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보 상황에서 모바일 지도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길 찾기 정보추구행위에 관한 연구

        권현정,이지연,Gwon, Hyeon Jeong,Lee, Jee Yeo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도보 상황에서 모바일 지도 앱을 활용하는 행태와 길 찾기 과업에서 참고한 정보요소를 분석하여 지도 앱이 길 찾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지도 앱이 제공해야 할 정보요소로는 '1층에 있는 상점 이름 정보', '여러 갈래의 길이 있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 및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정보', '골목길 정보'가 있었다. 지도 앱이 정보의 시각적인 표현 부분에서 신경 써야 할 점은 '역 출구나 버스 정류장 등의 랜드마크적인 요소', '횡단보도나 육교의 색깔', '인도와 차도의 구분', '지하철 역 내 진입 정보' 등이 있었다. 또한 지도 앱이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적지를 향한 방향성 정보', '지도 화면의 회전 가능 정보', '큰 길 우선 안내에 관한 정보'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 optimal method for the mobile map application to provide directions by analyzing users' behavior in wayfinding and the information referenced in the direction-finding tasks. The mobile application provided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store on the first floor,' 'current location and directions to proceed if there are multi-branching roads,' and 'alleyways.'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the appli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landmark elements such as subway station exits and bus stops,' 'the color of crosswalks and overpasses,' 'division between sidewalks and driveways,' and 'entry to the subway stations.' For the mobile map application to provide intuitive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direction toward the destination,' 'the possible rotation of the map screen,' and 'the big roads' preference guidance.'

      • KCI등재

        음성결제 인터페이스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권현정,이지연,Gwon, Hyeon Jeong,Lee, Jee Yeo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3

        As the payment service sector actively embrac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Voice Payments" is becoming a trend in contactless payment services. Voice payment services can execute payments faster and more intuitively through "voice," the most natural means of communication for humans. In this study, we selected richness, intimacy, and autonomy as factors for building trus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We wa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ust will be formed if the factors were applied to the voice payment service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richness and autonomy of the voice payment interface and the lower the intimacy, the higher the trust. In addition,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richness and autonomy were significant.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ollected short-answer system to identify users' anxiety when using voice payment services and proposed speech interface design ideas to increase their trust in the voice payment. 인공지능 기술이 결제 서비스 분야에도 적극 도입됨에 따라 말로 하는 결제 서비스 '음성결제(Voice Payments)'가 언택트 결제 서비스의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음성결제 서비스는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소통 수단인 '목소리'를 통해 결제를 더 빠르고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요인으로 '구체성', '친밀감', '자율성'을 선정하였으며, 각 특성들이 음성결제 상황의 음성 인터페이스에 적용되었을 때 이용자의 신뢰가 형성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결제 인터페이스의 구체성과 자율성은 높을수록, 친밀감은 낮을수록 신뢰가 높아졌다. 또한 구체성과 자율성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수집된 주관식 답변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이용자들이 음성결제 서비스를 접할 때 느끼는 불안 요인들을 파악하고, 음성결제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음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스플레이 탑재형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한 음성쇼핑 서비스 휴리스틱 개발

        권현정,이지연,Gwon, Hyeon Jeong,Lee, Jee Yeo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2

        Voice shopping is gaining attention following the trend of non-contact E-commerce by enabling people to shop via voice command. Therefore, in this study, voice shopping service heuristics using a display-mounted voice interface were develop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where voice shopping becomes a part of daily life in the world. First, as a theoretical approach, a literature survey of 50 papers on the design principles of 'visual interface,' 'voice interface,' and 'shopping service' was conducted to produce a total of 29 draft design principles. Second, as an empirical approa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es in shopping experience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ithin the context of shopping to draft the heuristics. This was to supplement the user experience, a weak part of the literature research. Finally, a Delphi survey asked 20 experts in UX, service plann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shopping to evaluate the heuristics draft developed through the above two stages. After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final heuristics were proposed.

