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 환자에서 발생한 나쁜 예후의 망막병증

        권지민,박강윤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4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etinopathy in a patient with chronically resistant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Case summary: A 52-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complaint of decreased visual acuity, which was 0.63 in both eyes. The patient had received a splenectomy, was receiving systemic treatment for chronic ITP, and had a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Multiple retinal and subretinal hemorrhages and Roth spots were found on fundus examination.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microaneurysms and hemorrhages in all four quadrants of the retina. The patient’s platelet count was 38,000/μL.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ITP-associated retinopathy, and underwent panretinal photocoagulation. Sudden visual loss was noted 4 months later, at which time the patient’s visual acuity was 0.1 in both eyes, and her platelet count was 7,000/μL. For 2 years, the patient’s platelet count was not controlled, and remained between 12,000–19,000/μL despite active medical treatment. Macular edema did not improve with intravitreal triamcinolone, dexamethasone, and bevacizumab. Retinal hemorrhages were not absorbed and visual acuity decreased to light perception in the right eye and counting fingers in the left eye. Conclusions: ITP-associated retinopathy wa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when the systemic disease was not controlled. 목적: 만성 저항성 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 환자에서 발생한 나쁜 예후의 망막병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3세의 여자 환자가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양안 각각 0.63으로 측정되었다. 환자는 만성 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으로 비장절제술과 전신치료를 받고 있었으며, 당뇨, 고혈압의 병력이 있었다. 안저검사에서 다발성의 망막 및 망막하출혈과 Roth 반점이 관찰되었고,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망막 4 사분면의 미세동맥류와 출혈이 있었다. 혈액학적 검사에서 혈소판수치가 38,000/μL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비증식 당뇨망막병증, 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과 관련된 망막병증으로 진단받고 범망막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받았다. 치료 4개월째 갑작스러운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양안 각각 0.1로 측정되었고 혈소판수치는 7,000/μL로 확인되었다. 2년간의 경과관찰 중 적극적인 내과적 치료에도 혈소판수치는 12,000-19,000/μL로 조절되지 않았다.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덱사메타손, 베바시주맙 주사에도 망막 부종이 지속되고 출혈이 흡수되지 않아 치료 2년 이후 우안 시력 광각인지, 좌안 시력안전수지로 악화되었다. 결론: 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과 관련된 망막병증에서 전신질환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나쁜 예후를 보였다.

      • KCI등재

        망막중심정맥폐쇄가 동반된 목동맥해면굴샛길

        권지민,안성열,양지호,김계중,이주연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2

        목적: 망막중심정맥폐쇄가 동반된 서서히 진행되는 목동맥해면굴샛길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요약: 66세 남자 환자가 우안 충혈, 안구돌출을 주호소로 내원하였다.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0.8, 좌안 0.5였고,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우안 결막의 혈관 확장과 결막밑출혈이 관찰되었다. 목동맥해면굴샛길 의심하 전산화단층촬영,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 자기공명영상 등 비침습적 영상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상 동정맥단락을 나타내는 혈관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고, 이에 면밀히 경과 관찰하였다. 약 1달 후 결막혈관 확장 악화 및 목동맥해면굴샛길이 망막중심정맥의 혈류정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 망막중심정맥폐쇄가 동반된 소견이 관찰되어 확진하기 위해 경대퇴 대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에 목동맥해면정맥동루로 확진할 수 있었다. 망막중심정맥폐쇄에 대해 우안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강 내 주사를 시행하였고, 우안 최대교정시력 1.0으로 호전되어 추후경과 관찰 예정이다. 결론: 천천히 진행되는 목동맥해면굴샛길의 경우 특징적인 안구 증상 외 망막정맥폐쇄 등 드문 안구 내 질환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면밀한 평가를 통해 신속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치료 병력이 없는 85세 이상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들의 치료 결과

