)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유집분석 결과 type 2는 독립적으로 소그룹을 형성하였지만 다른 두 가지 변이형의 개체들은 서로 중복되어 유집되어 나타났다. PCR-RFLP분석은 엽록체 DNA 중 증폭된 일부 구간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제한효소 처리 결과에서는 다형화 밴드를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덩굴딸기의 종내변이 형태는 외부형태형질에 따라 유형별 구분이 가능하였지만 화분학적 형질이나 DNA수준에서는 전혀 뒷받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type 1과 2는 정상개체와는 꽃의 형질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자생지에 함께 분포하므로 자연잡종에 의한 일시적인 변이형이거나 생태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Taxonomic studies on morphologic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lynological, RAPD and PCR-RELP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traspecific relationships of Rubus oldhami.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based on the flower characters such as petal length and number were used in this study. Among the 14 morphological characters, perianth length, calyx lobe length, apical leaflet shape and leaflet length were used to distinguish for each type. The pollen characters such as shape, aperture number, surface sculpture were showed very similar among three types. Eight primers out of 20 arbitrary primers were screened for three types, and were revealed 33 (60%) polymorphic bands. The phonogram by RAPD data showed incongruent with morphological analysis. Even though ten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duced 20 restriction sites, polymorphic bands were not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three types of Rubus oldhami divided well by morphological characters, but pollen and DNA data were not supported. Therefore, type 1 and 2 which different from type 3 by flower characters considered as a temporary hybrid or ecotype because of their similar habitats.

      • KCI등재

        수소환원법에 의한 수용액중 Ni-Al2O3 복합분말 제조

        김동진,원창환,강복석,길기억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2 No.7

        Ni-Al₂O₃ composite powders were prepared by reduction of Ni^(++) from ammoniacal nickel sulfate solution on alumina core by hydrogen gas at elevated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reduction rate and the porperties of nickel layer were investigated by SEM, X-ray, size and chemical analysis. The reduction of Ni^(++) showed the maximum value when the molar ratio of NH₃/Ni^(++) was 2. In order to prevent the agglomeration of Ni powder and act as catalysis for reduction, Fe^(++) should be required and the anthraquinone was slightly influenced as catalysis. The concurrent addition of Fe^(++) and anthraquinone catalytically increased nickel deposition reaction. Optimum condition obtained in this study was reduction temperature 130℃, stirring speed 700rpm, hydrogen partial pressure 350psi and reduction time 45mins. Then the prepared composite powder obtained uniform and continuous nickel coating layer of nodule shape on alumina particles.

      • KCI등재
      • KCI등재

        엽록체 DNA의 matK와 atpB-rbcL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제비꽃속(Viola)의 계통유연관계

        기억,장수,이우철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식물 분류학회지 Vol.37 No.1

        제비꽃속 42집단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엽록체 DNA의 matK 유전자와 atpB-rbcL intergenic spacer 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MatK 분석에서는 노랑제비꽃절과 장백제비꽃절이 독립된 clade를 형성하였으며, 진정제비꽃절의 5개 아절은 paraphyletic하게 분리되었다. AtpB-rbcL 분석에서는 노랑제비꽃절이 단계통을 형성하였지만, 장백제비꽃절은 잔털제비꽃을 제외한 제비꽃아절 분류군들이 포함되어 있는 clade의자매군을 형성하였고, 진정제비꽃절은 paraphyletic한 분계조로 분리되어, matK 유전자와는 장백제비꽃절과 잔털제비꽃의 위치에 차이를 보였다. 두 가지 유전자의 염기서열 지료를 유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제비꽃속 분류군들이 크게 3개의 분계조로 유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본염색체 수가 x=6인노랑제비꽃절과 장백제비꽃절은 아욱제비꽃아절과 낚시제비꽃아절(x=l0)에 속하는 분류군들이 포함된 clade의 자매군을 형성하면서 분리되었고, 잔털제비꽃은 진정제비꽃절의 콩제비꽃아절과 고깔제비꽃아절(x=10 또는 12)의 분류군들과 함께 분계조를 이루었으며, 잔털제비꽃을 제외한 제비꽃아절 (x=12)의 19개 집단도 하나의 clade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outgroup으로 부터 clade 각각의 기원에 대해서는 선행된 ITS와 trnL-F 지역에 의한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logenetic studies were conducted ofr 42 populations of Korean viola based on matK gene and atpB-rbcL intergenic spacer region of chloroplast DNA. In the matK tree, section Chamaemelanium and Dischidium were formed as a distinct group. Five subsections of section Nomimium were paraphyletic. In atpB-rbcL intergenic spacer region analysis, two species of sect. Chamaemelanium were monophyletic, and section Dischidium was placed sister ti subsection patellares clade except for V. keiskei. Five subsections of section Nomimium were also paraphyletic as matK tree. the separate data analyses were incongruent in the relationships among 42 populations, especially for the position of section Dischidium and V. keiskei. The combined analyses of two chloroplast regions showed three major clades; section Chamaemelanium and Dischidium (x=6) formed a sister to subsections Hypocarpae and Trigonocarpae (x=10) clade; subsections Bilobatae and vaginatae (x=10 or 12) formed a clade with V. keiskei; and 19 populations of subsection patellares (x=12) except for V. keiskei wer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clade within section Nomimium. Although combined data suggest three major clades of Korea viola, the origins of each clade from outgroup were discordance with previous ITS and trnL-F data.

