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과장면에 대한 사전교육이 유아의 불안과 비협조적 태도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권화숙 한국아동교육학회 1996 아동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first, the effect of the preparatory educational treatment about the dental situation on infant's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and second, the difference of treatment effect among infant's dental treatment history, age, and mother's anxiety leve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10 infants of 3-6 ages and their mothers attending at K University Hospital in Taegu city.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ccord to the dental history and preparatory educational treatment. Two variables of infant's age and mother's anxiety levels were with the within group variables. And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for meas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ntal Anxiety Scale and the Disruptive Behavior Inventory with checklist, which were revised partly by this researcher. Then the preparatory education was administrated with the video program including the dental setting and treatment situation, and verbal expository by the researcher. For data analysis, one-Way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e followings: 1. The group experienced the preparatory education about the dental situation show the more significant decrease of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preparatory educ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fant's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2. The higher anxiety of mother is the higher infant's dental anxiety and the higher disruptive behavior. That in, infant's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are not related infant's dental history and age, but related significantly mother's anxiety. 3. The preparatory education and the mother's anxiety level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on each infant's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That is the effect of preparatory education on infant's dental anxiety and disruptive behavior is more significant to higher mother's anxiety than lower mother's anxiety.

      • KCI등재

        『月印釋譜』 卷11 ~ 卷19의 反意語에 대한 硏究

        권화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5 언어와 언어학 Vol.0 No.67

        This study is for learning antonyms Worinseokbo(1459) that is based on Myobeop- yeonhwakyeo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the degree antonym’, ‘the collaborative antonym’ and ‘the relation antonym’ from the antonyms in the one sentence. Moreover, we researched how the antonyms work, the meanings of word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antonyms.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the degree antonym’ and ‘the relation antonym’ are much overspent than ‘the collaborative antonym’ in Worinseokbo.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ds, the pure Korean words are much overused than using the Chinese words. And the responding of the meanings are much shown in the context.

      • KCI등재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권화숙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본고는『妙法蓮華經』을 동일 저본으로 하고 있는 『月印釋譜』(1459)卷 十八과 『法華經諺解』(1463)卷 六, 卷 七을 대상으로 하여 意譯과 直譯을 중심으로 두 문헌 간에 나타나는 飜譯 樣相의 차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두 문헌에 나타나는 意譯과 直譯을 中心으로 한 飜譯 樣相에 대해 동일 원문 한자에 대한 『法華經諺解』에서의 번역을 기준으로 하여 단어 유형별로 나누어 대비해 보았다. 두 문헌을 대비해 보면 동일 원문의 한자에 대하여 『法華經諺解』에서는 意譯되고 『月印釋譜』에서는 直譯되는 한 예만 제외하고는 대체로 『月印釋譜 에서는 意譯되고 『法華經諺解』에서는 直譯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 간에 나타나는 意譯과 直譯이라는 飜譯 樣相의 차이는 借字에 의한 번역의 전통, 원문과 그에 대한 언해문이 나란히 실리게 되는 體裁 上의 특징 그리고 언해자의 원전에 대한 이해 차이와 원문의 한자를 번역하는 태도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 style appeared in Wolinseokbo(月印釋譜)(1459) Vol. 18 and Beophwagyeongeonhae(法華經諺解)(1463) Vol. 6 and Vol. 7, which were both based on Myobeopyeonhwakyeong(妙法蓮華經), in terms of liberal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In the analysis of comparing both texts based on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nd word types shown in Beophwagyeongeonhae, it was found that except one case where the same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 text are liberally translated in Beophwagyeongeonhae and literally translated in Wolinseokbo, Wolinseokbo predominantly displayed liberal translation and Beophwagyeongeonhae predominantly displayed literal translation. It seems that this stylistic difference is due to (a) the tradition of Chaja(borrowed character) translation, (b) systematic aspects that source text and the eonhae text were written down together, and (c) attitude of how an eonhae user perceived the source text and translated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방언 문법 교육 기초 연구 - 안동 방언의 ‘해라’체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

        권화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6 언어와 문화 Vol.12 No.3

        The present study basically aims to make a Korean dialect grammar syllabus for migrant bride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and plans. To this end, the present paper,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compares the suffixes that can correspond to those in the standard language in terms of grammatical constraints, semantic functions and usage, while centering on ‘-(eu)na/-no’, ‘-(ee)ra/-ro, ‘(eu)ra/-ro’, ‘-da/-do’ and ‘-(n)ga/-go’ which are the suffixes of an interrogative ending, “hae-ra” which is one of the least honorific form,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Korean dialect grammar education for migrant brides, since the form is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rogative ending in the Andong dialect. In the Andong region, the interrogative sentence formation is greatly different from that of today’s standard language as the dialect retains many traces of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Therefore, for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of those suffixes, the sentence-end focalization and inton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practiced, centering on the vowel contrasts between ‘ah’ and ‘oh’ forms so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read the different intentions of a speaker for smooth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와 몽산화상육도보설언해본의 비교 연구

