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구취와 치주질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권진희,장문택,류성훈,김형섭,Kwon, Jin-Hee,Chang, Moon-Taek,Ryu, Sung-Hoon,Kim, Hyung-Seop 대한치주과학회 2000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0 No.1

        Putrefactive activity within the oral cavity is the principal cause of halitosis. The most common intraoral sites of oral malodor production are tongue, interdental and subgingival areas. The other foci may include faulty restorations, sites of food impaction and abscesses. Periodontal disease frequently involves pathological oral malodor, which is caused mainly by volatile sulfur compounds(VSC), such as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and dimethyl sulf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status.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were estimated by portable sulfide monitor($Halimeter^{T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s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 periodontitis group than in a control group(P<0.01). The amounts of VSC in mouth air from patients with periodontal involvement were four times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2.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VSC concentrations and the number of pocket depth above 4mm(P<0.01), but correlation between VSC concentrations and plaque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 In the periodontitis group, VSC concentrations of pre-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P<0.01).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VSC concentrations and sex / age in the periodontitis group.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periodontal disease may play a role as an important factor of oral malodor and deep periodontal pockets are a source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원격대학 특성 비교 연구

        권진희(Kwon, Jinh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3

        이 연구는 평생교육 이념에 기초해 설립된 한국과 미국의 대규모 원격대학의 교육 특성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서 원격ㆍ고등교육의 발전 방향과 관련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설립이념과 교육대상, 규모가 유사한 한국방송신대학교와 미국 UMUC를 대상으로 교육 과정과 학사운영체제, 교수학습방식, 학업평가제도, 학습자 지원체제 등을 중심으로 두 원격대학의 교육체제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평생학습 시대에 원격대학은 교육의 형식만이 아니라 교육의 내용과 운영체제 전반에 있어 개방성을 확대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distance higher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by examining the case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KNOU) and University of Maryland University College(UMUC) of U.S. These two institutions are similar in that they both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publicity,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educational system such as the courses and operating system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open and distance higher education i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openness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to reflect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 curruculum and the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Especiall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s the National University will be responsible for leading the lifelong learning based on a public mission and its educational infrastructure.

      • KCI등재

        방문요양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 재이용의사 간의 관계 분석

        권진희(Jinhee Kwon),한은정(Eun-Jeong Han),강임옥(Im-Ok Kang)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재가급여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문요양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파악하고, 방문요양 이용자 만족도가 서비스 질과 재이용의사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장기요양등급 판정 과정을 거쳐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은 자(1~3등급) 가운데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의 한 종류인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자 중 일부를 표본추출하여 선정하였다.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는 1,020명(이용자 본인 241명, 주수발자 779명)이었고, 최종 연구대상자는 주수발자를 제외한 이용자 본인 241명으로 정하였다. 설문문항들의 신뢰도 평가결과 Cronbach's α 값이 0.951을 보여 매우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인지하는 서비스의 질을 구성하는 3개 차원은 만족도와 재이용의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서비스 내용 및 과정과 만족도는 상관계수가 0.801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가 인지하는 방문요양서비스의 질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서비스 재이용의사와 서로 관련이 있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비스 내용 및 과정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다른 차원 간의 관계보다 더 강한 양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요양서비스 제공기관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인지하는 장기요양서비스의 체계적인 질관리 특히, 서비스 내용 및 과정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home help service us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overal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users who have used home help service in long-term care system. A national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in December 2008, using proportionate quota sampling. Finally, 241 home help service users wrote informed consents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characteristics of beneficiaries, perceived quality of service(13 items), overall satisfaction(1 item) and purchase intention(1 ite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a causal relationship of perceived quality, overal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shows firstly, the quality of servi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that is, contract, service contentㆍprocess, and solution of problem or complain. Second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rvice quality items were satisfied. Finally, in the total effect of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for purchase intention, overall satisfaction(path coefficients=0.333) and service contentㆍprocess(0.301) is more higher than other variables. These findings imply that service quality is an antecedent of overall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the quality of service including service content process should be emphasized in home help service facilities for long-term care.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원격협진에 대한 촉탁의와 간호사의 인식

        권진희(Kwon Jinhee),이정석(Lee Jungsuk),장혜민(Jang Hyemin),황라일(Hwang Rahil) 한국노인간호학회 2020 노인간호학회지 Vol.22 No.2

        Purpose: It is important to improve accessibility to healthcare for disabled elders, a policy agenda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t-time doctors and nurses perceptions of tele-consultation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elders in long term care institutions. Methods: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from the database of the tele-consultation pilot project done from November 2016 to October 2017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art-time doctors and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project. Results: In 89 long term care institutions, a total of 1,258 residents had 2,202 tele-consultations on their health problems over 1 year. Both part-time doctors and nurses had low satisfaction with the tele-consultation pilot project but negatively recognized its usefulness.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the tele-consultation project, if it was modified eff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onsiderable modification of this tele-consultation model is needed. It should be helpful for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come up with new ideas for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인지지원등급자의 주야간보호서비스 이용 현황에 관한 연구