      • KCI등재

        제비꽃속의 미기록 변종 : 털낚시제비꽃

        장수,이우철,기억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4

        We report an unrecorded taxon of genus Viola, V. grypoceras A. Gray var. pubescens Nakai, collected on Jeju Island, Korea. The distribution of this variety was restricted to the northern part of Japan, Hokkaido in particular. It is distinguished from V. grypoceras in that it is densely pilose except on its spur and lateral petals. We gave it the Korean name ‘Tul-nak-si-je-bi-kkot’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In addition, some illustrations of this variety and a key to the V. grypoceras complex were provided. 제주도에서 채집된 제비꽃속(genus Viola)의 Viola grypoceras A. Gray var. pubescens Nakai를 한국 미기록 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 본 변종은 일본의 중부이북 및 홋카이도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형태적으로 낚시제비꽃과 유사하나 거와 측화피를 제외한 전체에 털이 밀생하는 특징으로 모종과 구별된다. 국명은 낚시제비꽃과의 형태적 차이를 고려하여 ‘털낚시제비꽃’ 으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와 근연분류군과의 차이를 검색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계통 유연관계

        기억,장수,이우철 한국식물분류학회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1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in 40 populations of Viola including 35 Korean taxa, four Japanese populations and one outgroup using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The phylogenetic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parsimony and neighbor-joining methods. Subsection Trigonocarpae of section Nomimium appeared as the most basal clade within the Korean Viola. Section Dischidium and Chamaemelanium was monophyletic(bootstrap 100%) and placed between subsect. Trigonocarpae and three other subsections of sect. Nomimium. Sect. Nomimium was paraphyletic. Although each subsectional grouping wa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infrageneric classification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yet discordance remained at the series level. Two evolutionary trends observed in the ITS tree were as follows. First, subsect. Trigonocarpae(x=10) was derived from the outgroup(x=6); Second, subsects. Bilobatae and Vaginatae(x=10 or 12), and subsect. Patellares(x=12) of sect. Nomimium were originated from sects. Dischidium and Chamaemelanium(x=6). Viola albida complex including three very closely related taxa was recognized as independent group within subsect. Patellares in parsimony tre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treated as a taxa in series Pinnatae. Phylogenetic position of a putative hybrid species, Viola woosanensis was not supported with previous morphological hypothesis. 한국산 제비꽃속 35분류군과 일본산 4집단, 군외군 1분류군 등 총 40집단에 대한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핵 r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지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정렬된 염기서열들은 bootstrap을 포함한 parsimony 방법과 neighbo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진정제비꽃절의 낚시제비꽃아절은 군내군의 가장 기부에 분계조를 형성하였으며, 장백제비꽃절은 노랑제비꽃절과 자매군을 형성하면서 진정제비꽃절의 낚시제비꽃아절과 콩제비꽃아절, 고깔제비꽃아절, 제비꽃아절 사이에서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진정제비꽃절은 병계원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고 4개 아절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였지만 계열 수준에서는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세포학적 연구에 기초한 제비꽃속의 분화에서 기본염색체 수 x=10을 갖는 낚시제비꽃아절은 x=6인 군외군에서 독립적으로 분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분류군들은 x=6인 노랑제비꽃과 장백제비꽃아절로부터 x=10 또는 12인 콩제비꽃과 고깔제비꽃아절을 거쳐 x=12인 제비꽃아절로 분화한 특징을 보였다.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심한 분류군으로 알려진 태백제비꽃(V. albida complex)은 Patellares아절 내에서 하나의 군으로 유집되어 Pinnatae계열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뫼제비꽃과 남산제비꽃의 잡종인 우산제비꽃은 형태적 특징에 의한 분류와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장수(Su-Kil Jang),천경식(Kyeong-Sik Cheon),정지희(Ji-Hee Jeong),김진수(Zin-Suh Kim),기억(Ki-Oug Yoo)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특산 식물인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요인과 식생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금강초롱꽃은 해발 580-1,396m에 위치하였고, 경사는 5-80˚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10개 지역 32개 방형구를 조사한 결과 금강초롱꽃의 중요치는 8.8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대사초(8.67%), 단풍취(7.10%), 실새풀(6.79%), 뱀고사리(5.33%), 노루오줌(3.11%)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금강초롱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층수목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철쭉과 메역순나무가 높은 출현 빈도와 피도를 보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30,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8로 산출되었다. 