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브랜드 참여성과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황기순(Ki Soon Hw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현재 한국의 패션-섬유산업은 국내,외의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세계 속에서 그 경쟁력이 취약해지고 있다. 국내 패션-섬유 산업의 중소기업들은 이와 같은 어려운 산업 환경을 극복하고 다품종소량생산의 산업 체제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그 방안의 하나로써 여러 중소기업들이 연합하여 대표 브랜드를 공유하는 공동브랜드가 전개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공동브랜드는 국내에서 새로운 형태의 전략적 제휴로써 확고하게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성장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성공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패션-섬유 산업에서 전개되고 있는 공동브랜드를 살펴보고, 공동브랜드의 참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공동브랜드에 대한 정의와 분류 및 장,단점 그리고 한국 패션-텍스타일 산업에서의 공동브랜드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공동브랜드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의 현황과 공동브랜드의 참여 동기 및 공동브랜드와 연관된 전략적 제휴의 요인들을 파악하였으며, 참여성과의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세컨더리 데이터의 활용하였고, 전략적 제휴의 선행연구를 응용한 설문지와 SPSS의 통계분석을 활용한 프라이머리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동브랜드의 참여성과는 기업들의 제휴의 경험과 전략적 제휴의 관계 요인 그리고 기업 기술경쟁력의 확보에 대한 동기에 따라 좋은 결과를 이끌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한국 패션-섬유 산업에서의 공동브랜드 전개의 필요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 패션-섬유 산업의 중소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Presently, the fashion-textile industry in South Korea has become deteriorated more and more, slowing down its growth rate in the global competition under the ever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Those companies with a small and medium sized scale in this field are trying to have a new business strategy to get out of this loophole and keep apace with the industrial framework for lean production. As part of their possible alternatives, they give it a try to get allied in order to hold a representative brand that they can have in common strategically. This cooperative brand is, however, on a weak ground domestically as a strategic alliance, and has yet to be improved. Thus, some more study is needed in a specific and systematic manner for Considering such a point,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present circumstances in the domestic fashion-textile industry and aims at the analysis about participatory factors influential to the cooperative brand The main part to work on in this study deals with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ooperative br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branding for the Korean fashion-textile industry. For the add-on analysis, such an assessment was performed as the enterprises` situations who join the cooperative brand, their motivation of participation, strategic alliance factors in practicing the cooperative brand, and influential factors in the participation outcome. In the study method, the secondary data was reviewed for the outline of cooperative brand that becomes fundamental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rimary research as a tool to find out the cooperative brand`s participation, some empirical examination on strategic alliance was done and the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accepted with use of reconstituted questionnaire to fit in this own research.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was accepted for analytical metho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se participated companies were led to a good outcome according to the alliance experience, attributes in alliance relationship, and motivation in attainment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From these findings, the relevant theoretical approaches could be organized and given to better understand the necessities for cooperative brand in the Korean fashion-textile industrial realm, and through which the useful information could be available to provide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n the related industrial sector.

      • 여대생의 자기인식 비만지수와 로러의 비만지수에 의한 브래지어 착용 만족도 연구

        권진(Kwen, J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현대 여대생들의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은 실제의 체형보다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정작 본인 체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형 보정 언더웨어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단계로써, 여대생을 중심으로 스스로 인식하는 비만도와 실제의 비만도에 따른 브래지어 착용의 만족도와 그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용 언더웨어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여성의 체형 보정 속옷 착용시 인체의 구속을 경감시키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폐쇄형 설문지를 활용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범위는 여대생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여대생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비만지수와 단위 체적에 대한 중량을 나타내는 로러지수에 의한 비만지수에서 브래지어 착용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기인식 비만지수와 로러의 비만지수가 일치하는 경우는 불일치 할 경우보다 브래지어 착용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자기인식 비만지수와 로러의 비만지수에 따른 브래지어 착용 만족도 차이의 영향 요인은 착용의 조작성보다 착장성 및 착용감 그리고 체형보정성이 보다 높은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대생들의 만족감을 주는 체형보정 언더웨어 개발을 위하여 정확한 체형 및 비만도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소비자들의 이상형 체형의 욕구와 실제 체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언더웨어 착용의 만족도와 그의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개발된 보정 속옷 제품은 활동이 많은 현대 여성들의 인체구속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modern female college students, self-awareness of their own body shape is greatly distorted with a thought that they have more obese body shape than real. And yet, they fail to realize exactly about their physical shape in reality. Based on this matter, this study aimed at looking into the possible influence of recognized obesity and real obesity on the way to wear a brassiere as underwear. Results from this work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egree of wearing satisfaction between self-recognition obesity and Rohrer"s index, which is an indicator about mass over unit volume. Particularly, both of these two turned out to be influential over the wearing satisfaction of brassiere in terms of wearability, wearing sensation and body shaping.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xact understanding of body shape and level of obesit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Differences between real shape and personal desire should also be taken deeply into consideration in developing the body shaping underwear.