        권진희 ( Jin Hee Kwon ),황라일 ( Rah Il Hwang ),장혜민 ( Hye Min Ja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ervi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assistance graders by monitoring the use of day care centers. Method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using a survey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services. Results: ‘Cognitive training’ and ‘Art therapy’ were the most frequent cognitive activity programs implemented, but they did not operate specialized programs for each dementia severity. In addition, day care centers presented difficulties such as a lack of manuals for operating cognitive activity programs. The rat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use of cognitive-assistance grader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y additionally hoped for mobility support necessary for going out and health care services by nurses. After using day care centers, there was little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ognitive assistance graders. Conclusions: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assistance grad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ual and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for workers in day care centers.

      • KCI등재

        원격대학생의 학업중단에 관한 성인교육학적 연구

        권진희(Kwon, Jin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3

        원격대학은 학점은행제, 독학학위제와 함께 성인학습자들에게 고등교육 수준의 학력 취득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학력보완교육제도이다. 원격대학은 성인학습자들의 고등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한편으로 입학자의 상당수가 졸업에 이르기 전에 학업을 중단하는 문제로 인해 이에 관한 학문적 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업 중단자들에 대한 전기적 면담을 통하여 이들의 삶의 맥락에서 원격대학 학업중단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업중단 현상이 성인학습 연구와 교육 실천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 학업중단 현상은 ‘교육적 실패’라기보다는 학습생활과 괴리된 교육제도에 대한 학습자의 ‘거부’, 학습목표의 성취에 의한 학업의 ‘완료’, 대안적 학업의 장으로의 ‘이동’, 또는 학업의 ‘유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학업중단’의 과정과 의미들을 통해 볼 때 성인학습자에게 근본적인 것은 ‘학업생활’이 아니라 ‘학습생활’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부적응’만을 문제시하던 학교중심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평생학습 관점에서 학업중단에 관한 연구관점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Distance University is one of the well-known alternatives to a Bachelor's Degree that offers an opportunity to receive an academic background of a higher education level for an adult learner along with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nd Bachelor's Degree Examination for Self-Education. Although Distance Universit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Bachelor's Degrees for adult learners, on the other side, a great proportion of entering students stopped their studies before they reached their graduation. In this study, the retention was reflected not from an educator's point of view, but from a learner's point of view, and, then, discussed the systematic limitations in Distant University. The result shows that the retention issue may imply various meanings, such as the learners' 'rejection' of the rigidity and one-sidedness of the educational system, 'a completion' of study by achieving educational goal, 'a transfer' to another alternative location of education, or 'a withholding' of study, rather than 'an educational failure'. However, stopping study reveals that what is essential for an adult learner is not a scholastic life, but a learning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make a shift from a conventional schooling paradigm, which only focuses on a maladjustment of the learners, and then reshape the perspective of research on the retention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 KCI등재

        김수영 시평 연구

        권진희 ( Jin Hui 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김수영은 한국현대문학을 오랫동안 양분해온 『창작과비평』(창비)과 『문학과지성』(문지)진영에서 각각 자신의 문학적 거점으로 평가되면서 큰 주목을 받아왔다. 창비 진영은 백낙청과 염무웅 등을 중심으로 해서 그의 현실의식에 주목해서 그를 참여 시인으로 평가해온 반면, 문지 진영은 현실에 대응하는 양식으로서의 모더니티에 주목하여 그를 모더니즘 시인으로 평가해온 것이다. 그러나 시평을 통해 확인되는 김수영 문학의 특성은 ‘현대성’과 ‘새로움’의 추구 두 가지로 분석된다. 그의 현대성은 ‘온몸의 시학’을 바탕으로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것에 대한 실천적 저항을 의미하며, 그의 새로움은 강한 개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철저한 절망을 통해 죽음과도 같은 자기갱신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창비진영과 문지진영의 기존 평가는 김수영 문학의 본질적 측면을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김수영이 추구한 문학은 ‘죽음’과도 같은 ‘새로움’을 견뎌내면서 자유를 억압하는 모든 것을 ‘온몸’으로 거부하는 진정한 ‘현대성’의 지향인 것이다. Kim Su-Yeong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Creation and criticism』(Changbi) and 『Literature and Intelligence』(Munji) that bisected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for long time as being evaluated as their literatural stronghold. Changbi camp centering around Baek Nak-Cheong and Yeom Mu-Ung has evaluated him as one of participant poets giving attention to his sense of reality, while Munji camp has evaluated him as one of modernist poets giving attention to his modernity as a style facing to the reality.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Kim Su-Yeong`s literature identified through comments are analyzed by two aspects, ``modernity`` and ``novelty``. His modernity means a practical resistance against everything that suppresses freedom based on ``the poetics of whole body``, and his novelty means a strong individu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toward self-renewal like a death through thorough despair. Therefore, the existing evaluation of Kim Su-Yeong by Changbi camp and Munji camp overlooked the essential part of his literature. The literature Kim Su-Yeong sought is the aiming at the real ``modernity`` that refuses everything that suppresses freedom with the whole body, while enduring the ``novelty`` like ``death``.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복지용구대여제에 관한 연구: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의 표적집단면접조사(FGI)를 중심으로