      • KCI등재

        영화 〈족구왕〉에 드러난 의미 없는 행위의 정치성과 상상적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

        권현정(Gwon, Hyeon-Je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족구왕〉은 2010년대에 개봉한 한국 영화중에서 신자유주의라는 지배질서에 맞서 대항할 방법으로 의미 없는 행위를 제시하고 나아가 새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런데 영화에서 제시한 새 연대의 모습은 지금 이곳에서 실현 가능한 연대가 아닌 상상적 연대이다. 이는 새 연대가 신자유주의라는 체제에 맞서기 위해 결성된 것임에도 정작 그 체제와 중첩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는 전혀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그 질서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새 연대는 연대의 시발점에서부터 젠더 위계를 나누는 등 배제를 기본 질서로 규정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연대는 어떤 변화를 위한 과정 중의 하나가 아니라 그 자체가 달성되어야 할 고유한 가치이다. 이를 가장 최우선의 목표로 두고 그것이 달성되는 과정에서는 어떤 구별 짓기도, 차별도, 위계도 나누지 않아야 할 것이다. 배제하는 것 자체를 배제할 때 새 연대의 가능성은 먼 미래 혹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실현 가능한 것이 될 것이다. Among Korean movies released in the early 2010s, The King of Jokgu is significance for describing the possibility of a new solidarity, by presenting meaningless acts as a way of countering the dominant order of neoliberalism. However, the image of the new solidarity presented in the film is not one that can be realized here, but is rather an imaginary solidarity. This is because it was meant to confront neoliberalism, but was prevented from doing this by the existing patriarchal ideology which followed the neoliberal system without objection. Accordingly, new solidarity regulates its exclusion as a basic order, such as sharing the gender hierarch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oalition. However, solidarity is not one of the various processes for change, but a unique value that must be achieved by itself. Thi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goal and there should not be any discrimination, or hierarchy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olidarity. When excluding exclusion itself, the possibility of the new solidarity is not limited to distant future or the imagination, but can be realized here in the present.

      • KCI등재

        1970년대 근대 국가 논리 속에서 장려된 중산층 가정의 욕망과 허상의 젠더성

        권현정(Gwon Hyeon Jeo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연구는 1970년대 중산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당대 정권의 정책과 연관하여 김승옥의 「강변부인」을 살펴본 것이다. 중산층 가정의 주거공간, 생활양식은 당대의 근대적 표상으로 제시된다.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중산층(으로)의 욕망은 주체가 느끼는 성적 욕망과도 맥을 같이한다. 이때 주체의 성적 욕망은 한낱 망측한 본능으로만 간주된다. 하지만 작중 말미에서는 결국 그 망측한 욕망이 중산층과 중산층 가정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장치로 활용된다. 왜냐하면 중산층(으로)의 욕망은 계층 상승을 위해 자신의 몸과 집을 교환가치로 전락시키고, 이 과정에서 가정 또한 불륜의 묵인 및 방관을 통해 가장 불건전한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소설은 위와 같은 당대의 시대상을 대중소설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교묘히 드러내고 비웃으며 그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작중에서 보여주는 중산층의 판타지에는 적나라한 젠더적 위계가 녹아있다는 사실이다. 똑같이 계층 상승의 욕망에서 비롯된 행위임에도 남성의 행위는 건설적인 것으로 여성의 행위는 천박한 것으로 치부되며 젠더적 위계가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중산층의 부조리나 천박한 면모를 여성적인 것과 동일시하는 태도이다. 김승옥은 「강변부인」에서 당대의 질서와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시대를 읽어내며 통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작가 스스로도 젠더적 위계를 통해 개발 이데올로기 담론을 구성하였던 지배 질서의 함정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소설 속에서 그대로 체화하고 있었던 셈이다. Focusing on a key word of middle-income family in the 1970’s, this study examined 「Mrs. Kangbyun」 of Kim Seung-ok in relation to regime and its policy at that time. Residential space and lifestyle of middle-income family is presented as a modern symbol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desire for middle-income family goes along with sexual desire the subject had. The sexual desire of the subject is considered only as a vulgar instinct. However, at the finishing part of the novel, the indecent desire is used as a device to represent the delusion of middle-income or middle-income family. It is because desire for middle-income family degrades her body and house as exchange value for class rising and in this process, her family is also maintained in an unwholesome form through connivance and onlooking of infidelity. This novel reveals the reality by skillfully deriding popular vein and mass appeal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point to notice here is the fact that explicit gender hierarchy is embedded at fantasy of middle-income family disclosed by the novel. Though they are the same behaviors caused by the desire for class rising, the man’s behaviors are considered constructive and the woman’ behaviors are discounted as something vulgar. They are divided due to gender hierarchy. It is because there is an attitude to identify the absurdity or vulgar aspects of middle-income family as feminine things. Kim Seung-ok definitely tried to read the signs of and gain an insight into the time through 「Mrs. Kangbyun」, keeping a distance away from the order at that time. Nevertheless, the author himself is embodied as he is at the novel, not getting away from a trap of the ruling order to compose ideological discourse developed by gender hierarchy.