토양의 토성은 사양토가 우세하였고, 포장용수량은 평균 23.95%로 확인되었으며, 유기물함량은 12.28%, pH는 5.79, 그리고 유효인산함량은 25.48㎍ · g?¹으로 나타났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에서는 상층수목의 피도가 종풍부도, 종다양도, 우점도, 균등도 및 금강초롱꽃의 피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n different habitats of Hanabusaya asiatica. These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ng north at an altitude of 580 m to 1,396 m above sea level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5 degrees to 80 degrees. A total of 146 vascular plant taxa are identified in 32 quadrates of the ten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H. asiatica is 8.87%, and 5 highly ranked species such as Carex siderosticta (8.67%), Ainsliaea acerifolia var. subapoda (7.10%), Calamagrostis arundinacea (6.79%), Athyrium yokoscense (5.33%), Astilbe rubra (3.11%) are considered to be an affinity with H. asiatica in their habitats. Dominant species of woody plants in ten habitats are represented as Quercus mongolica in tree layer (T1), Acer pseudo-sieboldianum in subtree layer (T2),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Tripterygium regelii in shrub layer (S). The degree of their average species diversity is 1.30, and that of dominance and evenness are 0.08 and 0.88, respectively. The type of soil is sandy loam, loam and loamy sand, and the average field capacity of soil is 23.95%. Their average organic matter is 12.28%, soil pH 5.79, and available phosphorus is 25.48%.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vegetation and soil analysis shows that the coverage of tree layers is correlated with richness, diversity, dominance, evenness and coverage of H. asiatica.

      • KCI등재

        동강할미꽃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적 특성

        기억 ( Ki Oug Yoo ),천경식 ( Kyeong Sik Cheon ),장수 ( Su Kil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5

        동강할미꽃 자생지(백운산, 마하리, 귤암리와 덕항산)의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동강할미꽂 자생지는 해발 220-772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1-85˚로 다양하였으며, 주로 북서사변에 분포하였다. 식생분석결과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27종류였다. 중요치는 동강할미꽂이 9.65%였으며, 산거울(28.93%), 돌양지꽃(l6.55%), 돌단풍(7.09%), 기름나물과 그령(4.55%), 큰네잎갈퀴(3.90%) 등 6종류는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 이 분류군들은 동강할미꽃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5이었고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4와 0.85로 나타났다.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평균 19.05%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10.51%로 나타났고, pH는 7.43으로 자생지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This is a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vegetation and soil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different habitats of Pulsatilla tongkangensis (Mt. Baekun, Maha-ri, Kyulam-ri and Mt. Deokhang). These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a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ng northwest at an altitude of 220m to 772m above sea level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41 degree to 85 degree. A total of 27 vascular plant taxa are identified in ten quadrates of the four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these plants is as follows: Pulsatilla tongkangensis is 9.65%; Carex humilis var. nana 28.93%; Potentilla dickinsii 16.55%; Mukdenia rossii 7.09%; Peucedanum terebinthaceum and Eragrostis ferruginea 4.55%; and Vicia venosa var. albiflora 3.90%. The importance value of these six species is high, so they are at affinity with P. tongkangensis in their habitats. The degree of their average species diversity is 0.75, and that of dominance and evenness 0.24 and 0.85, respectively. Their average field capacity of soil is 19.05%, organic matter 10.51%, and soil pH is 7.43, which are similar among their habit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