        권화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5 언어와 언어학 Vol.0 No.35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transitional aspect of Korean languag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Mongsanhwasangbeopeoyakrok> and <Mong- sanhwasangyukdoboseol>, which are annotated book of Buddhist sermons by Mongsanhwasang, a high priest in Yuan dynasty of China after the lapse of 100 years. <Mongsanhwasangbupeoyakroke>, an annotated book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scribed by xylography contains the carefully selected buddhist sermons by Mongsan Deoki, a priest in Yuan dynasty of China, which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with the Korean gukyeol. This book is one of the Middle Korean data which left some unsolved tasks to researchers of Korean language history because it differs in the linguistic facts and the presumed year published, supposed to have been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Mongsanhwasangyukdoboseol>, an annotated book of <Yukdoboseol>, compiled by Mongsan Deoki, with Korean gukyeol gives valuable data by which we can study the Korean language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and its historical transition.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we can define the transitional aspect of Korean language in terms of phoneme, grammar, and vocabulary throughout 15th and 16th centuries. In particular, both of these books are more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some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contemporary literatures. Thus, this paper, laying emphasis on the aspect of phoneme and notation among the linguistic facts which appear in two literatures, subdivides them into , , and ㆆ, initial sound with the same characters laterally attached, notation of between-characters,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and double spelling, notation of ㄹ and ㄴ, notation of final consonant, notation of side dot, and notation of Chinese sound, and tries to interpret the difference in the linguistic facts which appear in two literatures in terms of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한국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중심으로

        권화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권화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여자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근무환경요인(사회지지와 근무환경),업무환경요인(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소진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이들 변인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업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었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였다. 셋째,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였다. 넷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및 소진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소진은 직접적으로 영향을미치고 있으며,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학술적 보고서 쓰기를 위한 쓰기 워크숍(Writing Workshop) 기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 제안-

        권화숙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3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integrated and academic report writing by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ith the purpose of high-level academic study based on a writing workshop. A writing workshop should be operated with the principles integrating actual writing,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a writing community, and interdependence between the process and outcome. Accordingly, this study compos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four steps of con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preparation, structuralization and performance, and evaluation, and presented a teaching-learning principle in each step. Specific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principles proposed by this paper will lead to more efficient writing of academic reports by learners of Korean language. 본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쓰기 워크숍 (Writing Workshop)에 기반한 통합적 학술적 보고서 쓰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쓰기 워크숍(Writing Workshop)은 실제적 쓰기, 개인과 쓰기 공동체의 상호 작용, 과정과 결과의 상호의존성 등을 통합하는 원리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상 및 맥락화, 준비, 구조화 및 수행, 평가의 4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 교수 학습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교수 학습 모형과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전략 및 활동이 구 성된다면 좀 더 효율적인 학술적 보고서 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권화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3

        The Korean society changes to a multicultural society rapidly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is increasing. This study proposed teaching-learning measures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aching-learning model and design of inquiry learning type in social studies for grades five and six of elementary school, aimed at improving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to efficiently learn academic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is study integrated the dual system of social studies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 design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efficient learning of social studies content and academic Korean language ability for such purpose.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devising integrated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improv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as well as enhancing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y develop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quiry learning with the combination of language elements of Korean language and elements of humanities of social studies learn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ose subjects ar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최근 우리 사회가 급격하게 다문화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학교 교육 현장 또한 언어적․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수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도구로서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외에 학업 수행을 위한 학문적 언어 능력, 즉 교과 학습을 위한 학습 한국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교육부, 2015)을 근간으로 하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학습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위해, 초등 5-6 사회과 영역의 내용 중심 ‘탐구학습형’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 설계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초등 학습자들의 사회 교과 내용의 효율적인 학습과 이를 위한 학습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 사회 교과 학습과 한국어 학습의 이원적 체계로 교수․학습 과정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라는 언어적 요소와 사회 교과 학습이라는 인문학적 요소를 결합하여 탐구학습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은 물론이고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 방안 - 중급 학습자를 위한 역할극 교수․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권화숙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the role play as a way of teaching middle school life Korean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foster learners in achieving fluent and correct communicative abiliti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by suggesting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role play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could learn four communicative function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a whole when studying subjects at school. This study suggested by composing total of three sess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ith the model for suitable the role play in the class of middle schools for intermediate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t first, in the first session as a pre-state of the role play, students did the pre-learning on Korean vocabularies, grammar,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 learning before the role pla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apply them. The second session was composed to perform the role play based on the Korean knowledge they learned as a role play stage which was the second stage. The third session was the post-role play stage which was the third stage and it was composed to complete the whol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feedback on the role play and the overall evaluation on.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중급 학습자들의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 방안으로 역할극 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 경 학습자들이 학교에서 교과 학습을 수행해 나갈 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언 어의 4가지 의사소통 기능을 총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역할극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상황에 맞는 유창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 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중급 학습자 대상의 중학교 생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역할극 교수․학습 모형을 3단계 수업으로 구성하여 제안해 보았다. 먼저 1단계인 역할극 전 단계에서는 내용 학습의 이해를 돕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역할극을 하기 전에, 학습할 내용과 관련되는 한국어 어휘 및 문법, 표현 등에 대해 사전 학습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2단계인 역할 극 단계에서는 학습한 한국어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역할극을 실연하도록 구성하였 다. 3단계인 역할극 후 단계에서는 역할극에 대한 피드백 및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 활동을 통해 전 교수 학습 과정이 마무리되도록 구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