        권지민,황성수,방종욱,김현웅,임재완,이상준,김동근,곽현덕,박강윤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9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sults of patients aged ≥ 85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treatment- naïve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treatment-naïve nAMD who were ≥ 85 years old at the time of diagnosis with at least 12 months follow-up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number of intravitreal injection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agents used during the entire period were investigate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analyzed. Visual acuity of the fellow eye was also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40 eyes of 40 patients with mean age of 87.5 ± 2.4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an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visual acuity was 0.85 ± 0.57, and the mean of the fellow eye was 0.93 ± 0.99. Compared to before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in terms of visual acuity. Central retinal thicknes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at all time points after treatment. Conclusions: In patients aged ≥ 85 years at the time of diagnosis, intravitreal injections of anti-VEGF prevented deterioration of visual acuity and showed successful anatomical outcomes. Especially, many had poor visual acuity in the fellow ey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visual acuity. Therefore, active treatment is necessary in the elderly.

      • KCI등재

        Long-term Results of Slanted Recession of Bilateral Lateral Rectus Muscle for Intermittent Exotropia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권지민,이수정 대한안과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33 No.4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efficacy of slanted lateral rectus recession in children for reducing distanceand near exodeviation and near-distance deviation difference in intermittent exotropia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53 patients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intermittent exotropia who underwentslant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and received follow-up formore than 12 month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Deviation angles at 1 day, 1 week, 1 month, 3 months,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and on the last visit were reviewed. Surgical success was definedas postoperative residual distance and near deviation angles ≤8 prism diopters and a difference between thenear and distance angles ≤8 prism diopters.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24 months (range, 12 to 61 months). On the last visit, the residualdeviation angles were ≤8 prism diopters in 75.5% for distance, 62.3% for near, and 81.1% for the near-distancedifference. Surgical success was achieved in 31 (58.5%) patients, and none of them manifested limitations ineye movements or diplopia at the last follow-up visit. Conclusions: Slanted lateral rectus recession i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reducing distance and nearexodeviation and near-distance deviation difference in intermittent exotropia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 KCI등재

        여말선초(麗末鮮初) 수성의 정치학 : 포은(圃隱)정몽주와 양촌(陽村)권근의 동상이몽

        권지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 연구 주제: 포은(圃隱) 정몽주와 양촌(陽村) 권근은 고려와 조선 교체 시기를 대표하는 학자이지만, 이들이 실천하고자 했던 수성의 모습은 역사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달리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그들에게 수성이 어떤 모습으로 체화되었는지 확인한다. · 연구 배경: 단심가(丹心歌)로 대표할 수 있는 정몽주의 절개는 곧 고려왕조에 대한 굳건한 신념과 충성으로 해석되는 동시에, 고려왕조를 수성하고자 하는 그의 수성의 정치사상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권근은 젊은 시절 정몽주에게서 학문을 배우고 정치적 입장을 같이 하지만 태조 이성계에게 부름을 받아 출사하게 된 후, 새로운 조선왕조에 대한 충성으로 수성의 정치사상을 볼 수 있는 현실정치에 임하게 되고, 그의 주 활동 시기는 태종시기였기 때문에 새로 시작된 조선왕조를 위한 수성에 힘을 기울이게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배경은 같은 시기 같은 ‘성리학’을 기반으로 정치사상을 확립하였던 두 학자가 왜 서로 다른 모습의 ‘수성’의 정치관을 가지게 되었는지 하는 연구질문에서부터 시작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여말선초의 정치사상에 대한 기존 연구는 각 학자에 집중이 되어 있거나, 고려 말 혹은 조선 초에 집중되어 서술되어 있지만 본 연구는 같은 시기에 같은 성리학을 기반으로 학문한 두 학자의 정치사상이 왜 다르게 나타났는지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 연구방법: 정몽주와 권근이 겪은 경험과 서술을 통한 문헌 비교 연구· 연구결과: 분석 결과, 성리학적 가치관을 확립하고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실현한다는 것에 대한 두 사람의 명확한 인식차이가 있었다. 즉, 같은 학문을 기반으로 정치관을 확립하더라도 어떤 현실감각과 현실인식을 수용하느냐에 따라 치세로 나타나는 행태가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시대변혁기를 대표하는 두 학자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비슷한 형태의 정치변혁기 혹은 그 시기 학자들에 대한 비교에 연구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실을 밝힘으로써 역사 비교학적 부분에서 학문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s: Jeong Mong-ju (Po-eun: 圃隱) and Kwon-geun (Yangchon: 陽村) were renowned scholars who represented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owever, the principles they sought to put into practice, "Susung" (守成), differed markedly when examined histor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Susung" was embodied in their respective practices. · Research background: Jeong Mong-ju's fidelity(Juelgae: 節槪), epitomized by the Danseongga(丹心歌), can be construed as unwavering belief in and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with his political ideology oriented towards upholding(守成) the Goryeo dynasty. Conversely, Kwon-geun, who learned from Jeong Mong-ju during his youth and shared similar political inclinations, pursued realpolitik, demonstrating his loyalty to the emerging Choseon dynasty, exemplifying a distinct political ideology.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y these two scholars who established their political ideas based on the sam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simultaneously, but developed divergent views on 'Susung(守成)' politic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on political thought during the 麗末鮮初 period - the transition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 have typically focused either on individual scholars or on specific periods. However, this study diverges from existing research. It seeks to analyze why the political thoughts of two scholars, who were studying based on the same Neo-Confucian theory at the same time, manifested in different ways. ·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alysis focusing on individual experiences and narratives of Jeong Mong-ju and Kwon-Geun. · Research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way the two individuals perceived the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 values and the realization of an ideal Neo-Confucian society. In other words, even when political views are grounded in the same academic discipline, the behavior that manifest as 'ruling the world' may differ depending on which sense of reality and perception of reality is embedd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comparative study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from a period of political transformation is anticipated to guide future research on comparisons of scholars during similar periods of political change. Moreover,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comparative history by unveiling new insights.