      • KCI등재

        여대생의 체형 맞춤형 우먼웨어 개발을 위한체형과 유방크기에 따른 브래지어 착용 만족도 조사

        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현대 의류는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체친화적인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보다 편안하고기능적이면서 아름다운 제품을 개발을 위하여 힘쓰고있다. 이러한 패션 산업의 경향은 여성의 언더웨어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에도 계속적인 발전을이루고 있다. 그러나 여성 체형 보정 의류는 많은 연구와 개발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구조와 기능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인체의 구속에서 자유로운제품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체 구속을 경감시키는 체형 보정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단계로써, 전체 여성 가운데 여대생을 중심으로 체형과 유방 크기에 따른 브래지어의 착용 만족도와 개선 요구도를 파악하여 체형 보정 의류 제품 개발에 일조함으로써 한국의 어려워지고 있는 패션산업의 새로운 도약에 기여하고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브래지어 착용 만족도와 개선요구도에 관한 분석이다. 연구 방법은 여성 체형 보정의류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문헌 고찰하였고, 착용 만족도와 개선 요구도는 폐쇄형 설문지를 활용한질문지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체형과 유방 크기는 상관관계가 있는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체형과 유방크기에 따라 만족도와 개선 요구도의 차이가 나타나 체형 보정 의류의개발시 체형과 유방크기를 세분화하고 각각의 요구에따라 서로 다른 개선사항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으로밝혀졌다. 더불어 브래지어 착용의 만족도는 체형보다는 유방크기가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유방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한 심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여대생들의 체형과 유방 크기에 대한 체형 보정 의복의 만족도와 개선 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한 여성 체형 보정 의류 개발의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The modern clothing is under evolution with ahuman-friendly orientation continuously due to thedevelopment of cutting edge technology and goestoward the comfort to wear, functionality, and estheticpoint. Such a fashion industry trend was influential towoman`s underwear market and is still beingprogressed for improvement. In spite of much researchand development, however, the body shaping garmentfor woman has not reached the completion as a productfree from bodily limitation because of its peculiarstructure and functional nature. As such, this study starts comprehending thewearing satisfaction of brassier and its request formodification according to female college student`s bodyshape and breast size as part of a basic research stepfor body shaping, which leads to alleviate theconfinement or distortion of human body. With theseefforts, this work aims at contributing to the takeoffof Korean fashion industry experiencing the hard timepresently and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orwomen. The main scope here is analysis about satisfactionlevel and request for improvement when wearing thebrassiere.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aboutwoman`s body shaping garments and related precedentworks were examined. Also, the analysis wasperformed by using a closed-ended questionnaire on thesatisfaction degree about wearing and the request formodification. Materials for study were referred to fromdatabase available in internet sites inside and outsidethe country, network screening, and releasedpublication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correlation between body shape and breast size and a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level and request levelaccording to shape and size, implying the necessity todifferentiate the body shape and breast size in moredetailed manner when developing the body shapinggarment and meet the individual application. Also, itappeared that the breast size gives more influence tothe wearing satisfaction of brassier than the body shapedoes, which requires an in-depth research based onbreast shape and size. As a research consequence, satisfaction level andrequest for improvement of body shaping garment couldbe comprehended according to body shape and breastsize among the college women and this could provideinformation on development of body shaping garmentfor female.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투명성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강숙녀(Sook Nyeo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화학적 첨단 소재의 개발은 현대 패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으며 과거 의복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투명비닐, 거울, 금속 등의 소재가 패션에 활용되어 디자인의 표현 경계를 허물게 되었다. 특히 투명비닐은 우븐웨어의 투명성을 표현하는 소재로써 패션의 시각적 효과의 다양성을 확대 시키고 있다. 이러한 우븐웨어의 투명성은 니트웨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투명성에 대한 표현 방법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점에 착안하여 니트웨어 투명성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과 그 표현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표현된 투명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니트웨어 디자인의 표현 기법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를 미래의 니트웨어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표현된 투명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2005년 이후 해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의 투명성의 유형과 그 표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투명성의 표현 유형의 분류와 투명성의 효과이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투명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그 투명성 이론을 바탕으로 니트웨어의 투명성과 그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니트웨어에 표현된 투명성의 효과는 2005년 이후 국외 컬렉션 발표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투명성은 물리적 투명성과 심리적 투명성으로 구분되었으며, 그에 나타난 투명성 효과는 중첩, 동시성, 상호관입, 공간 개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의 디자인 기법과 구성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advent of chemical materials and high technology materials allows for a wide spectrum of expression in the modern costumes through constant development of these materials. Especially, application of transparent plastic, mirror and metallic stuff helps to express in more diverse manner for fashion design, which were not used in the past. Trials are now adopted with those materials for transparency in woven wear design as part of visual effect. This type of transparent woven wear gives influence to knit wear products but the differences were found in its expression method. From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hat more specific reviews and expression effects should be followed in regard to knit wear transpar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s to understand an expressive technique in knit wear design and making use of them in the future design by examining the transparent properties in knit wear. Specifically in this work, the transparency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knit wear would be reviewed and then the type of transparent features and expression effects in it introduced in foreign collections