      • KCI등재

        청년 ‘행위’의 정치성과 그 저항 (불)가능성에 대하여

        권현정(Gwon, Hyeon-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하길종은 1970년대 한국의 청년영화를 대표하는 감독이다. 그는 당시 한국영화에는 “진짜 영화”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 같은 평가는 자신의 영화를 논의할 때 또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 글은 그가 “진짜 영화”에 도달하려 “노력”했던 행위 자체가 의미 있는 지점을 낳는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노력”의 행위는 그의 대표작 <바보들의 행진>의 곳곳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바보들의 행진>에서 청년은 당시 정권의 시선에서 바라보자면 가장 불건전한 행위를 통해 시대에 맞선다. 그들은 당시 지배 세력의 어휘였던 건전, 명랑이라는 구호를 행위를 통해 전유하고 그것을 통해 당대에 맞서 저항했다. 이때 청년의 행위는 아렌트(Arendt) 식으로 말하자면 “창발성”을 가지는 행위임과 동시에 “우월한 정치적 활동”으로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청년들은 전체주의적 체제가 주는 압력과 압박 속에서 결국 시대적 한계에 부딪혀 좌절한다. 하지만 아렌트가 지적하고 있듯 무력함 속에서도 언제나 행위는 존재한다. 영화 속 청년들의 모습 또한 그렇다. 비록 청년들의 저항이 지금 이곳에서 당장 실현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일상을 유예하며 언젠가 찾아올 “우리들의 시대”를 준비한다. 청년들의 행위에는 언제나 저항의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청년들의 행위는 항상 저항 (불)가능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때 청년들이 남기고 있는 이 저항 (불)가능성의 지점이야말로 감독 하길종이 “진짜 영화”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의 행위와도 같다. Ha Gil-jong was a representative youth film director in the 1970s. He estimated that there was any “real movie” out of Korean movies at that time, which was an opinion to be also applied for his own movies as well. However, this study considers that his attitude itself of “effort” to reach “real movie” brought about the meaningful point. And his behavior of “effort” left traces here and there in the movie of The March of Fools. The youth in The March of Fools resist the age through the most unwholesome behaviors from the government’s perspective. They appropriate soundness and gaiety through slogans of their vocabularies of ruling power at that time, by which they could resist contemporariness. As Arendt put it, the youth’ behaviors at that time had “creative emergence” and functioned as “superior political activit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youth were frustrated to crash into limitations of the age under pressure of totalitarian regime. However, as Arendt pointed out, behaviors existed even inside of helplessness. Aspects of the youth in the movie look in the same way. Even though their resistance is not feasible right at the present moment, the youth always have (im)possiblity of resistance in that their behavior always embed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This (im)possiblity of resistance which the youth leave is like the behavior of “effort” for the movie director, Ha Gil-jong to reach a “real movie.”