      • KCI등재

        의인성 진균 안내염 의증 환자에서 성공적 치료 후 발생한 술 후 세균 안내염 1예

        권지민,한상엽,방종욱,박강윤,김현웅 한국망막학회 2022 Journal of Retina Vol.7 No.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ostoperative bacterial endophthalmitis that occurred after successful treatment of suspected iatrogenic fungal endophthalmitis associated with viscoelastics. Case summary: A 60-year-old female was referr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2 months after uneventful cataract surgery. Inflammatory cells in the anterior chamber and fluffy balls in the vitreous were observed. Clinically, postoperative fungal endophthalmitis was suspected. Postoperative fungal endophthalmitis was prevalent in Korea at that time, and the viscoelastic material used during surgery was judged to be unsuitable. Vitrectomy, intraocular lens removal, and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were performed. With subsequent intravitreal injections and oral treatment, all signs of endophthalmitis disappeared. Three months later, the patient underwent scleral fixation of intraocular lens at another clinic and visited our emergency room with decreased vision in the right eye 2 days after the surgery. Her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Fundus was obscured due to corneal edema and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For suspected bacterial endophthalmitis, vitreous lavage, intravitreal silicone oil injection, and intravitreal antibiotics injection were performed, and the culture showed Staphylococcus epidermidis. Silicone oil was removed 2 months after the surgery, an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maintained at 0.9 without recurrence of endophthalmitis. Conclusions: Since patients who have suffered endophthalmitis are vulnerable to infection due to tissue damage caused by previous infection,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during additional procedures or surgeries. 목적: 점탄물질에 의한 의인성 진균 안내염 의증 환자의 성공적 치료 이후 발생한 술 후 세균 안내염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여자 60세 환자가 백내장 수술 후 2개월째 발생한 시력저하로 전원되었다. 전방 및 유리체 염증과 유리체 내 털뭉치모양의 혼탁이 관찰되어 임상적으로 진균 안내염이 의심되었다. 당시 백내장 수술 후 진균 안내염이 국내 유행하였고 술 중 사용된 점탄물질의 부적합 판정이 확인되어 유리체절제술, 인공수정체 제거술, 유리체강 내 보리코나졸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추가적 주입술과 경구 치료로안내염이 호전되었다. 3개월 뒤 타 의원에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후 이틀째 우안 시야 흐림이 발생하여 본원을 내원하였다. 시력은 안전수동이었고, 각막부종, 전방염증으로 안저는 흐리게 관찰되었다. 세균 안내염 의심 하 유리체 세척술, 실리콘기름 주입술, 유리체강 내 항생제 주입술을 시행하였고, 유리체 검체에서 표피포도구균이 동정되었다. 2개월 후 실리콘기름 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안내염 재발 없이 최대교정시력 0.9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 안내염을 겪은 환자는 이전 감염으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감염에 취약하므로, 추가적 시술 및 수술 시 감염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북한에서 ‘돈주’의 성장과 정치체제이행 고찰 -근대화 이론을 중심으로-