since 2005 would be analyzed. The main scope covered in this research paper was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expressed knitwear transparency and effects from them. As to the research methodology, transparency was studied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the transparent characteristics in knit wear and the individually differentiated features were induced. For the transparency effects given in knit wear, the analysis was basically performed about collection works that appeared after 2005 in the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in transparency expressed in knit wear products could be divided into physical transparency and psychological transparency. In the effects of transparency, it turned out that these could be characterized as overlapping, simultaneity, inter-penetration and spatial openness. The findings in this work would be helpful in organizing and providing the necessitated theor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sign techniques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knit wear. Consequently from this research, the relevant information would be attainable more widely for the brand-new design method of knit wear and the enlarged interpretation scope of costume cul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권진 ( Jin Kwen ),엄소희 ( Sohee Um ),이영숙 ( Youngsuk Lee ),김용문 ( Yongmun Kim ),우현리 ( Hyunri Woo ) 복식문화학회 2018 服飾文化硏究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images typical to this city and explored way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se images.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then conducted a closed-ended survey to analyze universal fashion preferences. For the examination material, such a way was used as information data base and network review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dissertation screen, and published media including separate volumes. The following are considering points in the developing process. First, the study identified design, color, price, practicality and quality as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image of Gangneung. In particular, it determined that the image needs to reflect a modern sensibility while maximizing its representation of local culture. Second, Gangneung’s symbolic image should incorporate the sea, Gyeongpo, and coffee. In other words, the sea, Gyeongpo, and coffee should receive top symbolic priority. Third, from a development perspective, the most appropriate items for displaying the image include t-shirts, keychains, umbrellas, or other accessories, since these items are easily available in terms of price. In sum,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Gangneung’s currents ymbolic image, suggesting that a new image should be developed. Developing a typical fashion cultural product image will enrich Gangneung’s cultural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 of newly designed products will improve the localeconomy.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패치워크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 패션의 디자인 표현 방법의 하나로 직물의 표면 효과를 활용하는 것이 있다. 직물의 장식기법 가운데 패치워크는 인류와 더불어 시작되어 현재까지 그맥을 이어온 매우 역사가 깊은 텍스타일의 표현기법이다. 과거 의복에 나타나는 패치워크는 실용적인 측면이 강하였으나 현재 의복에서는 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한 장식적인 측면이 보다 강조된다고 볼수 있다. 니트웨어에서도 패치워크의 장식효과가 나타나지만, 패브릭의 조직 특성으로 인하여 패치워크의 기법이 그대로 활용되기 보다는 그 이미지를 차용하여 패치워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점에 착안하여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패치워크 이미지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 유형의 고찰과 그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패치워크 이미지를 고찰하여 니트웨어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더불어 이를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패치워크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2007년 이후 해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의 패치워크 효과와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패치워크 이미지의 표현 유형과 표현 효과이다. 연구 방법은 2007년 이후 국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 가운데 패치워크 이미지가 표현된 작품을 선별하였고, 그 작품들에 나타난 패치워크 이미지의 유형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패치워크 이미지는 아플리케기법 이미지와 모자이크기법 이미지로 대표되었으며, 니트웨어에 나타난 패치워크의 디자인 특성은 유목성(遊牧性), 가변성(可變性), 통합성(統合性)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 표면의 텍스타일 장식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As one of the design expressions in the modern fashion, there is a technique utilized with surface effect of textile. Among the decoration techniques of textile, patchwork is a very long lasting method,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hese days along with the human history. Practical point was emphasized in patchwork expressed on the clothing in the past. The decorative point as part of extended expression skills is now more emphasized in today`s patchwork than before, relatively. Knitwear is also influenced by that applied in the woven wear, but thanks to its structural property, it is not properly used as it is. Instead, patchwork image was observed to be utilized. Based on this idea, the necessity to realize the specific expression style took place, together with further observation of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patchwork image found in knitwear, provide the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features in knitwear design, and eventually, develop the design unique to knitwear. This work would try to look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patchwork and analyze the its effect and uniqueness found in the overseas collection introduced since 2007. Main scope to be covered is expression types and effects shown on knitwork patchwork. As for a study method, patchwork image works expressed in knitwear were selected from foreign collections and then those typ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information D/B and network browsing in foreign and domestic sites by using internet, the books and publication materials including dissertations, single volumes, and all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also utilized for examination. As a result, the patchwork images denoted in knitwear could be categorized into applique image and mosaic image and from which the effects could be derived were nomadism, variability, and integration. Findings from this work would provide the necessary theories in an organized form and help to understand the decorative characteristics on textile surface of knitwear, and through which new knitwear design could be developed and the information available for wider interpretation scope of costume culture could be provided.