      • KCI등재후보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영화적 재현 양상 : 영화 <귀향>을 중심으로

        권현정 ( Gwon Hyeon Jeo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7 아시아영화연구 Vol.9 No.2

        영화 <귀향>은 위안부 피해자를 `소녀` 혹은 `할머니`로 표상한다. 이 같은 표상의 기저에는 `바라보는 자` 즉 남성 중심적인 시선이 지배적으로 깔려있다. 그러나 이 같은 표상은 위안부 피해자가 순결하고 나약한 `소녀`에서 무력하고 노쇠한 `할머니`가 되기까지의 다채로운 삶은 사라지게 만든다. 대신 영화는 그들이 그 `사건` 이후 평생을 고통 속에서만 살아온 것처럼 제시한다. 이는 위안부 피해자를 무력하고 나약한 것으로 즉 정형화된 피해자상으로 고착화시키는 함정을 낳는다. 한편 영화는 성폭력의 피해자인 은경만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위로 할 수 있는 인물로 제시한다. 은경은 작중 말미에 귀향굿을 하며 피해자의 혼을 위로하고 피해 생존자의 마음을 치유해준다. 그런데 이 과정은 다분히 `사건` 내부에 있는 자들끼리의 연대로 그려진다. `사건` 외부에 있는 자들은, 심지어 관객까지도 철저히 주변인으로 전락한 채 그 `사건`을 더듬거려보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영화는 이 굿판을 통해 마치 `사건` 내/외부에 있는 자들이 함께 화합하고 치유한 듯이 그린다. 하지만 위안부 피해자를 둘러싼 사회적 통념과 인식을 바로 잡고, 그들의 삶을 정형화된 피해자상 안으로 밀어 넣지 않을 때, 그때 진정으로 `사건` 안의 피해자와 `사건` 밖에 있는 타자들은 화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점에 이르렀을 때에야 `사건`의 피해자들 또한 치유로 향하는 길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가게 될 것이다. The movie < Spirits` Homecoming > symbolizes comfort women as `girls` or `grandmothers`. The `gazer`, that is, the male-centered gaze dominantly lies on the base of this representation. However, such a representation makes the multifarious life of a victim of a comfort woman from a chaste and weak `girl` to a helpless and aged `grandmother` disappear. Instead, the film suggests that they have lived only in pai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ince the `incident`. This creates a trap that makes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look helpless and weak, that is, fixing them as stereotyped victim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ilm presents Eungyung, a victim of sexual violence, as the only person who can console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victims. Eungyung performs a homecoming exorcism at the end of the movie, consoles the soul of the victim and heals the victimized survivor`s mind. However, this process is mostly depicted only as a solidarity among those inside the `incident`. It is because those outside the `event`, even the audience, are unable to stare at the `incident` as they are degraded to marginal people. Nonetheless, the film draws as if the people inside/outside of the `incident` are harmonious and healing through this exorcism The movie < Spirits` Homecoming > symbolizes comfort women as `girls` or `grandmothers`. The `gazer`, that is, the male-centered gaze dominantly lies on the base of this representation. However, such a representation makes the multifarious life of a victim of a comfort woman from a chaste and weak `girl` to a helpless and aged `grandmother` disappear. Instead, the film suggests that they have lived only in pai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ince the `incident`. This creates a trap that makes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look helpless and weak, that is, fixing them as stereotyped victim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ilm presents Eungyung, a victim of sexual violence, as the only person who can console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victims. Eungyung performs a homecoming exorcism at the end of the movie, consoles the soul of the victim and heals the victimized survivor`s mind. However, this process is mostly depicted only as a solidarity among those inside the `incident`. It is because those outside the `event`, even the audience, are unable to stare at the `incident` as they are degraded to marginal people. Nonetheless, the film draws as if the people inside/outside of the `incident` are harmonious and healing through this exorcism However, when correcting the social convention and perceptions surrounding the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and not pushing their lives into the stereotype of the victim, then it will be possible to truly harmonize with and heal the victims in the `in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