        권진희 ( Kwon Jinhee ),김혜경 ( Kim Hye-kyung ),나영균 ( Na Young-kyo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복지용구 대여서비스에 대한 조사를 통해 향후 복지용구 서비스의 정책방향에 필요한 제언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서비스 이용가족을 대상으로 한 이용자 조사, 대여사업소를 대상으로 한 제공자 조사를 표적접단면접조사(FGI)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내용분석방법(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복지용구품목을 통해 질 높은 서비스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 조사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었다. 둘째, 이용자 조사 결과, 서비스 계약 체결 전 단계에서 경험적으로 복지용구를 이용해 보는 것에 대한 욕구가 도출되었다. 셋째, 제공자 조사를 통해 복지용구 대여의 사업성이 낮은 점과 장기요양급여제공기록지의 보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복지용구 대여제에 대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전국단위의 복지용구관련 실태조사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ssistive devices rental service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our research purpos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between rental-agency and frail elders` family. Data was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1) Diverse product and product item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ssistive product from both service-users and service-providers analyses. 2) The necessity of pre-use before contract was suggested from service-users analysis. 3) The efforts to improve poor business market and the standard long-term care utilization plan is needed from service-providers survey. Our findings could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of assistive product rental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assistive product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national wide survey.

      • 농촌과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대한 연구

        권진희(Kwon Jin Hee),윤예소(Yoon Ye So),김설화(Kim Seol Hwa),박정연(Park Jeong Yun),김수민(Kim Soo Min)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문제를 사회적 지지와 관련지어 도시지역 노인과 비교하고, 노인들의 우울에 대한 자료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울주군)과 도시(남구, 중구, 동구)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정도와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도시와 농촌 간의 우울 정도와 사회적 지지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 178부를 조사하였으나 회수된 설문지의 항목 누락이 있거나 자료가 불충분한 18부를 제외하여 160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울주군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77.86으로써 중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의 평균 75.8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도시와 농촌 지역을 비교했을 때 농촌이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고 우울증 정도는 더 낮게 나타났으나 도시와 농촌간의 유의한 결과가 있다고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응답자의 우울 정도가 보통 정도이기는 하지만, 노인은 항상 우울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노인을 대상으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는 노인의 우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개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about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study in rural and urban over 65 years. The subject was the 65 year-old elderly living in Ulsan. Depression scale was used zung’s depress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was used 5 points scale of park ji-won. Analysis method were analyzed using t-test. In summary, the empiric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we was compared city and country,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ut depress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RC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권진희(Jinhee Kwon),한봉환(Bonghwan Han),홍혜경(Hyekyung H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RC교육에 참여한 학생의 관점에서 RC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사례연구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C교육 프로그램은 대학1학년 학생들에게 '폭넓은 교우관계와 소속감', '자기이해와 성장동기', '공동체의식', '자신감과 도전정신'을 형성하며, 다양한 사고에 노출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방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의미있게 생각하는 RC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적 요소로는 '융합학습’, '체험학습', '상호학습과 협력학습', '전환학습', '공유학습과 학습의 확장' 등으로 나타났다. 1학년 학생들은 RC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다양한 새 친구들을 만나고 함께 활동하면서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성장동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1학년 학생의 RC프로그램 참여가 학생의 학문적, 사회적 통합에 도움이 되는 후속활동으로 연결되어 장기적으로 긍정적 교육 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RC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과 후속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RC education program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using th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C education program forms 'broad friendships and sense of belonging', 'self-discovery and motivation for growth', 'sense of community', and 'confidence and challenge spirit' of first 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promotes open thinking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multiple perspectiv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RC education programs are ‘convergence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shared learning and extended learning’ First-yea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C education program made new friends, formed trust while doing RC activities together, and formed a sense of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gained motivation for academic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RC program can lead to follow-up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which can hav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in the long ru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C education programs and follow-up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