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적 장애아의 진단과 재활

        권정이 대한의사협회 2009 대한의사협회지 Vol.52 No.6

        Intellectual disability is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limitations both i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in adaptive behavior as expressed in conceptual, social, and adaptive skills, which begins before the age of 18. Intellectual disability is lifelong disability that starts in infancy or the early childhood years but cannot be diagnosed accurately until the child is at least 5 years old, when standardized measures of intelligence become reliable and valid. For a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oth proper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classification are important in establishing a network of support. An optimal clinical genetics diagnosis is critical to understand etiology of intellectual disability syndromes. Supports of th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child and his condition, but also on the family. Developmental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depending on the child’s age should be emphasized. This report describes historical perspectiv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habilitative and neurodevelopmental approach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플립러닝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권정,박재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f 2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focusing on teachers teaching in the G Province, and 210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for Windows. Resul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necessary, and a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for future education’ and ‘freeing up time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that the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quired teacher competencies such as ‘class design abi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17.6% of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were mainly taught in competitive and challenging areas, and the duration of operation was mainly around 6 months, and the operation was recognized as having a higher effect than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classes when managing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ve a high educational effect and sufficient meaning to be an alternative to future physical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urgent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esign lessons,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e can be enhanced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faculty training, etc. Third,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systematic preparation is necessary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environment such as digital ethics educ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IT infrastructure. Conclusions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expanding, but they must be supported by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that increases their viabilit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여 그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방법 G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전국 시도교육청 소속의 초등 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진행하였고, 21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3.0 for Windows를 이용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 교사들은 플립러닝 체육수업은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플립러닝 체육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미래 교육을 위한 시대적요구 반영’과 ‘학습자 중심 활동 전개를 위한 시간 확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플립러닝 체육수업 운영에 있어 ‘수업 설계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교사 역량이 요구된다는 인식이 컸다. 또한 초등 교사의 17.6%가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경험하였는데, 주로 경쟁영역과 도전영역을 중심으로 지도하였고 운영 기간은 주로 6개월 내외였으며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운영했을 때 기존 체육과 수업보다 높은 효과를 봤다고 인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플립러닝 체육수업은 교육적 효과가 크기에미래 체육교육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함양이 시급한데 교과 연구회, 연수 등을 통해 실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 디지털 윤리교육, IT인프라 구축과같은 제반 환경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결론 플립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경험과 인식은 확장되고 있으나 실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 구축이 뒷받침되어야한다.

      • 함정 수중충격 해석 결과의 효과적 가시화 기법 연구

        권정,이창민,김동함,박병재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본 연구에서는 수중폭발 충격해석 결과 및 유한요소 해석모델에 대하여 최신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기술을 이용하여 탑재장비의 설계 검토용 형상모델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충격 응답을 받는 탑재장비의 거동을 가시화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승조원의 상해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후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중폭발 현상 해석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충격 돔, 가스 구체, 물기둥의 시간에 따른 형상을 해석 및 가시화함으로써 함정 수중충격 해석 결과의 효과적인 가시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이 고등학교 학생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권정인 ( Jeong In Kwon ),남정희 ( Jeonghee Na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5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인성 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의 적용이 학생들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네 개 학급(143명) 중 실험 집단(2개 학급, 73명)은 두 학기 동안 총 8개 주제의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하였으며, 비교 집단(2개 학급, 70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과 논의기반 탐구 과정을 바탕으로 개발하여 준비, 문제해결, 평가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의 적용이 학생들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성 역량 검사를 분석하였다. 인성 역량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는 SPSS WIN 23.0을 사용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인성 역량의 총점과 배려, 협력, 책임, 존중, 자기조절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소통, 정직, 긍정적 자기이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성 역량 총점은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세부 인성 역량은 자기조절, 협력, 배려, 책임, 존중 순으로 중간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배려, 협력, 소통, 책임, 존중 등의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인성 역량의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 모델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들처럼 다른 구성원들과 논의 과정을 거쳐 합의하며, 협력하여 과학적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의 경험은 인성 역량의 함양으로 이어졌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을 통해 학생들은 협력과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성 역량을 함양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CoProC) instruction model with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143 Korean students, each of whom was in the 10th grade spread across four class cohorts. These cohorts were further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of 73 students from two different classes), which received the CoProC program; and a control group (70 students from two other classes), which did not.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CoProC instruction model upon participants’ character competence, we designed and administered a Character Competence Test for participants. The CoProC instruction model consists of 3 fundamental steps: Preparation, Problem-solving, and Evaluation. Key character competence targeted in the CoProC program include car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respect, honesty, self-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self-image. Thus, these same qualities were targeted and analyzed in the Character Competence Test, which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CoProC activitie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etency for caring, collaboration, responsibility, respect, and self-regulat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found that CoProC instruction model to be an effective teaching intervention toward cultivating character competence in a secondary science education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