        권지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2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North Korea has not been able to distribute what it calls the core of its communist-planned economy. As a result, marketplaces, which can be called smuggling, and unofficial markets, are being activated nationwide, calling for self-sufficiency. In this process, a large number of people, not the core class of North Korea, took a large amount of money and grew into an emerging revival force. This is referred to as Donj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eory of modernization to examine how the growth of these Donju affects the transi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Western-centered modernization theory soon influenced the marketization and privatization of authoritarian countries by the increase of the middle class. In the end, the main theme is what influenced the transition of democracy, which is symbolized by political reform. However, the analysis shows that Donju in North Korea share the same interests as the North's power elite, so their influence on the transition of the regime is minimal at this point. However, the study provides transiti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future role of Donju by forming two scenarios that could trigger them to play a big role in the future transi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북한은 경제난으로 인해 공산주의 체제 계획경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배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자급자족을 구호로 외치며 각종 밀수·밀매 및 비공식 시장이라 할 수 있는 장마당이 전국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의 핵심계층이 아닌 다수의 인민들이 큰 돈을 쥐고 신흥부흥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렇게 성장한 세력을 돈주라 일컫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돈주들의 성장이 북한의 체제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근대화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구 중심의 근대화이론은 중산층의 증가가 곧 권위주의 국가들의 시장화, 사유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결국 정치개혁으로 상징되는 민주화 이행에 영향을 미친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하지만 분석 결과 북한 내의 돈주들은 북한의 권력 엘리트들과 같은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공존·공생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북한의 체제 이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차후 북한의 체제 이행에 있어 돈주들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촉발요인이 될 만한 2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함으로써 향후 돈주들의 역할에 주목하는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북한 최고지도자의 권력 공고화 과정 연구―숙청을 중심으로―

        권지민 대한정치학회 2024 大韓政治學會報 Vol.32 No.1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체제 동안 권력을 공고화하고 독재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숙청을 그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숙청을 단순한 정치적 수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3명의 독재자의 숙청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숙청의 세부 범위를 범주화하고, 그 맥락에서 북한에서의 숙청을 재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숙청의 형태는 크게 그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숙청과 지도자에 반하는 세력, 그리고 지도자에 영향을 끼칠 만큼 확장된 세력에 대한 숙청으로 분류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다른 사회주의 체제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집권 초기 ‘공포정치’로 일컬어 지는 김정은의 숙청을 통한 정치형태는 김정은 정권만의 독단적인 행태가 아니라 김일성, 김정일 정권부터 이어져 온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During the three-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system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and Kim Jong-un, North Korea has employed purges as a means to consolidate power and institutionalize dictatorship. This study aims not only to view purges as mere political tools but also to categorize the scope of purges by analyzing the forms of purges under the three dictators, thereby reinterpreting purges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 Purg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ose targeting opposition forces against the regime, those opposing the leader, and those expanded to include forces significant enough to influence the leader. Such categorization could also be applicable to other socialist regime countries. Furthermore, this study proves the significance of Kim Jong-un's purges, often referred to as “politics of fear” in the early stages of his reign, as not solely his autocratic behavior but as a universal phenomenon spanning from the regimes of Kim Il-sung to Kim Jong-il.