      • KCI등재

        생활한복의 깃 디자인 기원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박혜령(Hea Ryoung Park) 한국의류산업학회 200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3 No.3

        In this paper, various shapes of collar of the casual Koeran dress at present are analyzed and are also surveyed the origins from which such designs are derived. Collars of the casual Korean dress are to be classified into Round-collar, Mokpan-collar, Dangco-collar, Knife-collar, Baja-collar, Danryoung-transfer-collar, Double-collar, Transfer-collar, and so on. Round-collar, Mokpan-collar, Dangco-collar, Knife-collar, Baja-collar, Danryoung-transfer-collar, Double-collar, Transfer-collar are motivated from the classical types of collar during the dynasty of the Choxian and adopted without any modifications. However, modifications to meet modern sense with the basic motif on the classical types of collar are applied to Transfer-collar where all kinds of collar shapes since ancient times are referred for modifications. In addition, collars such as Double-collar, Hi-neck-collar, which are not found in the classical Korean dress, could be said to be created only for the casual Korean dress From the above, it could be seen that most collars of the casual Korean dress are based on the shapes of the classical Korean dress. Therefore, it could be also confinned that the casual Korean dress design has its identity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Korean dress since the ancient times.

      • KCI등재
      • KCI등재

        여대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 조사

        권진(Kwen,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현대 여성들은 늘씬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선호하는 반면, 스스로의 인체는 비만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는 본인 신체의 실측 값으로 계산된 비만도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에 따른 신체인식과 신체만족도를 파악하여 20대 여성이 추구하는 미적욕구를 충족시키는 의복 개발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수척형, 표준형, 비만형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과 신체 만족도에 관한 분석이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의 신체인식 및 신체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폐쇄형 설문지를 이용한 질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로러지수 산출을 위해서는 신장과 체중의 인체계측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연구표본은 PASW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여 여대생은 실제 비만도보다 스스로 인식하는 비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실측 비만도와 인식 비만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인식 영향 요인은 체중, 둘레항목, 길이항목, 넓이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들 보다 체중, 가슴둘레 그리고 엉덩이둘레가 자기인식 비만도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신체 만족도에서는 로러지수 비만도와 자기인식 비만도 모두 비만형의 신체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척형의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에 따른 신체 만족도는 체중, 상체와 하체 형태 및 실루엣, 그리고 허리 및 팔과 다리의 둘레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척형이나 표준형 여성의 의복보다는 신체 만족도가 낮은 비만형 여성의 의복 개선이 더욱더 요구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비만도에 의한 신체 인식이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기 때문에 인체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의복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소비자들의 이상적 신체와 실제 신체 차이를 고려한 의복 설계와 제작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Modern women are in favor of slim and esthetic body line but many of them a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fat. In reality, however, most of them do not know their actually measured obesity. From such a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tends to work on the bod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among the college women and to provide theoretical materials in developing the clothing that meets the esthetic desire for females in their twenties. Scope and contents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being thin, normal and obese. Research materials were referred to from the database in internet sites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network screening, and released publications along with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to the research method, question sheet was used in the form of a closed-end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 perception of physical body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body based on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To calculate the Rohrer"s Index,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utilized about height and weight.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program PASW 18.0. Results turned out that the self-perceived obesity was larger than the actual obesity among the college women, indicating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real measurement and the perception. Specific body part influential to perception appeared as weight, circumference or girth, length, and width. Of those sectional categories, such parts gave much impact on self-perceived obesity as weight, chest girth and hip girth. In satisfaction of body, the obese type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Rohrer"s Index and self-perception, whereas the thin type group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lso, satisfaction of body by the obesity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weight, the shape and silhouette of upper and lower part of body, and the girth of waist, arm and leg. As a resul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ore effort should be placed on developing the female clothing for obese type than that for thin type or normal type. As there appears a different perception or satisfaction in obesity, some finley classified development should also be necessar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about human body. Based on these outcomes, clothing design and manufacture could be predicted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between ideal body and real body for the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