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스트레스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권희선,한기백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parental attachment predicts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rough both resilience and anxious·avoidant adult attachment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of 373 college students in Seoul indicate that secure attachment with parents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e,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respectively. However, only resilience and anxious at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erceived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more emotional affection and trustful communication with parents not only better recover from challenges and adversaries in daily life but also show less dependent behavior related to fear of rejection by others. Besides, college students who better recover from daily challenge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and show less dependent relationship perceive less stress in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etails with clin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s.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이 회복탄력성과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을 통해 일상의 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구조방정식을 사용해 검증하였다.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37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부모애착, 회복탄력성, 성인애착, 스트레스 설문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안정된 애착은 각각 회복탄력성과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오직 회복탄력성과 불안 성인애착만이 부모애착과 스트레스 지각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유대와 신뢰에 기초한 의사소통을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하는 대학생일수록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도전과 역경으로부터 더 잘 회복할 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의존적인 행동을 적게 보임을 나타낸다. 덧붙여, 이러한 일상의 도전과 어려움으로부터 더 잘 회복하고 거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의존적인 관계를 적게 보이는 대학생일수록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경향이 적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의 임상적, 교육적 함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신건강,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계: 정서억제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권희선,오충광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E) and mental health variables could be varied across the culture. Choi and Min(2007) suggested that the concept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E) included emotional suppress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s articl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AEE, emotional suppression(ES), experiential avoidance(EA), mental health(M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IR). It was hypothesized that AEE would affect MH or IR in the mediation of ES and EA. Data was collected form 622 college students(male: 223, mean age 22.2(SD=2.5), female 399, mean age 20.6(SD=1.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 mediated the effect of AEE on MH or IR significantly, but ES did not. Second, all the subscale of AEE were significant in their path to ES, but the factor ‘the elders’ of AEE was not valid in its path to EA. Third, the path from EA to MH or IR was significant, whereas the path from ES to MH or IR was not. The results were discussed. 그동안 정서표현양가성 관련 연구들은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신건강 변인의 관계가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와 경험회피라는 속성이 있다는 기존 연구의 제안에 따라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 그리고 경험회피가 정신건강이나 대인관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종합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와 경험회피를 매개로 정신건강이나 대인관계에 영향이 있다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622명(남 223명, 여 399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남학생이 22.2세(SD=2.5), 여학생이 20.6세(SD=1.8)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신건강 또는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정서억제는 매개효과가 없었고, 경험회피만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 하위 요인은 모두 정서억제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했으나, 정서표현양가성 하위 요인 가운데 윗사람 요인은 경험회피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정서억제에서 정신건강이나 대인관계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경험회피에서 정신건강이나 대인관계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세 서사체의 계승 혹은 애도 : 심훈의 『직녀성』 연구 A study on Jeeknyeosung(織女星), Sim Hoon`s novel

        권희선 민족문학사학회 2002 민족문학사연구 Vol.20 No.-

        이글은 심훈의 『직녀성』에 관한 연구이다. 『직녀성』이 지닌 독특한 형식 및 서사적 질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구소설 또는 중세서사와의 연관을 풀어내는 일이 필수적이라는 입론 아래, 김만중의 『사씨남정기』와 이해조의 『홍도화』를 비교대상으로 삼아 서술의 순서 · 문체 · 구성 · 모티브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직녀성』을 중심으로 중세서사, 신소설 등 시기를 달리 하는 세 서사체간의 동질성과 이질성, 연속과 단절의 지점을 확인하고자 한 이 논문의 작업은, 개별 작품에 대한 평가를 넘어, 그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서는 한편으로 중세서사와 근대서사의 관계를 재정림하는 일반론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1930년대 후반에 왕성하게 창작되어 근대의 기원을 문학적으로 탐색한 일군의 ‘가족사소설’연구에도 새로운 정향점을 제공하는 전사적(前史的)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is a study on Jeeknyeosung(織女星), Sim Hoon’s novel. To analyze the special form and narrative quality which the novel has, it’s essential to explain the relations of the novel and Old-Novel, the middle-age’s narrative. Under this thesis, this writing compares and analyzes this novel regarding Kim Man-Jung’s novel and Lee Hae-Jo’s novel as comparative objects, on the point of the order of narrative, style, composition and motive. If this paper’s work to certify the places of the same and different qulality,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Middle-age’s narrative, New-Novel and modern novel is accumulated, it will go farther, beyond the appreciation of individual work, on the one hand, to re-establish general rule of the relations of middle-age’s narratives and modern narratives. On the other hand it may have a prehistorical meaning of presenting the orientation point to study on the farnily chronological novels which were produced much in the late 1930’s and inquired into the origin of the modernity in literary form.

      • KCI등재

        Fractionation and gasification of black liquor derived from kraft pulping

        권희선,문지홍,이은도,윤정준,G. Peter van Walsum,엄병환 한국공업화학회 2016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34 No.-

        By combining hydro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xylose + mannose + -galactose (xmg) was 10.7 g/L at a CS of 1.72. The aliphatic acid, aromatic acid and aldehydes werereleased 29.8, 0.45 and 0.90 g/L from the black liquor at CS of 1.19, 1.72, and 2.19, respectively. In thegasification using bench-scale bubbling fluidized bed (BFB) reactor, high-quality syngas (H2/CO: 1.47)was obtained from the steam of acid-insoluble lignin (AIL), suitable for conventional energy systemssuch as gas engines, turbines, and boi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