      • KCI등재

        고용허가제 하의 저숙련 이주근로자들의 이직 의도: 임금 측면과 심리적 계약 측면의 비교 분석

        권지민,장은미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2 연세경영연구 Vol.59 No.2

        As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coming into South Korea increases, domestic workforce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than ever. Many businesses today in agricultural and fishing industries, and small-sized manufacturers heavily rely on low-skilled migrant workers who enter the country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Therefore, discussion on how to effectively manage and build relationships with them is imminent. Turnover of migrant workers not only directly impacts the domestic businesses that depend on their workforce, but it could also lead the migrant workers to lose their legal status, as EPS makes it difficult to subsequently sign a contract with other businesses. To address this concern, we surveyed a sample of 632 migrant workers from eight countri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ir turnover intention. Results revealed that pay factors, which involve an amount of monthly payment and an increase in pay after migr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ychological contract factors involving realistic job preview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Additionally, a comparison of path coefficien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factors were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ose of pay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migrant workers have often been excluded from the discourses on psychological contract aspect of work, realistic job preview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erception are as important for them as they are to other domestic, general office employees. Moreover,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policymakers and business owners to continue making efforts to further establish EPS as an effective means to introduce migrant workers to the domestic labor market. 국내 노동인력의 다양화 현상과 더불어 이주근로자들의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로 소규모 제조업체 및 농어촌을 중심으로 적용되는 고용허가제로 입국하는 저숙련이주근로자들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고용 업체와이주근로자 양측의 불만족, 이주근로자들의 직장 이탈과 같은 문제들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나타났다. 더욱이 고용허가제에서는 입국 후의 이직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이들의 이탈 또는 이직은 불법체류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숙련이주근로자들에 대한 전략적인 분석, 즉 이들과 고용 조직과의 관계나 효과적인 관리에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용허가제로 입국한 8개국 632명의 이주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임금 측면과 심리적 계약 측면의 요소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임금 수준과 본국 임금 대비 상승정도라는 임금 측면의 요소들은 이주근로자들의 이직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심리적 계약 측면, 즉 현실적 직무 소개 인지와 심리적 계약 위반 인지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서 계수 비교 결과, 심리적 계약 측면의 요소들이 임금 측면의 요소들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심리적 계약 관련 논의들에서배제되었던 저숙련 이주근로자들의 경우에도 현실적 직무 소개나 심리적 계약과 같은요소들이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의의를 갖으며, 고용허가제를 효과적으로 정착시키기위하여 정책 기관과 기업들이 노력해야 할 부분을 명시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이면서도실무적인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구성원의 혁신 행동 결정 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혁신 문화, 혁신 행동 도구성, 직무 자율성의 공동 효과

        권지민,김보경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社會科學論集 Vol.54 No.2

        본 연구는 다수준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조직의 혁신 문화 및 구성원들의 두 동기 변수들, 즉, 혁신 행동의 도구성과 직무 자율성이 구성원들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점검하였다. 시그날링이론과 동기이 론들에 기반하여 각각의 효과를 점검한 후, 시너지 접근에 기반하여 3방향 상호작용을 점검하였다. 37개 기 업 1,199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MPlus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 문화, 혁신 행동의 도구성, 그리고 직무 자율성은 각각 혁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개인 수준의 변수인 혁신 행동의 도구성과 직무 자율성은 의미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보였으며, 세 변수들 간 의 3방향 상호작용도 의미있게 발겼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이론적인 기여 뿐 아니라 조직들이 구성원들의혁신 행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기 위한 여러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used a multilevel analysis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wo individual-level motivational variables (the instrumentality of innovative behavior and job autonomy), on members’ innovative behavior. Drawing on both signaling and motivation theories, we first examined the main effects of the three variables. We then explor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using a synergy perspective. We conducted a survey with 1,199 members from 37 companie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MPlus.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instrumentality of innovative behavior, and job autonomy each positively impacted innovative behavior. Additionally, the individual-level variables of the instrumentality of innovative behavior and job autonomy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ith one another. We also observed meaningful three-way interac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Our findings not only contribute to theoretical discussions regarding innovations within organizations, but also offer various practical insights for organizations aiming to bolster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ir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